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와 위험요인들에 대한 조사 연구

A Survey on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Its Risk Factors in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8, v.27 no.3, pp.711-736
조용래 (한림대학교)

초록

본 조사 연구는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 실태를 파악하고 그 위험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강원도 춘천 및 화천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노인들 833명을 대상으로 전문 면접원들이 한국판 걱정 불안 질문지에 있는 문항들과, 다른 관심 있는 질문들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조사 결과, 일반화된 불안장애의 진단기준을 충족시킨 노인들의 백분율은 전체의 2.76%였으며, 남자 노인들에 비해 여자 노인들이 더 높은 경향이 있었다. 노인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 진단과 증상 수준 양자 모두 사회경제적 지위, 건강 위험성지각, 그리고 차별 대우 경험과 관련이 있었으며, 일반화된 불안장애 증상들의 수준은, 이 외에도, 성별 및 사회적 지지 양자 모두와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으로, 노인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에 대한 위험요인들의 역할이 남녀 간에 상이한 지를 탐색해 본 결과, 일반화된 불안장애 진단과 증상 수준 양자 모두, 남자 노인들에서는 건강 위험성 지각이, 여자 노인들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의미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더해, 노인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 증상 수준은 남자 노인들의 경우 주변으로부터의 차별 대우 경험이, 그리고 여자 노인들의 경우 건강 위험성 지각, 차별 대우 경험 및 사회적 지지가 각각 유의미하게 관련되어 있었다. 노인들의 걱정 주제는 가족, 자신의 건강, 재정, 중요한 타인의 건강 순으로 그 응답빈도가 높았다. 가족 및 자신의 건강에 대한 걱정은 여자 노인들이, 재정, 중요한 타인의 건강, 일/직업 및 지역사회/세상사에 대한 걱정은 남자 노인들이 더 많이 호소하였다. 끝으로, 이 결과들에 관하여 노인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 특징들의 빈도와, 이런 문제들에 대한 예방적 및 치료적 개입의 필요성이라는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keyword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orry, risk factors,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epidemiological study, 일반화된 불안장애, 걱정, 위험요인, 지역사회 거주 노인, 역학 조사,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orry, risk factors,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epidemiological study

Abstract

The present surve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status of and risk factors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GAD) in older adults. The Korean version of the Worry and Anxiety Questionnaire as well as other questions of interest was administered by expert interviewers to 833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dwelling in the areas of Chuncheon and Whacheon, Gangwon-do. The percent of older adults meeting the DSM-Ⅳ criteria of GAD was 2.76%. As expected, its percent was marginally higher in female group than in male group. Of several risk factors, socioeconomic status, perceived risk health, and ageism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the diagnosis of GAD and the level of GAD symptoms. Additionally, sex and social support ha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the latter. Next, the effects of sex differences in association with risk factors were explored. In males, perceived risk healt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the diagnosis of GAD and the level of GAD symptoms, whereas in females socioeconomic statu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both of them. While ageism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GAD symptoms in men, perceived risk health, ageism, an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GAD symptoms in women. Of their worry themes, the frequency of worry about family was the highest, and then the health of self, finance, the health of significant others were in descending order of frequency. Elderly women were more likely to report worries about family and the health of self than elderly men, while the latter was more likely to report worries about finance, the health of significant others, work/occupation, and community/world affairs than the former. Lastly, the results were discussed in terms of the frequency of GAD features as well as the need for preventive and 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the problems of older adults.

keywords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orry, risk factors,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epidemiological study, 일반화된 불안장애, 걱정, 위험요인, 지역사회 거주 노인, 역학 조사,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worry, risk factors,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epidemiological study

참고문헌

1.

권석만, 민병배 (2000). 노년기 정신장애. 서울: 학지사.

2.

김미정 (2004). 노인의 스트레스와 대처방법. 한림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김태련 (1988). 노인의 삶과 죽음에 대한 태도 - 미국 나성 교포노인을 중심으로 -.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 30-47.

4.

노현정, 조은영, 전경숙, 정태연 (2006). 한국 노인의 죽음에 대한 인식. 한국심리학회 2006 연차학술대회 발표논문집, 294-295.

5.

박군석, 한덕웅, 이주일 (2004). 한국 노인의 신체건강과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 1-24.

