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이은아(경일대학교) pp.471-502 https://doi.org/10.22257/kjp.2018.12.37.4.471
초록보기
초록

안전기반치료(Seeking Safety)는 트라우마와 중독의 공존병리에 유일하게 효과적인 경험적 근거기반(strong evidence based treatments)을 가진 PTSD치료법이다. 국내에서 주로 활용하고 있는 기존의 트라우마치료기법들과는 다르게, 안전기반치료는 트라우마치유의 3단계 중, 안전단계에 집중하고 과거 트라우마사건의 노출을 지양하는 현재중심기법이다. 또한 안전기반치료는 인지행동주의에 기반을 둔 정교한 치료자용 매뉴얼과 방대한 내담자용 활동지를 제공하며 치료자의 자격요건에 큰 제약을 두지 않으며 고가의 장기적 훈련비용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점에서, 트라우마치유가 낯선 상담가나 다양한 학제배경과 전문가발달단계에 위치한 조력전문가들(helping professionals)이 적시성과 즉시성의 장점을 가지고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기법이다. 또한 안전기반치료의 장점은 외상사건이나 중독의 유형, 증상의 심각도에 제한받지 않고 활용가능하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 처음으로 안전기반치료를 소개하였다는 측면에서 그 의의를 가진다. 실제 트라우마 현장에서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적용가능방안도 함께 제시하여 안전기반치료에 대한 관심을 고취하고자 한다.

Abstract

Seeking Safety (SS) is the only PTSD treatment with strong evidence based that are effective for trauma and addiction. Unlike mainly used trauma treatments in Korea, SS is present-centered that focuses on the safety among the three stages of trauma and avoids unsafe exposure of past trauma. In addition, SS is theoretically based on cognitive behavior therapy, provides step-by-step manuals for therapists and vast worksheets for clients, does not place significant constraints on therapist's qualifications, and does not include long-term expensive training costs. Thus, it can be useful to work in the field with the advantage of timeliness and immediacy for counselors who have unfamiliar to trauma therapy and helping professionals who have various interdisciplinary backgrounds and developmental stages as experts. The benefits of SS can be applied to all types of trauma and addictive disorders. And it can also be used for out-of-the-box cases that have experienced trauma that does not fit the PTSD diagnostic system and various severity of the sympto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SS for the first time in Korea and to suggest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in the field of trauma.

신성만(한동대학교 심리학과) ; 박명준(한동대학교 심리학과) pp.503-530 https://doi.org/10.22257/kjp.2018.12.37.4.503
초록보기
초록

최근 중독의 개념이 물질에서부터 다양한 행동영역으로 확대되고 생물·심리·사회적 측면과 통합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기존에 중독을 설명해 왔던 모델들만으로는 이를 충분히 반영하고 설명하는 데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행동중독을 생리·심리적 균형 관점으로 설명하기 위해 다미주이론(polyvagal theory)과 동기균형이론(motivational balancing theory)을 중심으로 다양한 문헌을 고찰하고 종합하여 제시하였다. 먼저, 다미주이론(polyvagal theory)으로 스트레스의 지속적인 증가와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중독행동의 심화와 유지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는, 동기균형이론(motivational balancing theory)으로 인간의 기본동기인 자율감, 소속감, 유능감, 목표감의 불균형이 어떻게 중독행동과 연결될 수 있는지 설명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단기적인 동기균형을 성취하기 위해 중독가능성이 높은 행동을 실행하였을 때 개인의 알로스타시스적 부하량(allostatic load)이 감소하지 않아 다시 심리적 동기균형의 필요가 증가하고 이 균형을 되찾고자 하는 역기능적 시도가 행동중독과 같은 악순환으로 이어지게 된다는 관점 및 구체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행동중독에 대한 생리·심리적 균형 관점을 바탕으로 임상 및 상담현장에서 생물·심리·사회적 측면을 포괄하는 개입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Recently, it has been found that the concept of addiction can be broadly applied from substance abuse to diverse areas of behavior and be relevant with the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so, models that already explained addiction behavior has a limitation in reflecting and explaining the facts that are mentioned above.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the polyvagal theory and motivational balancing theory in order to explain behavioral addiction in a biopsychological balancing perspective. Specifically, it explained that the continuous increase of the stress and the efforts of the relieving it can affect the deterioration and maintenance of addictive behavior based on the polyvagal theory. Also, it described how the imbalance of human's basic needs such as autonomy, relatedness, competence and sense of goal can be related with the addiction behavior based on the motivational balancing theory. To sum up, perspective and specific model are suggested that when the addictive behavior is executed in order to achieve a short-term motivational balance, the allostatic load of the individual does not decrease, and thus the need for psychological motivation balance increases, which in turn leads to behavioral addiction. Finally, based on the physio-psychological balancing perspective on behavioral addiction study suggests the needs for the intervention that covers the biolog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aspects in clinical and counseling circumstances.

강승민(서강대학교 심리학과) ; 장재윤(서강대학교) pp.531-559 https://doi.org/10.22257/kjp.2018.12.37.4.5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 60대 초기 노년기 남녀 노인들의 일상에서 노인이 혼자 있는 것이 행복한지 타인과 함께 있는 것이 더 행복한지 비교하였고, 만약 타인과 함께 있는 것이 더 행복하다면 누구와 함께 있을 때 더 행복한 지 그리고 성별 조절효과가 있는 지 살펴보았다. ‘일상재구성법’으로 서울 거주 60대 노인 150명의 평범한 하루 속 대인관계 상황을 직접 조사하였고 위계적 선형 모형을 사용하여 노인들은 어떤 대상과의 상호작용에서 더 행복을 느끼는 지 비교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남녀 노인들은 혼자 있을 때보다 가족 또는 지인과 함께 있을 때 더 행복을 느꼈으나, 배우자와 함께할 때는 혼자 있는 것과 비교해 행복수준이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남녀 샘플을 구분하면 다소 다른 양상이 나타났다. 여성노인의 경우 혼자 있는 것보다 타인(가족이나 지인)과 함께 있을 때 더 행복하지만, 혼자 있을 때가 배우자와 함께 있을 때보다 유의수준에 근접하게 더 행복한 경향성을 나타냈다. 반면 남성노인들은 혼자 있을 때와 배우자, 가족 또는 지인과 함께 있을 때의 행복수준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논의하고 후속 연구들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ocial interactions and momentary happiness among Korean early elders in their 60's. We first examined if older adults are happier when interacting with others than being alone. Then we further examined whether their level of happiness differs depending on people they interact with,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der. Using a day reconstruction method, 150 Korean early elders in their 60's reported the social interactions and momentary happiness experienced during a single day. The results of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momentary happiness was significantly higher for the subjects who were engaged in relationships with friends or family members (excluding spouse) than those that were alone. Overall, elders felt happier interacting with their friends or family members than their spouse. However, gender difference was found: Old Korean women felt happier interacting with their friends or family members than interacting with their spouse. Moreover, they were happier alone than with their spouse at the marginally significant level. On the other h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ing alone and interacting with others in the level of momentary happiness for elderly men. Finally we discusse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ed future research directions.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