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Development of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Healthy Marital Relationship of Middle-aged Korean Couples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4, v.33 no.1, pp.25-5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healthy marital relationship scale in middle age. First of all, it analyzed documentary consideration, couple-interview data, and couple-related scales and then prepared 104 basic preliminary questions. Next, experts including a professor of psychology, a professor of social welfare, a doctor of psychology, and a teacher of Korean language validate the contents of the basic preliminary items over 4 times, thereby have developed 59 items of the preliminary scale.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arried out targeting 223 married men and women in their middle age with the developed preliminary scale. As the result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 factors were confirmed: 10 items for equality/value factor and 10 items for communication/intimacy factor. As the result of carrying ou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final healthy marital-relationship scale in middle age, a model of 2 factors was confirmed to be suitable. The convergent and discriminative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the correlation with COMOSWB (Concise Measure of Subjective Well-Being), Dyadic Adjustment Scale, and Conflict Coping Scale. Finally, significance and limitation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건강한 부부관계, 의사소통, 친밀감, 평등, 가치관, Healthy Marital Relationship, Communication, Intimacy, Equality, Value

Reference

1.

구혜경 (2008). 기혼부부의 결혼 만족도, 이혼고려 정도 및 이혼 장애요인에 관한 연구. 가족과 문화(한국가족학회), 20(4), 1-34.

2.

권정혜, 채규만 (1998). 한국판 결혼만족도 검사의 표준화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대회 학술발표논문집, 35-51.

3.

김경진 (2011). 중년기 부부의 건강한 부부관계 요인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김기환 (1967). 이혼에 영향적인 심리적 변인에 관한 일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1), 5-8.

5.

김명자 (1998). 중년기 발달이론. 서울: 학지사.

6.

김미숙 (1990). 도시부부의 결혼안정성 및 그 관련 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8(1), 171-183.

7.

김성봉 (2012). 문제행동청소년의 가족경험에 대한 통합적 접근. 원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8.

김수현 (1985). 부부갈등과 치료적 개입. 성심생활(성심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4, 3-18.

9.

김순옥 (2001). 부부의사소통 교육프로그램 개발. 한국가족관계학회지, 6(1), 137-157.

10.

김영자 (1999). 중년기 부부 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주혜 (1994). 의사소통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부부들의 의사소통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논문 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13.

김현리 (2000). 부부조화 측정 도구 개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4.

김혜신 (2003). 맞벌이부부의 부모역할갈등과 심리적 복지.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홍숙 (2006). 갈등부부를 위한 부부교육 프로그램 개발.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마양호 (2008). 근로자 부부관계 건강성의 정도가 작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광운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문수백 (2009). 구조방정식 모델링의 이해와 적용. 서울: 학지사.

18.

박영화, 고재홍 (2005). 부부의 자존감, 의사소통 방식 및 갈등대처행동과 결혼만족도간의 관계: 자기효과와 상대방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1), 65-83.

19.

박옥임 (1996). 한국 가족의 부부관계 갈등과 해소방안에 관한 고찰. 과학과 교육, 4, 189-202.

20.

박중규 (2009). 청소년 대상 단축형 13문항 Marlowe-Crowne 사회적 바람직성 척도의 요인구조.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3), 429-439.

21.

박태영 (1996). 재미유학생 부부문제에 대한 상호작용적 가족치료의 적용.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3, 29-51.

22.

박형석 (2000). 중년기 부부위기 극복에 관한 목회적 제언. 호남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배병렬 (2009). AMOS 17.0 구조방정식 모델링. 서울: 도서출판청람.

24.

백승순 (2001). 기독교인 중년부부를 위한 관계증진 프로그램 개발. 한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서은국, 구재선 (2011). 단축형 행복척도(COMOSWB)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1), 95-113.

26.

송정아 (1995). 한국 도시 부부의 건강한 결혼관련 변인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3(1), 69-77.

27.

송하길 (2004). 바람직한 부부관계를 위한 기독교적 상담 연구. 호남신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8.

성태제 (2002). 타당도와 신뢰도. 서울: 학지사.

29.

신외숙 (2002). 중년기 부부관계 향상프로그램의 효과검증.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안창현 (2008). 부부의 자아존중감, 의사소통 및 가족 응집성․적응성과 갈등대처방식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양병화 (2002). 다변량 데이터 분석법의 이해: 마케팅, 사회 및 행동과학을 위한 SPSS for Window 100% 활용.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2.

오윤선 (1997). 중년기 위기에 대한 예방과 기독교 상담. 일립논총(한국 성서대학교), 5, 69-92.

33.

오종희 (2008). 성의식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21세기 사회복지연구, 5(1), 137-158.

34.

옥선화 (2004). 20, 30대 이혼 남녀의 이혼 후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생활만족도와 건강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2(12), 167-187.

35.

이경성, 한덕웅 (2003). 결혼적응검사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3), 679-705.

36.

이근후 (1990). 사회적응을 위한 인간관계. 서울: 하나의학사.

37.

이동숙 (2006). 중년기 부부성장 집단 프로그램. 성신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8.

