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구조방정식 모형의 전반적인 평가 및 효과크기와 연속성에 대한 숙고

Overall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d reflection on effect size and continuity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2024, v.43 no.3, pp.199-230
https://doi.org/10.22257/kjp.2024.9.43.3.199
유소현(So-Hyun Yoo)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김수영(Su-Young Kim)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잠재변수 간 관련성을 설명하는데 활발히 사용되고 있는 구조방정식 모형은 적합도를 통하여 그 유용성을 판단할 수 있다. 모형 적합도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는 검정과 실질적 유의성을 평가하는 적합도 효과크기 지수는 각각 이분법적 해석과 연속적 해석 방식을 이용하여 모형의 유용성을 평가한다. 실질적 유의성의 경우 적합도의 수준을 연속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지만, 이를 위해 사용되는 효과크기 지수는 현재 대다수의 연구에서 이분법적으로 해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모형 적합도의 실질적 유의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효과크기 지수의 관점에서 적합도의 수준을 연속적으로 해석하는 방법과 올바른 가이드라인의 사용에 대해 다룬다. 먼저 검정을 이용한 통계적 유의성 평가의 의의에 대해 간단히 설명한 뒤, 구조방정식 모형의 맥락에서 효과크기의 개념을 정의한다. 이후 다양한 종류의 적합도 효과크기 지수를 소개하며, 해당 지수들의 해석에 사용되는 가이드라인의 특징에 대해 설명한다. 마지막으로, 추정된 효과크기 지수 값을 연속적으로 해석하고자 할 때 참고하기에 적절한 가이드라인의 올바른 예시를 제공하며, 연속성이 반영되지 않았을 때의 잘못된 모형 평가 사례와 가이드라인을 근소하게 만족하지 못하는 모형에 대한 올바른 해석 방식에 대해 논의한다.

keywords
구조방정식 모형, 모형 적합도, 효과크기, 연속성, 가이드라인

Abstract

Structural equation model, which is widely used to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latent variables, can be judged by its goodness of fit. The test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and the effect size index for practical significance of model fit use dichotomous and continuous interpretation approach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model, respectively. However, despite the fact that the level of fit is represented on a continuum for practical significance, the calculated effect size index is interpreted dichotomously by using the guideline as an absolute standard. The present study discusses the process of assessing the practical significance of fit in terms of the effect size index and the correct use of guidelines so that researchers evaluating the fit of a model can interpret the level of fit on a continuum. We begin with a brief discussion of the importance of assessing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test, and then define the concept of effect size in the context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We then introduce the different types of goodness of fit effect size indices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guidelines used to interpret them. Finally, we provide examples of appropriate guidelines for interpreting calculated effect size index values on a continuum and discuss examples of incorrect model evaluation when continuity is not reflected, as well as the correct interpretation of models with marginal fit.

keywords
Structural equation models, interpretation of goodness of fit, effect sizes, continuity, use of guidelines.
투고일Submission Date
2024-03-20
수정일Revised Date
2024-07-01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4-07-28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