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유교문화권에서 부모의 양육행위가 자녀 도덕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Effect of Parental Behavior within the Confucian context on the Shaping of Moral Integrit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08, v.27 no.3, pp.783-818
이정훈 (한국생산성본부)

초록

본 연구는 유교적 맥락에서 부모의 양육행위가 자녀의 도덕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2007년 봄 전국의 28개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1,495명(평균 연령 18.6세)의 유효응답으로 이루어진 데이터가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한국인에게 있어 도덕성은 절제 요인을 중심으로 공정 요인, 책임 요인, 청렴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Parker의 부모 양육행위 측정도구(Parental Bonding Instrument)를 활용하여 부모의 양육행위가 자녀의 도덕성 형성에 미치는 영향이 분석되었다. 선형구조모형을 통해 부모의 양육행위의 영향을 분석하면, 어머니의 애정과 자율은 도덕성 형성에 대하여 正의 영향을, 어머니의 통제(보호의 하위척도)는 否의 영향을 각기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심리적 병리성은 도덕성 형성에 심대한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부모의 행위가 간접적으로 도덕성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통로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통제는 심리적 병리성을 강화시킴으로써 간접적으로 도덕성을 약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아버지의 양육행위는 유교적 가치로 대변되는 사회적 규범을 지도하는 기능을 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통제의 기능이 두드러지다. 한편 유교적 가치관에서는 장기지향성(신뢰성)과 집단주의 요인이 도덕성 형성에 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지향성 요인에는 하위요인으로서의 성취지향성이 개인의 청렴한 생활태도와 올곧은 성품 같은 도덕성 요소와 나란히 배열되어 도덕성 형성에 대하여 正의 영향을 미친다. 반면 집단주의 요인에는 부패에 대한 저항 같은 사회적 영역에서의 도덕성 요소가 하위요인으로서의 조화 요인과 함께 부수적인 요인으로서 배열되어 있다. 이는 조직 및 사회 수준에서의 자기정화역량을 저하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집단주의 문화요소의 배열은 도덕성 형성에 대하여 否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moral integrity, moral development, Parental Bonding Instrument, Chinese Value Survey, configuration of cultural elements, 도덕성 형성, 도덕발달, 부모의 양육행위, 유교적 가치관, 문화요소 배열, moral integrity, moral development, Parental Bonding Instrument, Chinese Value Survey, configuration of cultural elements

Abstract

Present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effect of parental behavior on the shaping of moral integrity within the Confucian context. For this aim, survey was administered to the classes in 28 schools in the spring 2007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responses made by 1,495 adolescents(age averaged 18.6). Analysis on data shows that the moral integrity for Korean is composed by abstinence, fairness, accountability and transparency among which abstinence is central and salient. Measurements conducted using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have shown that child rearing practice have an important impact on the shaping of moral integrity. The LISREL analysis of parental influence in and of itself on the moral integrity, maternal care and maternal autonomy are disclosed to effect positively while maternal control to effect negatively. It is revealed that the mental illness has salient negative effect and functions as a channel of indirect effect of parental behavior on the moral integrity shaping. The maternal control is appeared distinguished for its degrading the moral integrity by aggravating the mental illness. On the contrary, paternal behavior is found to function for guiding the social norm that is represented by the Confucian value. Paternal control is found notable in this respect. It is also found that a long-term orientation and collectivism where Confucian values are concerned have significant effect on the shaping of moral integrity. Long term orientation (trustworthiness) includes the subfactor of achievement that is arrayed with the moral elements and hence is found to effect positively. On the other hand, collectivism includes the moral element in the social arena such as ‘resistant against corruption’ which is placed subsidiary to the harmony sub-factor and is revealed to limit the capability of self purgation and hence effect negatively on the moral integrity shaping.

keywords
moral integrity, moral development, Parental Bonding Instrument, Chinese Value Survey, configuration of cultural elements, 도덕성 형성, 도덕발달, 부모의 양육행위, 유교적 가치관, 문화요소 배열, moral integrity, moral development, Parental Bonding Instrument, Chinese Value Survey, configuration of cultural elements

참고문헌

1.

