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심리학을 비롯하여 사회복지학, 간호학, 종교학, 교육학 등 휴먼서비스와 관련된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영성이 인간의 삶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을 살펴보는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었다. 이와 같이 영성을 주제로 하는 연구가 최근 들어 크게 활성화됨에 따라 영성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향후 과제를 전망하는 논문들도 여럿 발표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는 모두 영성을 주제로 하는 국내 연구들이 현재까지 어떤 사람들을 대상으로 어떤 측정도구와 분석방법을 사용해서 어떤 유형의 연구를 했는지 등을 파악하고 이를 기초로 향후 연구의 유형과 대상은 어떠해야 하며 어떤 측정도구와 분석방법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지 진단․처방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와 같은 기존의 동향분석 연구와 달리, 본 연구에서는 영성을 주제로 하는 연구들에서 영성과 관련하여 사용한 변수와 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이들 연구에서 (1) 영성 또는 영성프로그램이 구체적으로 인간의 어떤 긍정적 특성을 강화하고 어떤 부정적 특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는지, 또 (2) 어떤 변수 또는 프로그램이 영성수준에 차이를 가져오거나 영성을 증진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히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1970년대에서 2016년까지 영성을 주제로 하여 국내에서 수행된 논문 582편을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를 토대로, 대상자 집단의 특성과 요구를 고려한 집단별 맞춤형 영성증진 프로그램의 개발을 포함하여 향후 영성연구에서 다루어야 할 주요 주제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In a variety of people-oriented disciplines such as psychology, social welfare, nursing, education, a number of research were carried out to show positive influences of spirituality on various aspects of people's lives. As research on the topic of spirituality were vitalized lately, several articles analysing trends of spiritual research in Korea were published. They all, however, focused on identifying research methodology, participants of research, measuring instruments, method of analysis, etc. of advanced research on spirituality and on diagnosing and prescribing future directions of spiritual research in terms of those aspects. Different from these previous articles of trend analysis, the present article analysed variables and programs used in research on spirituality, and attempted to figure out (1) the positive (or negative) human attributes which proved to be facilitated (or suppressed) via spirituality or spiritual enhancement programs, and (2) the variables or programs which proved to demonstrate the effects of enhancing spirituality. In this article 582 pieces of spiritual research performed from the 1970s to 2016 were selected and analys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the topics to be addressed in future research on spirituality were discussed, including customizing spiritual enhancement programs suited to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various groups of people.
김용환, 최금주, 김승돈 (2009). 한국에서의 영성관련 연구동향 분석 및 학문적 함의. 상담학연구, 10, 813-829.
김유심 (2008). 빈곤층 여성한부모의 생활사건스트레스와 우울에 관한 대처자원 연구.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박사학위논문.
김유심 (2010).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빈곤층여성 한부모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영적안녕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28, 187-218.
박정해 (2006). 상담자의 자기위로능력, 영적안녕 및 상담자 발달수준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삭사학위논문.
백미숙, 정명숙 (2014).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자아탄력성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영적안녕의 조절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42, 27-49.
심은주, 이경화 (2012). 교육학 분야 영성연구의 동향과 과제-2000년부터 2022년까지발표된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열린교육연구, 20, 137-158.
양영은 (2009). 간호사의 영적안녕, 영적요구 및소진.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유승연 (2013). 영적 간호에 관한 국내 연구동향 분석. 성인간호학회지, 25, 332-343.
이상우 (2010). 근대통합교육에 대한 영성교육논의. 통합교육과정연구, 4, 69-91쪽.
이시형 (2005). 삶의 의미를 찾아서. 청아출판사.
이원규 (2015). 종교사회학의 이해. 사회비평사.
이혜숙 (1996). 임상사회복지에서의 영성 개념화를 위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정명숙, 강석임, 김승주, 전혜원 (2017). 우리나라 영성연구의 동향과 향후과제. 인간연구, 34, 93-126.
한규성 (2013). 공감과 영성이 사회복지사의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서강대학교 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aloutzian, R. F., & Ellison, C. W. (1982). Loneliness, spiritual well-being and the quality of life. In L. A. Paplau, & D. Perman (ed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pp.224-236). New York: John Wiley & Sons.
Seligman, M., & Csiks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Seligman, M., Ernst, R. M., Gillham, J., Reivich, K., & Linkins, M. (2009). Positive education: Positive psychology and classroom interventions. Oxford Review of Education, 35(3), 293-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