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진로 및 직업 상담자의 역량진단검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Development of the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or's Competences Scale and Validatio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1, v.30 no.2, pp.461-481
김수향 (광운대학교)
탁진국 (광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상담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해 진로 및 직업 상담자에게 어떤 역량이 필요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이들의 역량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담 대상자의 발달 단계에 따라 구분되는 역량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의 역량을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16명의 진로 및 직업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고, 이를 토대로 문항을 개발한 후 척도의 타당도 분석을 위해 120명의 진로 및 직업상담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6개의 역량 요인과 49문항의 세부 역량 요소가 추출되었다. 역량요인은 ‘진로 및 직업 정보관리 능력’, ‘전문가 정신’, ‘진로 및 직업 상담능력’, ‘내담자에 대한 긍정적 태도’, ‘진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능력’, ‘진로상담에 관한 전문지식’이다. 상담 대상별로 필요한 역량에 대해 분석한 결과, 청소년 대상 상담자는 진로 상담에 대한 전문지식이, 대학생과 성인 대상 상담자는 진로 및 직업 정보관리능력이 가장 높게 나왔다. 그리고 현재 진로 및 직업 상담자의 보유 역량 현황은 전체적으로 내담자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나 전문가 정신은 높으나 진로상담에 관한 전문지식과 진로 및 직업 정보관리 능력은 부족한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진로 및 직업 상담자에게 갖추어야 할 역량을 밝히고 역량 향상의 필요에 대해 논의하였으며 후속연구에서는 필요한 역량과 연계된 교육과정의 연구와 상담 경력에 따라 구분되는 필요 역량에 대한 연구를 제언하였다.

keywords
진로 및 직업상담자, 역량진단검사, 타당화,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or, competences diagnostic scale, validation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variety of competencies which are required for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ors and identify which competencies are more important for these counselors depending on a developmental stage of clients. In order to develop preliminary item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16 current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ors and other criteria variables were administered to 120 professionals working in an area of career counselors.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showed that a six factor solution appeared to be the best in terms of interpreting the construct. Also 49 items were finally ident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Those extracted competency factors were ‘management skills of career and vocation information’, ‘Professional spirit’,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ing skills’, ‘Positive attitude about client’, ‘Career program development and management skills’, and ‘Expert knowledge in career counseling’. The results of frequency analyses of in-depth interview showed that expert knowledge was the most required competence for the counselor group specializing for adolescents while information on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ing was the most required competence for both counselor groups specializing for undergraduate students and adults, respectively. Also the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ors have generally high level of competencies of ‘positive attitude about client’ and ‘professional spirit’ but have low level of competencies of ‘expert knowledge in career counseling’ and ‘management skills of career and vocation information’. Finally, limitations, future studie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진로 및 직업상담자, 역량진단검사, 타당화, Career and vocational counselor, competences diagnostic scale, validation

참고문헌

1.

가은희 (2002). 온라인 교수자의 역할 및 역량 규명을 위한 델파이 연구.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강순희, 신범석 (2002). 지식경제와 핵심역량. 한국노동연구원.

3.

권경인 (2001). 상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집단상담자 요인: 집단상담자 경력을 중심으로. 학생연구. 35(1), pp.96-111.

4.

김계현 (1995). 상담심리학. 서울: 학지사.

5.

김도영 (2001). 기업장면에서 맥락수행의 구성요인과 성격 5요인과의 관계.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병숙 (2001). 한국의 직업상담 중요성과 발전과제. 경기행정논집, 제15집 (2001.12) pp.187-221

7.

김봉환 (2000). 청소년 진로상담 정책의 현황과 과제. 청소년상담연구, 8(1), pp.146-169.

8.

김봉환 (2003). 행복한 직업생활을 조력하기 위한 상담자의 역할 탐색. 상담학연구, 31(3), pp.381-396.

9.

