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청소년 강점척도의 구성타당도 분석

Construct Validity of the Adolescents Strengths Assessment Inventor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15, v.34 no.1, pp.185-203
임그린 (광운대학교)
탁진국 (광운대학교)
김기년 (광운대학교)
김태은 (광운대학교)
임광모 (광운대학교)
김거도 (광운대학교)
방준석 (광운대학교)
임슬기 (광운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김기년과 탁진국(2013)의 청소년용 강점척도를 재 타당화 하기 위해 전국 규모의 표집을 통해 강점검사의 타당도, 특히 구성타당도를 재분석하여 동일한 20개 요인구조가 도출되는지를 검증하고, 이러한 요인구조가 전체 청소년, 성별(남/여), 학년(중학교/고등학교), 남자(중/고등학생), 여자(중/고등학생) 등 하위집단으로 구분하였을 때도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국의 중학교 및 고등학교 학생 33,379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한 총 32,640명의 자료를 주성분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얻어진 20개 요인과 94개 문항을 각 집단에 적용하여 동일한 요인이 도출되는지를 확인한 결과, 남자 고등학생 집단을 제외한 모든 집단, 즉 전체 응답 집단, 여학생 전체 집단, 남학생 전체 집단, 고등학생 전체 집단, 여자 고등학생 집단, 중학생 전체 집단, 남자 중학생 집단, 여자 중학생 집단에서 동일한 20개 요인이 도출되어, 20개 요인구조모형이 일관성 있게 적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이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인 20개 요인구조의 타당성을 재검증하고자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20개 요인구조 모형의 적합도가 양호하여 구성타당도를 입증할 수 있었다. 한편 남자 고등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한 요인분석에서는 예의와 배려 요인이 동일한 요인으로 묶여 19개 요인구조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과정에서 4개 요인의 요인명이 변경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 및 실무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 하였다.

keywords
Strengths, the adolescents strengths assessment inventory, construct validity, 강점, 청소년 강점 척도, 구성타당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nstruct validity of the Adolescents Strengths Assessment Inventory(Kim & Tak, 2013). Data were obtained from 33,379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across the country. The whole data were divided into various subgroups to see if the same factor structure is consistently found for each subgroup. These subgroups are as follows: male and female students, junior and high school students, male junior and male high school students, female junior and female high school students. Results showed that the same 20 factors emerged for the whole data as well as for each of the subgroups, except for the male high school students. 19 factors were found for the male high school group. Also, the names of four factors were changed. The interpretations and implications and of the results were discussed.

keywords
Strengths, the adolescents strengths assessment inventory, construct validity, 강점, 청소년 강점 척도, 구성타당도

참고문헌

1.

권석만 (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2.

권석만, 김지영, 하승수 (2012). 청소년용 성격강점검사 전문가 지침서. 서울: 학지사 심리검사연구소.

3.

전정환 (2012). 강점기반상담모형을 토대로 한 진로의사결정프로그램이 전문계고등학생의 자기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기년, 탁진국 (2013). 청소년 강점척도 개발 및 타당도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2(4), 803-828.

5.

김성순 (2014). 한국판 청소년용 성격강점 척도 타당화 연구.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손강숙, 주영아 (2014). 청소년 자기표현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청소년 복지연구, 16(3). 77-104.

7.

송정두 (1981). 청소년 이론.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8.

연세대학교사회발전연구소 (2010).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의 구축과 국제비교연구조사 결과보고서. 서울: 연세대학교사회발전연구소.

9.

연세대학교사회발전연구소 (2011).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국제비교. 서울: 연세대학교사회발전연구소.

10.

원두리 (2011). 경험논문: 성격 강점이 청소년의 안녕감과 적응적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6(1), 151- 167.

11.

이미리 (2003). 청소년기 행복감 수준의 일상 맥락 변화에 따른 다양성.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4), 193-209.

12.

이애경 (2012). 청소년의 비행과 성격강점, 심리 사회적 적응 간의 관계: 낙관성, 탄력성, 억압적 대처유형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임영진 (2012). 성격강점과 정신적 웰빙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3), 713-730.

14.

최상진, 김시업, 김은미, 김기범 (2000). 우리성, 정관계에서 나타나는 집단 편향 귀인 현상에 대한 문화심리적 해석: 겸손행위의 심층분석을 중심으로. 2000년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논문집, 76-77.

15.

탁진국 (2009). 심리검사-개발과 평가방법의 이해. 서울: 학지사.

16.

Asplund, J. M. A., Lopez, S., Hodges, T. M. S., & Harter, J. (2007). Clifton Strengths Finder 2.0 technical report: Development and validation. Princeton, NJ: The Gallup organization.

17.

Black, B. (2001). The road to recovery. Gallup Management Journal, 1(4), 10-12.

18.

Buckingham, M., & Clifton, D. O. (2007). Now, discover your strengths. New York: Free Press.

19.

Clifton, D. O., & Nelson, P. (1992). Sour with your strengths. New York: Delacorete Press.

20.

Colby, A., James, J. B., & Hart, D. (1998). Competence and Character through Life.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Hatter, J. K. (1998). Gage Park High Schol research study. Princeton. NJ: The Galup Organization.

22.

Huebner, E. S. (1994). Preliminar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dimensional life satisfaction scale for children. Psychological Assessment, 6, 149-158.

23.

Linley, A. P., & Stoker, H. (2012). Realise2 Technical Manual, UK: CAPP.

24.

Park N. S., & Peterson, C. (2006). Character strengths and happiness among young children-content analysis of parental description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7, 323 -341.

25.

Park N. S., & Peterson, C. (2005). Values in Action(VIA) Inventory of Strengths for Youth, Adolescent & Family Health, 4, 34-40.

26.

Park, N.,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Reply: strengths of character and well-being: a closer look at hope and modesty.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23(5), 628-634.

27.

Linley, A. P., & Harrington, S. (2006). Strengths Coaching: A potential-guided approach to coaching psychology. International Coaching Psychology Review. 1, 37-46.

28.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Y: Oxford University Pres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9.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 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30.

Educational Horizons (2006). The Clifton Youth Strengths Explorer Assessment: Identifying the Talents. Today's Youth, 84(3), 183-189.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