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본 연구는 개인이 경험하는 정서경험 표현과정에 따라 생활적응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학생의 정서경험에서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명확성, 정서표현양가성의 표현과정에 따라 어떤 하위유형 집단이 존재하는지 알아보고 이러한 정서경험 표현과정의 개인차가 개인의 대인관계능력과 심리적 안녕감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대학생 337명(여성 153명, 남성 184명)이었고 군집분석 결과 3개 집단이 존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군집 1은 정서강도와 정서주의가 높고 정서명확성은 평균수준이며 정서표현양가성은 높은 집단으로 ‘혼란집단’으로 명명하였고 군집 2는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명확성 모두 낮고 정서표현양가성은 높은 집단으로 ‘억압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군집 3은 정서주의와 정서명확성이 높고 정서강도는 평균보다 약간 낮으며 정서표현양가성은 낮은 집단으로 ‘솔직집단’으로 명명하였다. 이렇게 구분된 세 집단간의 차이를 대인관계능력과 심리적 안녕감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솔직집단이 대인관계능력, 심리적 안녕감 모두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나 가장 적응적이었으며 억압진단이 대인관계능력, 심리적 안녕감 모두 가장 낮은 수준을 보여 부적응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근거하여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how major variables of emotional experience and expression such as affect intensity, emotional attention, emotional clarity and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re combined to form a certain spontaneous group, and whether personal differences in this emotional process lead to any difference in interpersonal 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s a result of cluster analysis targeting a total of 337 local university students(184 male students and 153 female one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irst, ‘Confusion Group’ with high affect intensity, emotional attention, average emotional clarity and hi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second, ‘Repression Group’ with low affect intensity, emotional attention, emotional clarity and high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last, ‘Honesty Group’ with high emotional attention, emotional clarity, affect intensity slightly below the average and low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This study fou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interpersonal abi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between the groups. ‘Honesty Group’ was generally most adaptive and ‘Repression Group’ turned out to be most inadaptable. Last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39.
김수안, 민경환 (2006). 자신의 감정에 압도된 사람들의 성격, 정서특성 및 주관적 안녕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3), 45-66.
박지선, 김인석, 현명호, 유재학 (2008). 정서자각 결함, 정서 표현성, 정서 표현에 대한 양가감정이 신체화, 우울, 스트레스 경험빈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3), 571-581.
송지준 (2010). 논문작성에 필요한 SPSS/ AMOS 통계분석방법. 서울: 21세기사.
양병화 (2006).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이경희, 김봉환 (2010). 정서표현양가성과 정서조절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정서명확성, 정서강도 및 정서주의의 군집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369-384.
이주일, 황석현, 한정원, 민경환 (1997). 정서의 체험 및 표현성이 건강과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117-140.
이지영 (2009). 정서강도와 정서조절방략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4), 1217- 1226.
이훈구, 이수정 (1997).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95-116.
임전옥, 장성숙 (2003).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조절양식과 심리적 안녕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2), 259- 275.
장정주 (2011). 정서자각을 위한 마음 챙김 명상 정서에 대한 알아차림을 통한 정서표현의 효과. 한국심리학회: 한국심리학회 연차 학술발표논문집, 409-409.
장정주, 김정모 (2008). 정서적 자각, 표현 및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과 대인관계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697-714.
정호권 (2003). 의사소통훈련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인간관계 및 사회성 증진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최해연, 민경환 (2007). 한국판 정서표현에 대한 양가성 척도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4), 71-89.
최해연, 이동귀, 민경환 (2008). 정서강도, 정서주의, 정서명료성 및 정서표현양가성의 군집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4), 59-73.
Bastian, V. A., Burns, N. R., & Nettelbeck. T. (2005). Emotional intelligence predicts life skills, but not as well as personality and cognitive abiliti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9, 1135-1145.
Ciarrochi, J. Chan, A, & Caputi, P. (2000). A critical evalu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construct.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8, 539-561.
Ciarrochi, J., Deane, F. P., & Anderson, S. (2002). Emotional intelligence moder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and mental health.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2(2), 197-209.
Gohm, C. L. (2003). Mood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dividual differ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3), 594-607.
Gohm, C. L., & Clore, G. L. (2000). Individual differences in emotional experience: Mapping available scales to processe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6, 679-697.
Hair, J. F., & Black, W. C. (2000). Cluster analysis. In L. G. Grimm & P. R. Yamold(Eds.). Reading and understanding more multivariate statistics(pp.147-20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Kennedy-Moore, E., & Watson, J. C. (1999). Expressing emotion: Myths, realities, and therapeutic strategies(p.3-22). New York: The Guilford Press.
King, A, M., & Emmons, R. A. (1990). Individual differences in dispositional expressivenes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emotional expressivity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8, 864-877.
Larsen, R. J., & Diener, E. (1987). Affect intensity as an individual difference characteristic: A review. Journal of Research in Personality, 21, 1-39.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vey, C., & Plafai, T. P.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In J. W. Pennebaker (Ed.),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p. 125-154).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Simpson, J., Ickes, W., & Blackstone, T. (1995). When the head protects the heart: Empathic accuracy in dating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629-641.
Swinkels, A., & Giuliano, T. A. (1995). The measurement and conceptualization of mood awareness; Attention directed toward one's mood stat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1, 934-949.
Traue, H. C. (1995). Inhibition and muscle tension in myogenic pain. In J. W. Pennebaker(Ed.), Emotion, disclosure, & health(p.155-175).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einberger, D. A. (1990). The construct validity of repressive coping style. In J. L., Singer(Ed), Repression and dissociation(337-386),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