ISSN : 1229-067X
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상호작용적 영화치료 프로그램의 효과를 통제 집단 및 일반 상담 집단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효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영화치료 집단 31명, 일반 상담 집단 26명, 통제 집단 35명이었다. 연구 결과, 영화치료 집단은 대인관계척도 중 냉담, 사회적 억제, 비 주장성, 과순응성, 자기 희생 등에서,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특히 냉담, 사회적 억제, 비주장성 척도의 경우 프로그램 종료 2개월 후에도 치료효과가 지속되었다. 또한 사회적 인정 욕구와 사회성 부족 등에서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사회성 부족은 프로그램 종료 2개월 후에도 효과가 지속되었다. 영화치료의 치료적 요인을 확인한 결과, 일반 상담 집단과 비교하여 상담 초기에서 중기와 후기로 갈수록 감정적 자각 및 통찰, 집단 내 대인관계, 타인 및 자기 이해, 문제 정의 및 해결 등이 증가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영화치료가 일반상답 집단에 비해 대인관계 개선에 더 도움이 된다고 확증할 수는 없지만, 통제 집단에 비해서 대인관계 증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입증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cinematherapy program effectiveness. For these purposes, the outcome of cinematherapy compared with general group counselling(traditional group counseling form) and control group.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92 clients who are suffering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 KIIP(Korean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were administered three times, right after the 8 sessions, one month later, and two month later. It was found that KIIP mean scores of the cinematherapy group significantly lowered than control group in coldness, social repression, non assertiveness, exploitableness, over nurturance, need for social approval, lack of sociability after the program applied. The results imply that cinematherapy group sessions are effective in reducing cold emotion and client's inner repression and kept open mind and got some useful social skills. It can be noted that during therapy process cinematherapy can help the clients to increase emotional awareness and insight, the ability of empathy and feel intimacy in group members and understand other people. However, it is suggested that cautious generalization is recommended, as a systematic series of empirical investigations should be undertaken to utilize more effective cinematherapy practices for various subjects.
권경인 (2000). 집단상담 활동의 유형화 연구 - 치료적 요인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김광진 (2000). 영화보기를 통한 가정목회상담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기독교학대학원 목회상담학과 석사학위논문.
김기정, 이정희 (1999). 대학생을 위한 대인관계향상 집단상담의 효과연구. 서원대학교 학생 생활연구소, 17(1), 17-37.
김수지, 안창일(2005). 대인관계 향상을 위한 영화치료 프로그램 개발연구. 한국상담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2), 353-366
김영애 (2000). 자기 성장 프로그램이 대인관계 및 자아 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영환, 진유경, 조용래, 권정혜, 홍상황, 박은영 (2002). 대인관계문제검사 매뉴얼. 서울: 학지심리 검사 연구소.
김은경 (2002). 사회극이 중학생 집단 따돌림 가해자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군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정석 (2004). 보호조치 된 피학대아동의 가족 복귀를 위한 영화치료 적용 사례 연구. 우석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준형 (2004). 영화 집단 프로그램이 자아실현과 영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김희진, 서문자 (1996) 비디오 유머 중재가 기동성장애환자의 불안, 우울과 유머 대처에 미치는 효과. 간호학논문집, 10(2), 203-217.
박두인 (1984). 음악감상 및 토론 프로그램이 공격성과 성격 특성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병훈 (2002). 심리극이 비행청소년의 충동성, 공격성, 그리고 정서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선민 (2003). 영상자료를 활용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정체감에 미치는 효과.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성우 (1989).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의사소통 기법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부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서문자, 김금순 (1993). 입원환자의 유머감각에 관한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5(1), 72-85.
서봉연, 유영분, 강길례 (2001). 효과적인 대인관계 노하우 프로그램집. 한국가이던스.
심정선 (2002). 사이코드라마가 대인관계 개선에 미치는 효과와 그 치료 요인. 고려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유인철 (2008). 영화치료와 집단 상담을 통한 정신분열증 환자들의 불안감 감소와 대인관계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공주대학교 영상예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경숙 (1988). 비디오테이프를 활용한 의사소통기법훈련의 효과. 동아대학교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학위 논문.
이상미 (2007). 영화치료를 통한 고등학생의 양성평등의식과 성 고정관념의 효과분석.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석사학위 논문.
이재창 (1992). 자기 성장과 인간관계. 서울: 한국가이던스.
이후경, 윤성철, 김선재, 백인석, 이연수 (1998). 한국 집단치료의 역사와 현황-정신과 영역에서 실시되어 온 집단 치료를 중심으로-. 신경정신의학, 39(1), 142-155.