6.

박기남 (2006). 성별 · 지역별 특성에 따른 노인의 삶의 만족도 연구. 이기홍 등(편), 한국 노인의 삶의 질(pp.61-81). 춘천: 한림대학교 출판부.

7.

박상규 (2006). 노인의 정신건강과 삶의 질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785 -796.

8.

박준식, 정재기, 이주일, 조용래, 권순교, 석재은, 고윤순, 김영범(2006). 지역사회 노인종합복지체계 구축과 노인복지대책 수립을 위한 고령자 욕구조사 보고서.

9.

서우정, 조용래 (2007). 대학생들의 일반화된 불안장애 증상과 걱정에서 경험적 회피의 역할. 학생생활연구, 18, 102-116. 한림대학교 학생생활상담센터.

10.

서현미, 하양숙 (1997). 노인들의 스트레스원과 스트레스 인지정도에 관한 연구. 간호학논문집, 11, 39-58.

11.

유경, 민경환 (2005). 정서 대처양식과 정서 인식이 장노년기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 1-18.

12.

이기홍 (2006). 한국 노인의 문화자본과 사회자본. 이기홍 등(편), 한국 노인의 삶의 질(pp.13-37). 춘천: 한림대학교 출판부.

13.

이인정, 최혜경 (2000).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서울: 나남출판.

14.

이정은, 조용래 (2007). 걱정에 대한 부정적 신념과 일반화된 불안증상간의 관계에서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 939-961.

15.

이정균, 한진희, 김용식, 최진옥 (1986). 한국 정신장애의 역학적 조사연구(Ⅴ) - 도시 및 시골지역의 시점 유병률 -. 서울의대 정신의학 부록, 11, 201-219.

16.

이주일, 정지원, 이정미 (2006). 미국거주 한인노인과 국내노인 간 행복감의 차이 및 행복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 169-203.

17.

정명숙 (2007). 우리나라 노인의 삶에 대한 만족도: 시설노인과 일반노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0, 145-169.

18.

조맹제, 함봉진, 김장규, 박강규, 정은기, 서동우, 김선욱, 조성진, 이준영, 홍진표, 최용성, 박종익, 이동우, 이기철, 배재남, 신정호, 정인원, 박종한, 배안, 이충경 (2004). 한국 정신장애의 역학조사연구(1): 각 정신장애의 유병률. 신경정신의학, 43, 470-480.

19.

조용래 (2008). 지역사회 거주 노인들을 위한 스트레스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2008년 한국 임상․건강심리학회 춘계공동학술대회 논문집, 107-108.

20.

최영임, 장휘숙 (2007). 대학생과 노인의 죽음공포와 죽음불안 및 생활만족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2007 연차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4-75.

21.

통계청 (2005). 장래인구 특별추계 결과. From web site: http://www.nso.go.kr

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uthor.

23.

Babcock, R. L., Laguna, L. B., Laguna, K. D., & Urusky, D. A. (2000). Age differences in the experience of worry.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ging, 6, 227-234.

24.

Beekman, A. T. F., Bremmer, M. A., Deeg, D. J. H., van Balkom, A. J. L. M., Smit J. H., de Beurs, E., van Dyck, R., & van Tilburg, W. (1998). Anxiety disorders in later life: A report from the longitudinal aging study Amsterdam.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3, 717-726.

25.

Blazer, D., George, L. K., & Hughes, D.(1991). The epidemiology of anxiety disorders: An age comparison. In C. Salzman & B. D. Lebowitz(Eds.), Anxiety in the elderly: Treatment and research(pp.17-30). New York: Springer.

26.

Craske, M. G., Rapee, R. M., Jackel, L., & Barlow, D. H. (1989). Qualitative dimensions of worry in DSM-Ⅲ-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ubjects and nonanxious control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7, 397-402.

27.

DeBeurs, E., Beekman, A. T. F., van Balkom, A. J. L. M., Deeg, D. J. H., van Dyck, R., & van Tilburg, W. (1998). Consequences of anxiety in older persons: Its effect on disability, well being, and use of health services. Psychological Medicine, 29, 583-593.

28.

Diefenbach, G. J., Stanley, M. A., & Beck, J. G. (2001). Worry content reported by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ging and Mental Health, 5, 269-274.

