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7X
고전적 조건화에 관여하는 결정적 신경회로를 찾기 위해서 토끼를 대상으로 순막조건화를 실시한 후, 정해진 소뇌부위를 파괴하였으며, 다음에 그 조건반응의 파지 및 재학습 여부를 검사하였다. 실험 1에서는 15마리의 토끼를 대상으로 소뇌 심부핵증 우측 치상--중간핵을 고주파로 손상시킨 결과, 소리 조건자극에 대한 우측 순막반응이 소실되었고 재학습도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눈꺼풀에 가하는 전기쇼크 무조건자극에 대해선 여전히 순막반응이 야기되었다. 실험 2에서는 24마리의 토끼를 대상으로 우측 소뇌 피질의 여러 부위를 흡입손상시켰다. 그 중 단소엽의 손상만이 소리 조건자극에 대한 우측 순막반응의 파지 및 재학습을 불가능하게 만들었으며, 한편 무조건자극에 대한 순막반응은 종전대로 유지되었다. 이처럼 실험 1의 심부핵 손상과 실험 2의 피질 손상이 공히 무조건반응은 존속시키고 조건반응만을 불가능하게 만든 바, 이 중 피질이 심부핵보다 자극입력에서 선행하는 신경구조이므로, 순막조건화에 기초가 되는 결정적 신경변화는 소뇌피질의 단소엽에서 일어나는 것으로 보인다.
It has been recently demonstrated that unilateral electrolytic lesions of the dentate- interpositus nucleus completley prevent and abolish ipsilateral learning of the classically conditioned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NMR) without affecting the unconditioned response in the rabbit. But the lesion effects of the cerebellar cortex were not consistant. So the present experiment 1 was conducted to replicate the lesion effect of the dentate-interpositus nucleus in abolishing NMR conditioing with radio frequency lesion. Experiment 2 was performed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erebellar cortical input to the nucleus is necessary for NMR conditioning. All animals were trained using standrad procedures for NMR conditioning. The conditioning involves a tone(1kHz, 85dB SPL, 350ms) as the conditioned stimulus with a coterminating periorbital electric shock(2mA, 5Oms) delivered at the right eye as the unconditioned stimulus. In experiment 1, 15 animals were trained one session a day until each of them reached the criteria of 8 consecutive CRs, after which one overtraining session was added. In experiment 2, 24 subjects were given the same training as in experiment 1. Following the overtraining, animals were lesioned on the right side. In experiment 1, RF lesions were made at or near the dentate-interpositus nucleus. In experiment 2, subjects were lesioned at simple lobule or other lobule by aspiration. After recovery, animals received 4 or 5 days of training on the right side to test for retention and recovery of conditioned responding. Then animals received an additional session in which training was switched to the left side. Results of experiment I showed that unilateral RF lesions of the dentate-interpositus nucleus abolished conditioning on the side of the lesion, leaving unconditioned responses to US intact. In experiment 2, unilateral lesions of the cerebellar cortex, simple lobule abolished conditioning on the side of the lesion but larger lesions of other cerebellar lobule did not impair NMR conditioning. These results indicate that critical neueral alteration during NMR conditioning occurs in the simple lobule rater than the dentate-interpositus nucleus.
학습과 기억에 있어서 해마가 담당하는 역할이 무엇인지를 알아 보고자, 본 연구는 현재까지 해마의 기능을 밝히는데 사용하지 않았던 이차조건화를 학습과제로 채택하였다. 피험동물은 수컷 토끼 16마리를 사용하였고 8마리는 통제집단, 나머지 8마리는 해마손상집단이었다. 6일동안 CSl US배쌍과 CS2-CS1배쌍을 무선적으로 제시하는 습득 시행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통제집단과 해마손상집단간에 일차조건화에서의 조건반응률은 차이가 없었으나 이차조건화에서 통제집단은 조건반응률이 60%에 이른 반면, 해마손상집단은 거의 조건반응을 보이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해마가 연합전이를 요하는 이차조건화에 필수적인 구조물이고 감각 자극들의 연합에 관여함을 시사한다. Patterson등이 제안한 자극 지도이론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논의하였다.
