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청소년 강점척도 개발 및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and Validiation of the Adolescents Strengths Assessment Inventor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3, v.32 no.4, pp.803-828
김기년 (광운대학교)
탁진국 (광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청소년의 강점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첫째, 척도 개발을 위해 기존 연구들과 교사와 학무모와의 개방형 설문과 면담, 교사의 청소년들에 대한 학생특성기술문 등을 바탕으로 청소년들의 강점을 분석하여 27개 강점 요인을 도출하였고, 총 256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둘째, 개발된 예비문항을 청소년 810명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분석과 문항 검토 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27개 요인과 188개 문항으로 구성된 척도가 완성되었다. 셋째, 개발된 척도의 타당화를 위해 청소년 928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여 척도의 신뢰도, 구성개념 타당도, 준거관련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준거관련 타당도 분석에는 청소년의 성적과 삶의 만족도 관련 변인으로 자기만족, 가족만족, 학교만족, 친구만족, 주변환경만족을 준거변인으로 선정하였다. 신뢰도 및 요인분석결과 적합한 수준의 신뢰도와 20개 요인구조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준거관련 타당도 분석 결과 강점 요인은 5개 준거와 대부분 정적으로 유의하게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척도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 하였다.

keywords
강점, 청소년 강점 척도, 척도 타당화, 청소년 삶의 만족도, 성적, Strengths, Adolescents Strengths Assessment Inventory,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Adolescents Strengths Assessment Inventory(ASAI) in Korea and to validate the scale. First, preliminary 256 items with 27 factors were obtained based on a number of ways. These items were administered to 810 adolescents. Based on the preliminary study, 188 items with 27 factors were obtained. These items were administered to 928 adolescents. The to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sub-groups in order to check cross-validity of the scale. The results of factor analyses showed that the 20 factor model with 107 items were satisfactory. The reliabilities of 20 factors were also satisfactory. These strengths factor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criteria such as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grade, confirming criterion-related validity of the scale.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강점, 청소년 강점 척도, 척도 타당화, 청소년 삶의 만족도, 성적, Strengths, Adolescents Strengths Assessment Inventory, reliability, construct validity, criterion-related validity

참고문헌

1.

곽금주 (1995). KLSSA 검사에 의한 청소년기 삶의 만족도.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2(1), 5-16

2.

임영진 (2010). 성격 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

탁진국 (2009). 심리검사 - 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4.

Asplund, J. M. A., Lopez, S., Hodges, T. M. S., & Harter, J. (2007). Clifton Strengths Finder 2.0 technical report: Development and validation. Princeton, NJ: The Gallup organization.

5.

Buckingham, M., & Clifton, D. O. (2007). Now, discover your strengths. New York: Free Press

6.

Berkowitz, M., & Bier, M., (2004). Research-Based Character Education. The ANNALS of the American Academy of Political and Social Science 591, 7.

7.

Clifton, D. O., & Nelson, P. (1992). Sour with your strengths. New York: Delacorete Press.

8.

Colby, A., James, J. B., & Hart, D. (1998). Competence and Character through Lif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9.

Durlak. J. A., Wells A. M., (1997). A meta-analytic review of primary prevention programs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contributions and caveats. Special Issue: Meta-Analysis of Primary Prevention Programs, p.115.

10.

Huebner, E. S., (1994). Preliminar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life satisfaction scale for children, Psychological Assessment, 6, 149-158.

11.

Linley, A. P., Stoker, H. (2012). Realise2 Technical Manual, UK: CAPP.

12.

Lopez, S. J., Harter, J., Juszkiewicz, P., & Carr, J. (2006). Clifton Youth StrengthsExplorer technical report: Development and initial validation. Princenton, NJ: The Gallup Organization.

13.

Park N. S., Peterson, C. (2006). Character strengths and happiness among young children-content analysis of parental description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 323 -341.

14.

Park N. S., Peterson, C. (2005). Values in Action(VIA) Inventory of Strengths for Youth, Adolescent & Family Health, 4, 34-40.

15.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 603-619.

16.

Linley, A. P., & Harrington, S. (2006). Strengths Coaching: A potential-guided approach to coaching psychology.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1, 37-46.

17.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Y: Oxford University Press/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8.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19.

Sheldon, K. M., & King, L. (2001). Why positive psychology is necessary. American Psychologist, 156, 216-217.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