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2022년과 2023년, 2년에 걸쳐 한국심리학회를 포함하여 서로 다른 협/학회를 통해 보건복지부 법으로 발의된 5개의 심리사법은 국민정신건강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그러 나 해당 법률안들은 심리서비스 제공자의 전공, 담당 부서, 그리고 교육과 수련 연한 측면에 서 서로 첨예하게 대립한다. 발의된 법률안의 통과에는 학문적,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인 측 면에대한다양한직역과부서의타협과협의가필요한만큼, 해당이슈에대한객관적인근 거 마련이 필수적이다. 본 학술지에서는 지난해 특별호에 이어 올해도 특별 주제로 관련 논 문을 지속해서 발표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한국심리학회가 발의한 심리사법에 대해 심리학 적인 연구방법론을 통한 근거 축적으로 그 주장을 공고히 하는 계기가 될 것을 기대한다.
In 2022 and 2023, over a span of two years, five psychological service bills, including those proposed by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ere introduced through various associations and committees under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ct. These bills share a common goal of enhancing the mental health of the nation. However, they sharply contrast in terms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psychological service providers. The passage of the proposed bills requires diverse interpretations and negotiations from various sectors, including academic,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establish objective evidence on this issue. In this academic journal, following last year's special issue, we plan to continue presenting relevant papers as a special topic this year as well. Through this, we hope that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ill solidify its stance on the proposed psychological service bills through evidence accumulation using psychological research methodologies.
심리전문가 자격제도 관련 법안 발의를 전후로 국내 학계에서는 심리전문가 자격제도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지만, 심리전문가 자격제도의 법제화에 따르는 법적 쟁점은 소홀히 다루어졌다. 이에 이 글에서는 국민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국가의 책무와 심리전문 가 자격제도의 관계를 알아봤고, 심리전문가 자격제도의 법제화가 직업 선택의 자유를 침해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조건을 논의했으며, 전문적 표현이라는 개념을 토대로 심리전문가 자 격제도 법제화를 재해석했다.
In response to proposed legislation concerning the accreditation of psychological professionals, the Korean academic community has actively engaged in discussions surrounding the qualifications for these professionals. However, the legal intricacies arising from the legalization of the psychological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have received limited attention. This article explores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state’s responsibility to improve the mental health of its citizens and the psychological professional qualification system. It conducts an in-depth examination of the prerequisites necessary to safeguard individuals’ freedom of occupational choice within the legislative framework governing this qualification system. Additionally, this article presents a novel interpretation of the legal aspects related to the qualification system, rooted in the concept of professional speech.
본 연구는 서울 시민의 정신건강에 대한 서울심리지원센터의 역할 현황을 근거로 심리지원 서비스 모델의 전문성, 접근성, 확산성이 강조된 발전방안을 모색하고 제안하기 위해 수행되 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 전문가 초점집단면담, 서울심리지원센터 이용자 대상 만족도 조사 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서울심리지원센터는 지역사회 심리지원 서비스의 중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으며, 전문성, 접근성, 확산성을 강화하기 위한 다양한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지역사회 심리지원 서비스 확대를 위한 공통 표 준모델과 구체적인 실현방안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모델과 방안은 다른 지역에서도 지역사회 심리지원 서비스를 개발하는 데 참고할 수 있으며,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을 토대로 더욱 광범위하고 실제적인 지역사회 심리지원 서비스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role of the Seoul Psychological Support Center in the mental health of Seoul residents and to propose a model and development plan for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that emphasize professionalism, accessibility, and diffusion. To achieve this goal, a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s with experts, and a satisfaction survey of users of the Seoul Psychological Support Center were conducted.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Seoul Psychological Support Center plays a central role in community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and that various improvement measures are needed to strengthen its professionalism, accessibility, and diffusivenes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proposes a common standard model and concrete realization plan for expanding community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The proposed model and measures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developing community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in other regions, and it is hoped that with the active support and interest of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more extensive and practical community psychological support services will be expanded.