김경일 (1991). 사회교육에 있어서의 전통윤리 강화방안.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의 교육과 윤리.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85-229.

2.

김기범, 김시업 (2006). 내부고발자에 대한 지각.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4), 47-59.

3.

김춘경 (1999). 아동의 병리적 성격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응석의 생활양식과 병리적 성격, 한독교육학연구, 4. 85-103.

4.

김충렬 (1985). 法家에 있어서 사회정의 문제. 김우창 편. 正義와 복지화. 서울: 문학예술사. 99-129.

5.

문용린 (1988). 도덕과 교육론. 서울: 갑을출판사.

6.

배용광 (1983). 동서양규범문화의 변화에 관한 사회학적 연구.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사회의 규범문화.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51-86.

7.

변시민 (1983). 한국인의 행동규범.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한국사회의 규범문화.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241-287.

8.

송지영 (1992). 한국판 부모-자녀 결합형태검사(parental bonding instrument): 신뢰도 및 타당성 검증, 신경정신의학, 31, 979-992.

9.

양승두 (1989). 한국인의 법의식: 민주화 사회에의 준법정신-사상과 정책. 서울: 경향문화사.

10.

윤태림 (1970). 한국인. 서울: 현암사. 115-116.

11.

윤태림 (1972). 유교문화와 한국인의 심성. 한국크리스찬아카데미 편. 한국인의 사상구조. 서울: 삼성출판사. 19-39.

12.

이동식 (1980). 전통적 가정윤리와 현대가정의 제문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전통적 가치관과 새 가치관의 정립.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23-141.

13.

이승환 (1998). 유가사상의 사회철학적 재조명. 서울: 고려대학교 출판부.

14.

이인호 (2003). 文史哲論 <史記伯夷列傳>. 중국어문논총, 24, 107-123.

15.

이정훈 (2002). 한국의 문화적 특징이 조직구성원의 윤리의식에 미치는 영향. 인사관리연구, 26(2), 183-212.

16.

제일기획 (2006). 2005년, 우리의 자화상은? http: //www.cheil.co.kr 에서 2008, 9, 5에 인출.

17.

전경숙 (1993). 좋은 정서 경험이 올바른 인생을 만든다. 서울: 민지사. 217-248.

18.

조긍호 (1996). 문화유형과 타인이해의 양상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15(1), 104- 139.

19.

차재호, 장영수 (1992). 한국 대학생들의 중요한 가치.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6, 123 -136.

20.

최재석 (1980), 한국인의 사회적 성격. 서울: 개문사.

21.

최진덕 (1997), “권위에 대한 한국인의 태도: 권위 없는 권위주의”에 대한 논평,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편, 형성과 창조 2-2권위와 문화, 서울: 조은문화사.

22.

하영희 (2001), 청소년의 도덕행동에 관한 관련변인 연구: 권장행동과 금지행동을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Adler, A. (1964). Social interest: A challenge to mankind, New York: Capricorn Books.

24.

Ansbacher, H. L. (1992). Alfred Adler’s concepts of community feeling and of social interest and the relevance of community feeling for old age. Individual Psychology, 48, 403-412.

25.

Bandura, A. (1982). Self-efficacy mechanism in human agency. American Psychologist, 37, 122-147.

26.

Bellah, R. N., Madson R., Sullivan W., & Swidler A. (1985). Habits of the heart. New York: Haper & Row Publisher.

27.

Bond, M. C. (1991). Beyond the Chinese face. Hong Kong: Oxford University Press.

28.

Buechler, S. (2006). Why we need Fromm today: Fromm's Work Ethic. Fromm Forum., 10, 31-36.

29.

Chinese Culture Connection (1987). Chinese value and the search for culture free dimension of culture.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18, 143-164.

30.