이영준 (1991). 다변량 분석. 서울: 석정.

39.

이윤로, 유시순 (2004). 노인 부부의 결혼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임상사회사업연구, 1(1), 1-21.

40.

이은아 (2006). 중년기 남녀의 성역할 정체감과 부부갈등 및 심리적 적응의 관계. 한국가족자원 경영학회지, 10(1).

41.

이잠숙 (2010). 중년기 부부갈등해결을 위한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과 효과검증: 한알 집단상담 모델을 중심으로. 서울벤처정보대학원 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2.

이창숙, 유영주 (1998). 부부갈등해결 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Baucom과 Epstein의 인지 행동적 치료모델에 기초하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3(1), 46 - 71.

43.

이화자, 최연실 (2003). 중년기 부부관계증진(enrichment)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성 연구: Satir 가족치료모델을 중심으로. 한국 가족치료학회지, 11(2), 49-76.

44.

이희백 (2009). 중년기 부부갈등 요인에 관한 연구: 아내의 관점에서.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2(1), 77-88.

45.

장병옥 (1997). 취업주부의 부부 역할수행, 가정생활 기여도 및 만족도.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6.

장상희 (1988). 도시 중년주부의 역할부재와 아노미에 관한 연구. 한국사회학, 22(1), 1061-1089.

47.

전명숙 (1986). 중년기 가정의 부부생활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정진오, 변상해 (2009). 중년기 부부갈등을 대처하는 성경적 부부 치유 프로그램. 복음과 실천신학, 19.

49.

정현숙 (2001). “디지털 시대, 협공 받는 중년기 가족”, 디지털 시대, 중년기 가족의 가정관리 전략. 제30차 추계학술대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6.

50.

조민아, 고은영, 서영석 (2012). 잠재평균 분석을 활용한 학업태도 차이 검증: 대학생 미성취 집단과 보통 이상 성취 집단 간 비교. 청소년학연구, 19(2), 55-77.

51.

진선영 (2004). 역기능 가정 속에서 성장한 중년기 부부갈등 회복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복음신학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2.

최규련 (1994). 가족체계 유형과 부부간 갈등 및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2(2), 140-152.

53.

최성일 (2004). 개정판 부부적응척도(Dyadic Adjustment Scale)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대한 연구. 고황논집(경희대학교), 35, 97- 114.

54.

최영민 (2010). 결혼 행복감의 결정요인 분석: 소득수준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9, 85-113.

55.

최윤화 (2000). 부부관계증진 프로그램이 부부 의사소통과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아동교육학회지: 아동교육, 9(2), 13-25.

56.

최은석 (2004). 청소년의 건강관련 삶의 질 측정도구(PedsQLTM 4.0 Generic core Scale)의 타당도․신뢰도 검증.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7.

최은희 (1993). 부부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고찰. 가정학연구(관동대학교), 11, 61-74.

58.

한국경제 매거진 (2012). http://magazine. hankyung.com/busnews?popup=0&nid=01&c1 =1004&nkey=2012043000856000371& mode=sub_view.

59.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 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60.

홍순건 (2006). 건강한 부부의 특징: Gottman의 이론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1.

홍정의 (2008). 중년위기 부부의 갈등과 성경적 상담. 한국성경적 상담학회, 8, 1-18.

62.

Barlett-Lennard, G. T. (1991). Relationship inventory-form os-64. Unpublished.

63.

Bienvenu, M. (1970). Measurement of marital communication. Family Coordination, 19(1), 26 -31.

64.

Christensen, A., & Sullway, M. (1984). Communication Patterns Questionnaire. Unpublished questionnaire, University of California, LA.

65.

Crowne, D. P., & Marlowe, D. (1960). A new scale of social desirability independent of psychopatholog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24, 349-454.

66.

Hoff, F. V. (2004). 김영중 역. 희망을 거래한다. 서울: 서해문집.

67.

Gottman, J. M. (1994). Why marriages succeed or fail. NY: Simon & Schuster.

68.

Gottman, J. M. (1999). The marriage clinic: A scientifically-based marital therapy. N.Y: W.W. Norton.

69.

Gottman, J. M. (2002) 임주현 역. 행복한 부부, 이혼하는 부부. 서울: 문학사상사.

70.

Keyes, C. L. M., & Ryff, C. D. (1999).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life. In S. L. Willis & J. D. Reid (Eds.), Life in the middle: Psychological and social development in middle age, 161-182. San Diego, CA: Academic Press.

71.

Moore, K. A., Jekielek, S. M., BronteTinkew, J., Gozman, L., Rhan, S., Redd, Z.(2004). What is “Healthy marriage”? Defining the Concept. Washington, D. C., Child Trend.

72.

Newman, Barbara M. & Newman, Philip R. (2006). Development through life a psycho-social approach. Califonia: Brooks/Cole Publishing co.: 442-443.

73.

Rauer, A. J. (2006). Identifying happy, healthy marriage for men, women and children. University of Michigan.

74.

Robles, T. F., & Kiecolt-Glaser, J. K. (2003). The physiology of marriage: Pathway to health. Physiology and behavior, 79, 409-416.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