The ru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hippocampal lesion on the classical second-order conditioning of rabbit's nictitating membrane responses. The present experiment was carried out in a single stage which entailed randomly intermixing CS2-CS1 and CS1-US pairings. The subjects were 16 naive male albino rabbits. Half of the animals were randomly assigned to hippocampal lesioned group, and the other half to sham-operated control group. Results showed that the level of responding to CS2 in the hippocampal group reached a maximum of 15% CRs while the control group yielded a terminal level of approximately 60% CRs. The results suggest that hippocampus is involed in second-order conditioning. These findings were discussed in terms of stimulus map theory of Patterson.
본 연구에서는 확장기 혈압과 관련하여, 확장기 혈압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통해 확장기 혈압의 조절이 가능한가 또 피드백 없이 혈압변화의 지시만으로 확장기 혈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 그리고 확장기 혈압과 심박도수간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를 탐구하였다. 피험자는 42명의 정상 혈압인들로서 다음 여섯 집단에 7명씩 무선배정 되었다. 그것은 (1) 피드백 상승집단 (2) 피드백 강하집단 (3) 지시 상승집단 (4) 지시 강하집단 (5) 무선적 비유관 피드백 통제집단 및 (6) 주의 (경계) 통제집단이다. 전체 실험은 3시회에 걸쳐 행해졌으며, 한 사회의 본 처치는 20시행으로 구성되었고 50번의 심장박동 동안을 한 시행으로 취급하여 실시하였다. 모든 피험자들은 Shapiro 등이 사용한 혈압측정 절차에 따라 매 성장박동 때의 혈압변화에 대한 피드백을 컴퓨터 화면을 통한 시각적 피드백으로 제시받았다. 연구의 결과, 피드백 상승집단은 확장기 혈압과 심박도수를 모두 동시에 상승시켰으며 피드백 강하집단은 단지 2mmHg의 혈압 강하를 보였다. 또 피드백을 받은 집단들은 지시만을 받은 집단들에 비해 신뢰롭게 더 잘 혈압을 조절할 수 있었다. 그리고 확장기 혈압과 심박도수는 서로 통합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서 정상 혈압인의 확장기 혈압을 낮추기는 쉽지 않다는 사실과 혈압 바이오피드백 훈련이 자세성 혈압강하층의 치료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 이 확인되었다.
This study explored three issues in rlation to Diastolic Blood Pressure(DBP). These were (1) Is it possible for subjects to control DBP by DBP biofeedback training? (2) What extent can instructions demanding the change of BP without feedback influence on DBP control? (3) What relationship does exist between DBP and HR? Normotensive 42 subjects were counterbalanced and allocated into six groups. So each group had 7 subjects. The six groups were (1) Feedback-Increase group, (2) Feedback-Decrease Group, (3) Instructions-Increase Group, (4) Instructions-Decrease Group. (5) Random. (noncontingent) Group and (6) No-feedback (vigilance) Group.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whole procedure consisted of 3 sessions. One session consisted of 20 main trials. We defined one trial as 50 heartbeats. During each session all subjects had adaptation period(10 min.), baseline trials and 20 main trials. And they received visual feedback of BP change per every heartbeat on computer monitor, according to the BP measurement procedure of Shapiro et al. The results showed that (1) In Feedback-Increase Group, both DBP and HR increased simultaneously and in Feedback-Decrease Group, subjects decreased their BP ony 2mmHg. (2) The subjects of the groups with feedback could control DEP better than those received only instructions. (3) There was the tendency of integration of subjects' DBP with HR.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ot easy for the normotensive to decrease their DBP .and that the DBP biofeedback training would be helpful to the treatment of postural (orthostatic) hypotension, effectively.