29.

Di Nardo, P. A., Brown, T. A., & Barlow, D. H. (1994). Anxiety Disorders Interview Schedule for DSM-Ⅳ: Lifetime Version(ADIS-Ⅳ-L). San Antonio, TX: Psychological Corporation.

30.

Doucet, C., Ladouceur, R., Freeston, M. H., & Dugas, M. J. (1998). Worry themes and the tendency to worry in older adults. Canadian Journal on Aging, 17, 361-371.

31.

Dugas, M. J., Freeston, M. H., Doucet, C., Provencher, M. & Ladouceur, R. (1995). Development of the Worry and Anxiety Questionnaire(WAQ). Unpublished manuscript, Laval University, Quebec, Canada.

32.

Dugas, M. J., Freeston, M. H., & Ladoucer, R. (1997).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problem orientation in worry.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1, 593-606.

33.

Flint, A. J. (1994). Epidemiology and comorbidity of anxiety disorders in the elderly.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1, 640-649.

34.

Geary, S. C., & Flinn, M. V. (2002). Sex differences in behavioral and hormonal response to social threat: Commentary on Taylor et al.(2000). Psychological Review, 109, 745-750.

35.

Gorenstein, E. E., Papp, L. A., & Kleber, M. S. (1999). Cognitive behavioral treatment of anxiety in later life.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6, 305-320.

36.

Krasuck, C., Howard, R., & Mann, A. (1998).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disorders and ag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3, 79-99.

37.

Krasuck, C. Ryan, P., Ertan, T., Howard, R., Lindesay, J., & Mann, A. (1999). The FEAR: A rapid screening instrument for generalized anxiety in elderly primary care attenders.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4, 60-68.

38.

Manela, M., Katona, C., & Livingston, G. (1996). How common are the anxiety disorders in old age?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1, 65-70.

39.

Mennin, D. S., Heimberg, R. G., Turk, C. L., & Fresco, D. M. (2005). Preliminary evidence for an emotion dysregulation model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3, 1281-1310.

40.

Mohlman, J. (2004). Psychosocial treatment of late lif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Clinical Psychology Review, 24, 149-169.

41.

Mohlman, J., Gorenstein, E. E., Kleber, M., de Jesus, M., Gorman, J. M., & Papp, L. A. (2003). Standard and enhanced cognitive -behavior therapy for late-lif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American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11, 24-32.

42.

Person, D. C., & Borkovec, T. D. (1995, August). Anxiety disorders among the eldely: Patterns and issu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New York, NY.

43.

Rapee, R. M., & Barlow, D. H. (1991). Chronic anxiety: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nd mixed anxiety-depression. New York: The Guilford Press.

44.

Regier, D. A., Boys, J. H., Burke, J. D., Rae, D. S., Myers, J. K., Kramer, M. et al. (1988). One-month prevalence of mental disorders in the United States: Based on five epidemiologic catchment area site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5, 977-986.

45.

Roemer, L., Molina, S., & Borkovec, T. D. (1997). An investigation of worry content among generally anxious individuals. The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5, 314-319.

46.

Standley, M. A., & Novy, D. M. (2000). Cognitive-behavior therapy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late life: An evaluative overview. Journal of Anxiety Disorders, 14, 191-207.

47.

Taylor, S. E., Klein, L. C., Lewis, B. P., Gruenewald, T. L., Gurung, R. A. R., & Updegraff, J. A. (2000). Biobehavioral responses to stress in females: Tend- and-befriend, not fight-or-flight. Psychological Review, 107, 411-429.

48.

Wells, A. (1995). Meta-cognition and worry: A cognitive model of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Behaviou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23, 301-320.

49.

Wetherell, J. L., Thorp, S. R., Patterson, T. L., Golshan, S., Jeste, D. V., & Gatz, M. (2004). Quality of life in geriatric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 preliminary investigation.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38, 305-312.

50.

Wittchen, H. U., Zhao, S., Kessler, R. C., & Eaton, W. W. (1994). DSM-Ⅲ-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in the National Comorbidity Survey.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1, 355-364.

51.

Zimet, G. D., Dahlem, N. W., Zimet, S. G., & Farley, G. K. (1988). The Multidimensional Scale of Perceived Social Support.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2, 30-41.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