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598X
  • E-ISSN2982-6292
이승길(경신고등학교) pp.5-3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을 설계하고 실행한 후 학습태도와 생애능력을 측정하여 두 변인 간에 어떤 관계가 있고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학교도서관 활용수업에 대한 학습태도와 생애능력은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으며, 학습태도는 생애능력(의사소통능력, 문제해결능력,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의 신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 활용수업 활성화와 생애능력의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서 협동수업모형, 정보처리모형, 구성주의 학습 원리를 적용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In this study, after Library-Assisted Instruction is set out and executed, it is surveyed and verified the connection between Learning Attitude and Life competence. This study indicates that Learning Attitude and Life skills of Library-Assisted Instruction have close correlation and the extension of Life competence(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Self-Directed Learning) is under the influence of Learning Attitude. This study suggests that cooperative learning, Information Processing Model and constructivism learning theory have to be adopted as a means of increasing more educational effects and extensions of Library-Assisted Instruction.

윤정옥(청주대학교) pp.33-54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미국 청소년의 독서행태 및 학교 안팎의 독서환경의 특성에 대하여 분석 및 기술하는 것이다. 먼저 미국, 영국 및 아일랜드 청소년의 독서행태에 관한 주요한 연구 및 각종 통계보고서들을 검토하고, 가정의 독서환경, 학교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학교 독서환경 및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한 사회적 독서환경을 기술하였다. 1950년대 이후 학교도서관의 비약적 확산과 공공도서관 청소년서비스의 발전을 가져온 미국의 사례는 점점 감소하는 청소년 독서율의 제고 및 독서환경의 조성에 국가, 학교, 사회, 가정이 협력해야 함을 보여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and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reading environment for the teens and their reading behavior in the U.S.A. Some researches and statistics on the reading behavior of young students in the U.S.A., the U.K. and Ireland were examined, and the reading environments for the teens in society and at schools and home were described. The development of school media centers since the 1950s and services for young adults in public libraries in the U.S.A. confirms that government, school, society and home should altogether cooperate in order to help students read more and build better reading environment for the teens.

송기호(공주대학교) pp.55-7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DLS 종합목록의 교과 연계성을 분석하고 강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연계성 평가 기준으로 포괄성, 상세성, 최신성 그리고 소장처를 활용하였다. 그리고 서울지역 사회과의 도서관활용수업 학습주제를 활용하여 이러한 분석기준을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DLS 종합목록은 도서자료 중심의 학습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정보의 품질을 평가할 수 있는 상세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온라인 콘텐츠를 통해서 학습 공동체를 만족시키는데도 한계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과 목록의 교육적 가치를 이해하고 있는 사서교사를 배치하여 종합목록의 질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

Abstract

This study intend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DLS union catalog and curricula and to suggest methods for its quality control. Comprehensiveness, specificity, currentness, and location of copie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criteria. And this criteria were practic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s its indicators and library-based learning topics of social subjects in Seoul DLS. The results of analyses the DLS union catalog serves users with book-based learning information and lacks specificity to evaluate quality of learning materials. Especially the DLS don't satisfy the learning community with on-line contents. Accordingly it is essential to appoint teacher librarians understanding curricula and instructional values of the catalog for its quality control.

윤희윤(대구대학교) pp.73-94
초록보기
초록

국내에는 약 200만명을 상회하는 다양한 유형의 장애인이 있다. 그들은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평생학습, 사회활동, 여가향유, 사회참여를 목적으로 도서관 지식정보에 대한 접근을 필요로 한다. 이에 주목한 본 연구는 장애인을 위한 도서관서비스 협력망의 구축 및 운영방안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도서관의 장애인서비스 협력망을 가동하기 위한 후속조치도 언급하였다.

Abstract

There are more than 2 million blind and partially disabled people in Korea. They need access to books and information for all the same reasons as non-disabled persons: for lifelong learning, for social activity, for leisure, and to play a full part in society. In considering these realities, this paper has suggested the various strategies and plans to build and operate a cooperative library service network for the disabled persons. In addition, author commented on the subsequent actions for implementing the cooperative service model.