임은숙 (2002). 발달미술치료가 정신지체아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임은정 (2002). 독서요법 프로그램과 분노 조절 훈련 프로그램이 아동의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조규수 (1986). 비디오테이프를 통한 상담기법 훈련에 있어서 자기관찰, 시범, 지도 조언의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최수임 (2003). 카메라로 치유해가는 거식증의 기록. <김진아의 비디오 일기>. 씨네 21, 349호.
최영희 (2008). 영화를 활용한 분노조절 프로그램이 중학교 남학생의 공격성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nderson, C. (1997). Effects of violent movies and trait hostility on hostile feelings and aggressive thoughts. Aggressive Behavior, 23(1), 161-178.
Alden, L. E., Wiggins, J. S. & Pincus, A. L. (1990). Construction of circumplex scales for the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5(3), 521-536.
Anderson, D. D. (1992). Using feature films as tools for analysis in a psychology and law course. Teaching of Psychology, 19(3), 155- 158.
Berg-Cross, L., Jennings, P. & Baruch, R. (1990). Cinematherapy: Theory and application. Psychotherapy in Private Practice, 8(1), 135-156.
Braudy, L. & Cohen, M. (1999). Film theory and criticism, 5th ed. New York,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Christie, M. & McGrath, M. (1987). Taking up the challenge: Film as a therapeutic metaphor and action ritual.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Family Therapy, 8(4), 193-199.
Dermer, S. B. & Hutchings, J. B. (2000). Utilizing movies in family therapy: Applications for individuals, couples, and families. The American Journal Of Family Therapy, 29, 163-180.
Duncan, K., Beck, D., & Granum, R. (1986). Ordinary people: Using a popular film in grouptherapy.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5(1), 50-51.
Forney, D. (2004). Introduction to entertainment media use. New Directions for Student Services, 108(1), 1-11.
English, F. W. & Steffy, B. E. (1997). Using film to teach leadership in educational administration. Educational Administration Quarterly, 33(1), 107-115.
Fruech, B. C. (1995). Self-administerd exposure therapy by a vietnam veteran with PTSD.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2(12), 1831-1832.
Hesley, J. W. & Hesley, J. G. (2001). Rent two films and let's talk in the morning: Using popular movies in psychotherapy. New York: Wiley.
Heston, M. L. & Kottman, T. (1997) Movies as metaphors: A counseling inter-vention. Journal of Humanistic Education and Development, 36, 92-99.
Johnson, D. W. (1990) Reaching out : Interpersonal effectiveness and self actualization, 4thed. Englewood Cliffs: Prentice-Hall.
Kivlighan, D. M., Multon, K. D. & Brossart, D. F. (1996). Helpful impacts in group counseling of multidimensional rating system.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3(3), 347-355.
Koch, G. & Dollarhide, C. T. (2000). Using a popular film in counselor education. Counselor Education and Supervision, 39(3), 203-210.
Lacan, J. (1977). Ecrits: A selection (translation by Alan Sheridan), New York: Norton.
Lappin. (1997). Two thump up: A supervisor's guide to the use of films. Boston: Allyn and Bacon.
Lepicard, E. & Fridman, K. (2003). Medicine, cinema and culture: A workshop in medical humanities for clinical years, Medical Education, 37(11), 1039.
Nichols, M. P. & Schwartz, R. C. (1998). Family therapy: Concepts and methods. Boston: Allyn and Bacon.
Powell, M. L. & Newgent, R. A. & Lee, S. M. (2006). Group cinematherapy: Using metaphor to enhance adolescent self-esteem. The Arts in Psychotherapy, 33(1), 247-253.
Schulenberg, S. E. (2003). Psychotherapy and movies: On using films in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Contemporary Psychotherapy, 33(1), 35-48.
Sharp, C., Smith J. V., & Cole A. (2002). Cinematherapy: Metaphorically promoting therapeutic change: Counselling in action. Counseling Psychology Quarterly, 15(3), 269-276.
Solomon, G. (1995). The Motion picture prescription: Watch this movies and call me in the morning. Santa Rosa: Aslan Publishing.
Wedding, D. & Niemiec, R. M. (2003). The clinical use of films in psychotherap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9(2), 207-215.
Wormstall, H., Gunthner, A., Balg, S., & Schwarzler, F. (2000). Video technology - a medium for milieu therapy? Psychiatrische Praxis, 27(5), 235-2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