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67X
  • E-ISSN2734-1127
  • KCI

이야기 구조에 따른 이해시의 추론양상

Story Structures and Inferential Comprehension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P)1229-067X; (E)2734-1127
1989, v.8 no.1, pp.17-33
조혜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심리학과)

초록

본 연구는 위계구조와 계열구조, 비연결구조의 세 이야기 구조를 사용하여 이야기 구조가 이해시의 추론양상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실험 1의 추론 생성 결과, 위계구조에서는 전진추론이 후진추론보다 빈번한 반면, 계열구조와 비연결 구조에서는 후진추론이 보다 빈번함을 보였다. 실험 2의 읽기시간 측정결과는 읽기속도가 위계, 계열, 비연결구조의 순으로 느려지고, 계열과 비연결구조에서는 시도나 결과문장들이 시발사건과 목표문장들보다 늦게 읽힘을 보였다. 실험 3의 문장 적합도 판단결과도 RT와 오반응율이 실험 2의 이야기 구조 순으로 증가됨을 보이나, 모든 구조에서 시발사건과 목표의 판단이 시도와 결과문장의 판단보다 느림을 보였다. 이 결과는 이야기 구조에 따라 후진추론뿐 아니라 전진추론이 가능하며, 전진추론은 이해과정을 촉진시킴을 시사한다. 이러한 전진추론은 대형구조 형성 후에 가능하고, 위계구조의 이야기는 주제가 이야기 초반에 제시되어 대형구조를 일찍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전진추론이 가능하여 그에 따른 잇점을 지닌다고 해석되었다.

keywords

Abstract

In this study, three different story-structures(goal-embedded. sequential and discontinuous structures) were employed. In Experiment I, the free-generation of inference showed that forward inference was more frequent with goal-embedded stories while backward inference occured more with sequential and discontinuous stories. In Experiment II, the reading time was shown to be shorter in the order of for goal-embedded, sequential, discontinuous stories, and to be fast with initiating event and goal than attempts and consequence categories in sequential and discontinuous stories. In Experiment III, the sentence verification results showed RT and error rates increased in the order of goal-embedded. sequential, discontinuous stories, and RT was slower for initial ting event and goal than for attempt and outcome calor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oal-embedded story structures are preferable to others in constructing the macro structure of a story, and that the macro structure permits an easier matching with knowledges to enable us to make forwoard inferences which facilitate discourse processing.

keywords
투고일Submission Date
1989-06-15
수정일Revised Date
1989-08-07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한국심리학회지: 일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