Eisenberg, N. (1995). Prosocial development: A multifaced model. In W. M. Kurtines & J. L. Gewirtz. (Eds.) Moral development: An introduction. Boston: Allyn & Bacon. 401- 429.

31.

ESEMeD/MHEDEA 2000 investigators. (2005). Empirical evidence for an invariant three- factor structure of the Parental Bonding Instrument in six European countries, Psychiatry Research, 135, 237-247.

32.

Fromm, E (1955). The sane society. New York: Reinhart and Winston.

33.

Fromm, E (1962). Beyond the chain of illusion. New York.: Simon and Schuster.

34.

Fromm, E. (1992). The influence of social factors in child development. In the Yearbook of the international Erich Fromm Society. 3. Mȕnster: LIT-Verlag. 163-165. http://www.erich -fromm.de/e/에서 2008, 9, 5 인출.

35.

Funk, R. (2004). Young people and the “post-modern” character. Fromm Forum. 8. 15-20. http://www.erich-fromm.de/e/에서 2008, 9, 5 인출.

36.

Funk, R. (2007). Erich Fromms kleine Lebensschule. Freiburg im Breisgau: Herder.

37.

Gardiner, H. W. (1994). Child development. In L. L. Adler & U. P. Gielen (Eds.) Cross- cultural topics in psychology. Westport: Praeger. 61-72.

38.

Gibson, J. T., & Chandler L. A. (1988). Educational psychology: Mastering principles and application. Boston: Allyn and Bacon.

39.

Gilligan, C. (1982). In a different voice: Psychological theory and women's development.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40.

Hofstede, G. H. (1980). Culture's consequence. Beverly Hills, CA: Sage.

41.

Jenkins, R. L. (1973). Behavioral disorders of childhood and adolescence. Springfield: Thomas.

42.

Kishton, J. M., & Widaman, K. F. (1994). Unidimensional versus domain representative parceling of questionnaire items: An empirical ex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54, 757-765.

43.

Levy, D. M. (1943). Maternal overprotection. NY: Columbia University Press.

44.

Little, T. D., Cunningham, W. A., Shahar, G., & Widaman, K. F. (2002). To parcel or not to parcel: Exploring the question, weighing the merit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9(2), 151-173.

45.

Muris, P. (2006). Maladaptive schemas in non- clinical adolescents; Relations to perceived parental rearing behaviours, big five personality factors and psycho-pathological symptoms.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3, 405-413.

46.

Parker, G. (1983). Parental overprotection: A risk factor in psychosocial development. New York: Grune & Stratton.

47.

Rest, J. R. (2008). 도덕발달 이론과 연구. 〔Moral development: Advances in research and theory〕. (문용린․유경재․원현주․이지혜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86년에 출판).

48.

Rohner, R. P. (1994). Patterns of parenting: The warmth dimension in cross-cultural perspective. In W. J. Lonner & R. S. Malpass(Eds.). Readings in psychology and culture. Needham Heights, MA: Allyn and Bacon.

49.

Rosenberg, M. (1979). Society and adolescent self- image: conceiving the self. NY: Basic Books Inc.

50.

Rutter, M. (1972). Maternal deprivation reassessed. Harmondsworth, England: Penguin.

51.

Saul, L. J. (1977). The childhood emotional pattern, New York: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52.

Social Development Research Group in University of Washington. (n.d.). http://depts.washingto- n.edu/sdrg/ 에서 2007, 5, 3 인출.

53.

Sweder, R. A., Mahapatra, M., & Miller, J. G. (1987). Culture and moral development. In J. Kagan & S. Lamb (Eds.) The emergence of morality in young childre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83.

54.

Triandis, H. C. (1995). Individualism & collectivism. Oxford: Westview Press.

55.

Turiel, E. (1983). The development of social knowledge: Morality and convention.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56.

Walker, L. J., & Pitts R. C. (1998). Naturalistic conception of moral maturity. Developmental Psychology, 34(3), 403-419.

57.

Yang, K. S. (1981). Social orientation and individual modernity among Chinese students in Taiw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13, 159-17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