조재인(인천대학교) pp.95-112
초록보기
초록

폭소노미는 전통적인 분류체계인 텍소노미에 대칭되는 용어로 사람들에 의한 분류법이란 의미로 해석된다. 인터넷 컨텐츠를 대상으로 개방적으로 조직된 레이블로, 소셜 태깅의 결과로 만들어진 협력형 색인이다. 폭소노미는 다양한 이용자가 다양한 관점에서 생성한 태그를 통해 우연한 접근의 기회를 제공하며, 동일한 관심사를 가진 타인과 소셜 네트워크 형성을 위한 연결 고리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폭소노미의 의의를 짚어보고, 전통적인 텍소노미 시스템을 어떻게 보완할 수 있는지, 그리고 그 문제점과 한계는 무엇인지 고찰해 본다. 더불어 학술정보서비스에 부여되고 있는 폭소노미 태그를 분석하여 그 특징을 살펴보고 폭소노미 시스템의 운영 방향을 제시한다.

Abstract

In contrast to traditional taxonomy, folksonomy is generated not only by experts but also by creators and consumers of the content. Folksonomy is the practice and method of collaboratively creating and managing tags to annotate and categorize content. It is also known as collaborative tagging or social indexing. Folksonomy is also used to link to create social network that connect people to people who share same interest. Folksonomy users can generally discover the contents by which the tag sets of another user who tends to interpret contents in a way that makes sense to them. Firstly, this study consider the significance and some critical issues about folksonomy. Secondly, analyze special features of Korean academic site's folksonomy, which is managed by academic information site. Accordingly consider the directions of development about folksonomy system.

김규환(중앙대학교) ; 남영준(중앙대학교) pp.113-139
초록보기
초록

오늘날과 같이 급변하는 환경에서 공공도서관은 다양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통합적 관점에서 성과를 측정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성과평가연구는 특정 영역과 특정 분석방법에 치중하고 있는 한계가 있다. 이에 도서관의 활동 영역(투입, 과정, 산출, 결과)을 평가할 수 있는 다면적인 성과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현재 국제표준화기구와 IFLA는 BSC(균형성과지표)에 기초한 통합성과평가체제의 도입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통해 도서관의 성과평가영역(투입, 과정, 산출, 결과)과 성과지표(투입지표, 산출지표, 결과지표)의 유형을 도출하고 국내·외 공공도서관 평가사례를 대상으로 평가영역과 성과지표의 유형을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결과에 따라 국내․외 평가사례에 기초한 공공도서관의 통합적 성과지표를 제안하였다. 구체적으로 국제표준화기구 평가사례로부터 4개의 평가관점과 인력자원, 이용, 장서, 시설 등의 세부적 평가영역을 선정하였고 평가영역별 성과지표와 성과측정방법을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평가영역과 성과지표에 대한 적합성 검증 방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Under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public libraries are requir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with an integrated point of view to cope with a variety of change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grated library performance appraisal indicators which are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cently, ISO and IFLA attempt to adopt an integrated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based on the Balanced Scorecard(BSC). Therefore, this study defines four aspects of the library appraisal including input, process, output and outcome, and suggests a new library appraisal system and indicators of each appraisal aspect. In the concrete, appraisal aspects were derived from ISO appraisal system, and an appraisal system and indicators were presented based on the comparison and analysis of the ones respectively used inside and outside of Korea. Finally, this study proposes the method of suitability evaluation of those performance indicators by librarians and professors in Korea.

오동근(계명대학교) ; 배영활(경북대학교) ; 여지숙(계명대학교) pp.141-157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KDC 제4판 언어류와 문학류의 분류항목들을 개선하기 위해, 언어류와 문학류의 본표 항목과 조기표 항목을 분석하여 개선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개선방안은 한국문학과 영미문학의 시대구분을 위한 새로운 분류항목의 설정, 불합리하게 설정된 언어정책 및 언어행정의 해당언어의 역사 아래로의 이치, 각국 언어 및 문학의 부적합한 명칭표기의 조정, 표준구분의 적용과 의미파악에 어려움이 있는 주기에 대한 추가주기의 설정 및 보완, 2개국어사전의 분류규정의 변경, 한국 현대소설의 주제세분을 비롯해 영국문학과 미국문학의 구분을 위한 선택조항의 적용, 그리고 기타 아시아 제어 아래의 드라비다어와 기타 제어 아래의 켈트어, 셈어족, 함어족 하위 분류항목 등 세분전개가 불필요한 항목의 주기화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Abstract

This study suggests some ideas for the improvements of the classes of Language(700) and Literature(800) of the 4th Edition of Korean Decimal Classification(KDC). They includes some recommendations for the followings: introducing some new entries of the time table for the Korean Literature and English and American Literatures; relocating some entries for the improvements including language policy and administration; using new terminologies; adding new and revised notes for the appropriate entries; changing some specific classifying methods including the classification of bilingual dictionaries; introducing some options including those for the subdivisions of modern novels and those for American Literature; and discontinuing some entries not used, especially those in Other Languages.