김희연 (2006). 직업상담원의 직무만족과 전문직업적 정체성과의 관계. 한국기술교육대 테크노인력개발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삼일회계법인, Hewitt Associates Korea (2001). 정부역량모델 구축과 시범적용. 삼일회계법인.

11.

안창규 (1997). 진로상담의 발전과제와 전망. 한국진로상담학회지, 2(1), pp.1-16.

12.

유현실 (2009). 진로상담전문가의 역량모형 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3.

윤영란 (2008). 대학생의 효과적인 진로지도 방안 연구: 진로교과목 수업과 진로 집단상담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윤형한 (2009). 직업상담자의 전문성 발달과정과 영향요인.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이영대, 임 언, 이지연, 최동선, 김나라 (2004). 생애단계별 진로교육 목표 및 내용체계 수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6.

임범식 (2001). 고용형태와 직무형태에 따른 경력관련 변인들에서의 관계.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장홍근 (2000). 공공직업안정기관의 취업알선·직업상담 실태와 효과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8.

조현서, 곽창래 (2004). 대학의 미래지향적 진로상담 방향. 학생생활연구, 18(2), pp. 127-141.

19.

최동선, 김나라, 강길훈 (2008). 취업관련 통합정보망 구축에 대한 기초조사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20.

최윤미 (2003). 한국 상담전문가의 역할과 직무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179-200.

21.

최종길 (2006). 직무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경력발달 단계의 조절효과. 광운대학교 일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탁진국 (1999). 21세기 산업 및 조직심리학의 과제와 전망.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2(2), 39-59.

23.

탁진국 (2008). 경력발전경로에 기반한 자가학습진단시스템 개발(Ⅰ). 광운대학교.

24.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998). 직업상담원 직무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5.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노동부 (2002). 직업훈련 상담자 매뉴얼.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6.

Blau, G. (1985). The measurement and prediction of career commitment. Journal of Occupational Psychology, 58, 277-288.

27.

Boyatzis, R. E. (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John Wiley.

28.

Cammann, C., Fichman, M., Jenkins, D., & Klesh, J. (1983). Assessing the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members. In S. Seashore, E. Lawlerm, P. Mirvis, & C. Cammann (Eds.), Assessing organizational change: A guide to methods, measure and practice. (pp.84), New york: John Wiley.

29.

Childs., A & Klimoski, R. J. (1986). Successfully predicting career success: An application of the biographical inventory.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1, 4-5.

30.

Crites, J. O. (1973). Career maturity. NCME, 4, 1-8.

31.

Crites, J. O. (1981). Career Counseling: Model, Method, Materials. New York: McGraw-Hill.

32.

Erikson, E. H. (1963). Childhood and Society. New York: Norton.

33.

Ginzberg, E., Ginsburg, S. W., Axelrad, S. & Herma, J. L. (1951). Occupational choice.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34.

Greenhaus, J. H., Parasuraman, S., & Wormley, W. M. (1990). Effects of race on organizational experiences, job performance evaluations, and career outcomes.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3, 64-86.

35.

Kline, P. (1994). An Easy Guide to Factor Analysis. London: Routledge.

36.

Lucia. A. D. & R. Lepsinger (1999). The Art and Science of Competency Models. 정재창 외 역. 알기쉬운 역량모델링. 서울:PSI 컨설팅.

37.

McClelland, D. C. (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 1-14.

38.

Mirabile, R. J. (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and Development, 73-77 Occupational choice: An approach to a general theory. New York: Columbia University Press.

39.

Spencer, L. M. & Spencer, S. M. (1993). Competence at Work. John Wiley & Sons: Nerw York, NY.

40.

Super, D. E. (1975) The psychology of careers. New York: Harper & Row.

41.

유럽직업교육훈련개발센터: European Centre for the Development of Vocational Training (CEDEFOP) www.cedefop.europa.eu

42.

미국진로개발협회: National Career Development Association(NCDA) www.ncda.org

43.

캐나다 온타리오 진로개발실천자협회: Ontario Alliance of Career Development Practitioners (OACDP) www.oaccdp.on.ca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