본 연구는 순위자료와 평정자료를 이용하여 판단자와 판단대상을 하나의 도면에 시각화하는 분석기법인펴기모형을적용한후그결과를비교하였다. 펴기모형을비롯한다차원척도 법 모형들은 통계적 가정에서 비교적 자유로운 분석으로 소집단 연구나 개인차에 관심을 가 지는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33개 행동을 비난가능 성 차원에서 측정하기 위해 수집된 37명의 자료로, 33개 행동에 대해 두 가지 방법으로 수집 된 자료였다. 33개 행동을 두 개씩 짝비교한 자료는 순위자료로 변환하고, 평정자료는 원자료 를 그대로 사용하였다. 순위자료와 평정자료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두 자료의 순위 상관 계수를 산출하고, 두 자료에서 산출된 33개 행동들의 상관계수 행렬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두 자료는 서로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상관계수 행렬도 매우 다른 양상으로 나타 났다. 펴기분석을 수행한 결과, 평정자료보다 순위자료를 이용하였을 때 판단대상들의 배치가 더 분산되었으며, 판단대상과 판단자의 관계를 시각적으로 파악하는 데 더 유용할 것으로 판 단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판단대상과 판단자가 동일한 순위자료와 평정자료의 펴기분석 결 과가 다르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개인차 연구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펴기 모형을 적 용하기 위해 연구자들이 고려해야 할 점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compared the results of unfolding analyses, a technique to visualize judges and judged objects in a single figure, using ranking and rating data. Multidimensional scaling models, such as the unfolding model, are relatively free from statistical assumptions and can be advantageous tools for researchers interested in small groups or individual differences. The data used in the analysis were from 37 participants who were asked to measure 33 behaviors on the blameworthiness dimension, and the data were collected in two ways for each of the 33 behaviors. The data from paired comparison method was converted into ranked data, and the rated data was used as raw data.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anking and rating data, we calculated the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rho) between the aggregated statistics of the two data, and compared the correlation matrices of the 33 behaviors from the two dat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wo data were not related to each other, and the correlation matrices were not similar. As a result of the unfolding analysis, the placement of the behaviors was more distributed when using the ranking data than the rating data. Therefore, the author concluded that ranking data would be more useful to visually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udgment objects and the judges. This study showed that the results of the unfolding analysis of ranking and rating data from the same judges are different. The current study suggested that, when applying the unfolding model, researchers should consider which type of data can be useful for the individual difference study.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과 자 기 자비의 독립적.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 로 한국판 자기가치감 수반성 척도(K-CSWS), 한국판 우울 증상 척도(K-CES-D), 한국어판 수용 -행동 질문지-II(K-AAQ-II), 한국판 자기 자비 척도(K-SCS)에 대한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수집한 자료에 대한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과정에서 주요 관심 영역인 자기가치감 수반성의 우월감과 타인 승인을 분석에 사용하였 고, 분석 결과 외적 자기가치감 수반성과 우울의 관계에서 심리적 수용과 자기 자비가 유의 미한 독립적.순차적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외적 자기가치감 수 반성이 우울로 이어지는 과정을 매개하는 정서 조절의 역할을 정서의 인식과 수정이라는 차 원으로 구분하여 이를 통합적으로 확인했다는 것에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independent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and depression in college students. For this, data was collected about Korean Version of Contingencies of Self-Worth Scale (K-CSWS),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 Depression Scale(K-CES-D), Korean Version of Self-Compassion Scale(K-SCS) and Korean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II(K-AAQ-II) from 300 college students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collected data using SPSS 22.0 and AMOS 22.0. In the analysis process, priority and other's approval are the sub-variable of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which is the central area of interest of the study and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As a result of this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psychological acceptance and self-compassion had significant independent and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and depress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mprehensively confirmed the role of emotion regulation, which mediates the process of external contingencies of self-worth leading to depression, by dividing it into the dimension of emotional recognition and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