김유승(중앙대학교) pp.159-17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웹 정보자원이 우리 삶의 전 영역에서 지니는 가치와 중요성에 비해, 이를 지키고 보존하려는 제도적 환경과 노력이 미흡하다는 인식 아래, 우리의 웹 정보자원 수집ㆍ보존정책의 발전 방향에 대한 논의를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범위, 방법, 품질이라는 세 가지 측면에서 웹 아카이빙의 특성을 분석하고, 비교 모델로서 도식화한다. 이러한 분석에 기반 하여 각국의 웹 아카이빙 사례를 7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진단하고, 최적의 웹 아카이빙 접근법으로서의 복합적 아카이빙 정책에 대해 논의한다. 이에 복합적 웹 아카이빙 정책을 채택하고 있는 프랑스 국립도서관의 웹 아카이빙 사례를 심층적으로 살펴본 후, 우리나라의 국가적 웹 아카이빙 프로젝트 OASIS를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결론으로, OASIS 프로젝트, 나아가 우리나라 웹 아카이빙 정책 발전을 위한 두 가지 방안을 제시한다.

Abstract

This study aims at discussing development of web archiving policies in South Korea. The study is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at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nd efforts for keeping Web information resources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value and importance of them. For the study, Web archiving practices are analyzed into three aspects; scope, method, and quality. Futhermore, they are graphically schematized as a comparative analysis model. Based on the model, the study classifies national Web archiving practices into seven unique types and diagnoses their cons and pros. In this context, a combined Web archiving policy is discussed as an optimal Web archiving approach. As a case study, the France National Library's Web archiving is discussed in depth and the Korean National Library's Web archiving project, OASIS, is critically analyzed. As a result, the study proposes two alternative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Web archiving policy in South Korea.

박옥남(한남대학교) pp.181-19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실제 분류 시스템 개발자들의 행태를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협력행태를 중심으로 협력의 유형,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협력이 분류 시스템 개발에 미치는 영향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협력에 대한 이해가 분류 교육자, 연구자, 개발자에게 제공하는 의의를 논의하였다. 자료는 문헌조사, 현장인터뷰, 관찰법, 이메일의 방법을 통하여 수집되었다. 본 연구는 이미지 분류 시스템 개발팀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사회과정모델을 연구의 프레임워크로 채택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an empirical study of classification system design focused upon an image design team within an organizational setting. It aims to understand collaboration during design practice. Data was collected through on-site interviews, observations, and document and email reviews. This study uses social process model as a conceptual framework. The study revealed type of collaboration, factors influencing collaboration, influences of collaboration on design practice.

장덕현(부산대학교) ; 최원찬(부산대학교) pp.201-221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에서는 대학도서관의 전자정보원 통합관리와 서비스를 위한 도구들의 개발 동향과 현재 사용되고 있는 전자자원 통합관리 시스템 사례를 통해, 대학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전자자원 서비스의 유형과 전자자원 관리의 요건들을 조사하였다. 우선 전자자원의 관리적 측면을 살펴보기 위하여 전자자원의 라이프사이클을 이해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전자자원관리시스템(ERMS)의 기능적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전자자원관리시스템의 표준을 제시하고 있는 DLF의 ERMI의 기능적 특징들을 일별하고, 전자자원의 라이프사이클 단계에 맞추어 그 기능들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대학도서관에서 제공되는 전자자원서비스 유형을 파악하기 위하여 현재 가장 광범하게 적용되고 있는 전자자원관리시스템 2종을 사례로 선정하고 이를 사용하고 있는 대학도서관 포털의 전자자원서비스 영역을 조사하여, 제공되는 서비스유형들을 파악하였다.