대뇌 반구에 따른 한글 처리의 특성을 밝히기 위하여 한글 단어를 오른쪽 또는 왼쪽 시야에 제시한 뒤 재인 과제와 범주 판단 과제를 실시하였다. 자극 제시 시야와 아울러 대뇌 반구 기능의 분화를 평가하기 위한 독립 변인으로서 자극의 연상가, 유사성, 및 범주의 효과가 검증되었다, 종속 변인은 검사 자극에 대한 재인 반응 시간과 유목 판단 반응시간이었다. 실험 결과, 자극 제시 시야의 효과가 발견되지 않아 한글 단어의 재인에서 좌반구가 우세한 기능을 담당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와같이 좌반구가 우세하지 않았던 이유가 피험자가 전략적으로 자극의 시각적 특징만을 대조했기 때문인가 아니면 시각적인 구성에서 독특한 한글의 언어적 특성 때문인가를 검증하기 위해 자극의 유사성을 변화시켜 좌우 반구의 재인수행 결과를 비교하였으나 시각적 특징 대 조에 근거하여 재인 판단을 한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단어 재인 보다 고차적인 언어 처리를 요하는 범주 판단 과제에서는 좌반구의 우세성이 확인되었다. 이와같은 결과는 한글 의미처리에서 좌반구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암시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한글의 초기 처리에서는 두 반구가 모두, 고차처리에서는 좌반구가 더 관여하는 것으로 밝혀져, 한글은 처리 수준에 따라 대뇌 반구의 개입 양상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Hemispheric functional localization in the processing of Hangul words was assessed using recognition and category judgement tasks. Stimulus words were briefly presented in the right or left visual field to make the stimulus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left or right hemisphere, respectively. In addition to the visual field, stimulus association value, similarity of visual feature, and category of words were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in order to see how the hemispheric functional localization, if any, asymmetrically varies on them. Reaction times for the recognition task and category judgement task were measured as dependent variables. Results of the recognition task show that the effect of visual field is nut significant implying that hemispheric dominance may not appear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Hangul words. In order to further investigate whether the unexpected absence of left hemisphere dominance, i.e. in order to see whether the subjects strategically matched only the visual features of stimuli, similarity between the target and recognition stimuli in terms of visual features were manipulated. There was a weak trend that higher similarity results in mort left hemipheric dominance, although such trend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contrary, in the category judgement task the reaction time when the stimulus was projected into the left hemisphere was shorter than when it was projected into the right hemisphere.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left hemisphere may take an Important role when a Hangul word requires semantic processing. In conclusion,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both hemispheres may contribute to the early processing of Hangul words and hemispheric functional dominance may depend on the required level of word processing.
본 연구는 바이오피드백 훈련만으로써 두통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정도와 긴장성 두통치료에 EMG 바이오피드백 훈련을 적용하는 전제조건을 검증하려는 것이다. 그 전제조건이란 긴장성 두통은 근 긴장에 기인하며, 바이오피드백 훈련은 그러한 긴장을 이완하는 방법을 익히게 함으로써 두통치료가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 원칙을 검증하기 위하여 4개의 집단 즉 전두근 EMG 활동을 증가, 감소, 유지하도록 훈련받는 진단과 무처치집단등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또한 두통치료에 따른 성격요인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실시 전후에 특성불안검사를 실시하여 두통감소효과와 성격변인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집단간 처치신뢰도의 차이가 의미없었음에도 불구하고 정도의 차이는 있으나 각 집단에서 두통감소효과가 나타났고 EMG 활동과 두통감소효과 사이에는 일정한 관계가 없었다. 또한 두통감소에 따른 특성불안 성격요인의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The present study explored three issues: a) the EMG biofeedback effect on muscle tension headache subjects when the intermediated effect-therapist's demand effect, relaxation effect-are withdrawn. b) frontalis muscle EMG activity's specificity on EMG biofeedback therapy effect. c) the relationship between trait·anxiety factor and biofeedback treatment on tension headache. To treat these problems, four groups were employed. Three of these groups received biofeedback treatment The first of these biofeedback groups received EMG biofeedback designed to teach subjects to decrease frontalismuscle tension. But the second group received to increase and the third group to no change. The fourth were not treated any way. Only, they record their headache diary and respond to trait-anxiety test The results suggested that the learned reduction of frontalis EMG activity was very effective in the biofeedback treatment of tension headache. But increase and no change were ineffec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EMG activity and headache was not manifest,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changed from .67 to -.17.
