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한글 글자의 멋 판단에서 글자의 사용빈도, 시각적 단순성, 발음 용이성, 그리고 의미충만성 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변인에 대해 100개씩의 설문지를 수집하였다. 조사 1의 자료에 대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 위의 각 변인들은 개별적으로 유의하였지만, 다른 요인들과 비교할 때에는 의미충만성의 영향이 가장 크다는 것이 드러났다. 조사 2는 시각역동성을 평정시키고, 또 고딕체와 명조체의 글꼴을 구별하게 하여 멋의 시각적 측면에 주의하여 평정하도록 하였는데, 여전히 의미충만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인 반면 시각 역동성은 중요하지 않았다. 이것은 한글 글자의 판단에서 사람들은 글자의 시각적 측면에 별로 주목하지 않으며, 글자에 대한 판단에 의미 요인이 대체로 크게 기여할 것임을 시사한다.
To investigate which factor had an effect on the judgment of Hangul character's beauty, 84 Hangul character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ir usage frequencies, and its visual simplicity, ease of pronunciation, and meaningfulness were surveyed of each 100 college students, respectively, in the survey 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meaningfulnes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Even though each other factor had its own contribution, its effect size was very small when compared simultaneously with the meaningfulness factor. In the survey 2, students were induced to give more attention to visual aspects of Hangul characters. Some rated visual dynamics of Hangul characters, and others had to choose between two kinds of Hangul fonts before they rated Hangul's visual beauty. The analysis, however, found that meaningfulness was still the most important. This result indicates that Koreans do not give much attention to the visual aspects of Hangul and they are apt to be greatly influenced by semantic factors on Hangul-related judgments.
김흥규, 강범모 (1997). 한글 사용빈도의 분석. 서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남영신 (2003). 국어대사전(개정 2판). 서울: 성안당.
박창호 (2008). 색채 감성의 위계 구조에 대한 탐구. 인지과학, 19(1), 41-56.
이모영 (1997). 지각역동성과 표현지각. 1997년 실험 및 인지심리학회 겨울학술발표논문집, 105-115.
이의철, 조명한 (1968). 한 단어의 시각적 체제화에 작용하는 요인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1, 5-13.
장현정, 윤형건 (2003). 디자인 요소로서 한글 글꼴의 감성적 평가와 선호에 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지, 6(2), 49-58.
최동찬, 박영택 (2000). 한글의 감성공학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감성과학회 2000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13-19.
한국일보 (2008. 10. 6.) 한글, 디자인 예술로 화려한 변신. 주간한국 Magazine. 2242호http://weekly.hankooki.com/lpage/08_coverstory/200810/wk20081008125602100810.htm에서 인출.
Arnheim, R. (1984). 예술심리학. (김재은 역)[원제는 Toward a Psychology of Art(1966)] 서울: 이화여대 출판부.
Berlyne, D. E. (1971). Aesthetics and psychobiology. New York: Appleton-Century-Crofts.
Bornstein, M. H. (1984). Psychology and art. In M. H. Bornstein (Ed.), Psychology and Its Allied Disciplines (Vol. 1) (Pp.1-73). Hillsdale, NJ: Erlbaum.
Garner, W. R. (1974). The Processing of Information and Structure. Hillsdale, NJ: Erlbaum.
Leeuwenberg, E. L. J. (1971). A perceptual coding language for visual and auditory patterns.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84, 307-349.
Martindale, C., Moore, K., & Borkum, J. (1990). Aesthetic preference: Anomalous findings for Berlyne's psychobiological theory. 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103, 53-80.
Reber, R., Schwarz, N., & Winkielman, P. (2004). Processing fluency and aesthetic pleasure: Is beauty in the perceiver's processing experience?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8, 364-3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