공변량 구조모델은 현재 행동과학 및 사회과학 분야에서 비실험데이타를 분석하는 데 가장 인기있고 위력있는 다변량 분석 테크닉이다. 공변량 구조모델의 테크닉을 사용해서 모델을 경험데이타에 적용시키는 경우, 어느 특정모델이건 수리통계학적으로 "동질"의 "다른'' 모델을 가지게 된다. 공변량 구조모델에서 두 모델이 "다르다"함은 변수간 구조모형(Path Diagram)이 두 모델간에 서로 다름을 의미하며, 두 모델이 수리통계학적으로 "동질"이라 함은 두 모델을 경험데이타에 적용시킬 경우 수리통계학적으로 똑 같은 값의 적응수치(Fit Measure)가 나옴을 의미한다. 변수간 구조모형이 다름에도 불구하고 수리통계학적으로 똑같은 값의 적응 수치를 보이는 모델들을 동류모델들(Equivalent Models)이라 한다. 공변량 구조모델을 이용한 연구결과 도달한 어느 한 모델이 과연 眞 모델(True Model)인지, 또는 眞 모델의 동류모델들중의 하나인지는 데이타 분석에 의해 결정될 수 없고 연구 주제에 기초한 理論的 定性分析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들 동류모델의 정의와 그들의 존재가 가져오는 제반 문제가 이 논문에서 토의되고 있다.
Testing a causal model, based on empirical data, through covanance structure modeling, often leads to the observation that any particular hypothesized model may have equivalent models. Model equivalence occurs when two or more covariance structure models generate identical covariance matrices. These covariance matrices, commonly referred to as model estimates of covariance matrices or reproduced covariance matrices, must be distinguished from empirically observed or sample covariance data. When two or more models are equivalent, the result is that they are equally fit to any observed data and thus are not distinguishable by data analysis. In proposing a model which supports the hypotheses of interest, an investigator is obliged to rule out the equivalent models by substantive interpretation.
정체 정보와 유목 정보의 초기 정보처리 과정을 알아보기 위해 점화 기법을 이용하여 자극의 정체 및 유목 판단 과세를 실시하였다. 피험자에게 처리해야할 자극을 동시에 많아 제시하여 정체 정보와 유목 정보가 시사 기억에서 처리되는 양상을 알아보았다. 실험들은 점화 조건과 지연 시간의 두 요인은 포함하였다. 정화 조건 요인은 정체 정보와 유목 정보가 처리되어 목표 자극의 판단에 영향을 주는가를, 지연 시간 요인은 시사 기억 또는 단기 기억에서 정보와 유목정보가 소멸되는가를 보기 위해 포함되었다. 정체 정보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점화 조건이 물리적으로 동일한 조건, 모양은 다르나 이름이 동일한 조건, 무관 조건, 그리고 이름이 다른 조건으로 구성되었으며, 유목 정보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물리적으로 동일한 조건, 이름은 다르나 유목이 동일한 조건, 무관조건, 그리고 유목이 다른 조건으로 구성되었다. 실험 결과는 정체와 유목 정보 모두에 대해 각 점화 조건에 따라 반응 시간의 차이가 없었고 이 점화 조건의 효과가 지연 시간과 상호 작용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정세 정보와 유목 정보가 처리되는 곳은 단기 기억이며 따라서 시사 기억은 정체 정보나 유목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와같은 결과는 시사 기억이 후범주적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전통적인 견해와 일치한다.
A priming technique was used to explore the early processing of the identity information and category information. Subjects were required to judge the identity or the category of the target. To examine whether the identity information and the category information are processed in iconic memory, a matrix consisting of multiple sets of nontarget-priming stimulus pairs was presented and a target stimulus appeared in the middle of a randomly selected priming-stimuli pair from the matrix with a variable time delay. Experimentally varied were the types of the priming stimuli(physically identical, response compatible. response irrelevant, response incompatible with the target) and the delay between the priming stimuli and the target presentation. The types of priming stimuli did not affect the speed of classification judgement on the target when a set of multiple priming stimuli were presented simultaneously. Based on these obervations, it was concluded that the identity information and the category information are processed not in iconic memory but in short-tem mem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