Abstract

The explosion in the number of electronic resources has necessitated that academic libraries rethink the way they manage the life cycle of their electronic resources within the structure and processes of their library. With this momentum, led by the Digital Library Federation's Electronic Resources Management Initiative, specifications and tools for electronic resources has been devised. This study surveys the terrain of electronic resource management as viewed through the current development of ERM Systems and their adaptations into major academic libraries in the United States. For this, we tried to report how such tools are implemented with various additional modules. The potential of the module to integrate the management of its electronic resources into the new process has been suggested, as well.

함명식(서울맹학교) pp.223-241
초록보기
초록

본고는 문헌정보학과 교육학의 통합 연구를 기반으로 문헌정보교육학의 학문적 생성 담론을 다룬다.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의 역할이 학교 교육 속에서 정착되기 위한 기초로, 문헌정보교육학의 연구 영역과 과제를 논의하고 방향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학교도서관 연구의 질적 향상에 기여한다. 학교도서관의 연구 영역은 문헌정보학적 측면과 교육학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통합한다. 학교도서관의 연구 추세는 국내 학회지의 논문 게재 빈도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통합 연구의 방향을 제시한다. 문헌정보교육학의 정립 이론은 도서관기반교육론과 도서관기반학습, 연결거점론, 통합거점론, Top456접근법, 교육과정기반접근법, 관점접근법, 정보와 도서관 교과교육학 등을 제시한다. 연구 논점은 학교도서관의 교육적 기초, 운영, 전자도서관 구축, 교육 활동의 측면에서 논의한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우리나라 학교도서관과 사서교사의 현실을 진단하고 해결책을 문헌정보교육학의 관점에서 제공한다.

Abstract

This study presents the discourse for academic generation of ‘School Library Education Science’ based on integrative research betwee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nd education science. The study discusses research fields and themes of ‘School Library Education Science’ as the base to define the roles of the school library and of teacher-librarians. It contributes to upgrading the research level of the school library. The research field in the school library analyzes and integrates both aspects of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nd of education science. The developed theories of ‘School Library Education Science’ present Library-Based Education and Library-Based Learning, Base Connectionism, Base Integrationism, Top456 Approach, Curriculum-Based Approach, Viewpoint Approach, and Education of Information and the Library as a Subject Matter. The trends in research of the school library analyze the thesis numbers of academic journals. The future research challenges of ‘School Library Education Science’ discuss the educational basics of the school library, operational management, electronic school librari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Conclusively, this study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school library & of teacher-librarians in Korea, and provides its solution by the aspects of ‘School Library Education Science’.

이수상(부산대학교) ; 장임숙(부산대학교) pp.243-268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서비스의 접근실태와 연결망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론적 차원에서 이주노동자의 사회적 서비스에 대한 욕구와 지원체계를 검토하고, 사회적 서비스의 접근성과 연결망에 대해 논의한다. 그리고 실제적인 차원에서 이주노동자가 사회적 욕구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는지, 누구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어떠한 연결망을 통해 사회적 서비스에 접근하는지를 사회연결망분석(Social Network Analysis)을 통해 파악한다. 분석결과, 이주노동자는 사회적 욕구상황에서 공식적인 지원조직에 접근하기 보다는 친구 및 직장동료 등과 같은 비공식적인 지원집단에 의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식적인 지원조직 간의 연결망에서 공공도서관은 다른 지원조직들과 전혀 연계를 맺지 못하고 지식과 정보제공자로서의 역할에 한계를 드러내고 있다.

Abstract

This study considers the availability, accessibility, and efficacy of social services for migrant workers. First, it examines migrant workers needs and how they choose to fulfill these. Second, this study grasps about how they can connect the social services and what constructive peculiarities social networks they have by using SNA(Social Network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migrant workers rely more on informal support groups such as family, friends, co-workers, etc. rather than formal support networks, e.g. those provided by the state. This tendency is demonstrated especially, Libraries as formal supporting organization have no connection related with other organizations. It shows that they have role limited as a supporter of giv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in a public.

이지연(연세대학교) ; 민지연(연세대학교) pp.269-290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도서관과 관련하여 개별 단위학교에서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의 해결을 돕고 학교도서관 운영의 질을 전반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학교도서관에 대한 정책적 지원 및 타 기관과의 협력 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학교도서관의 운영방향에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학교장의 학교도서관 운영정책 및 현황, 요구사항을 파악하기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응답자들은 현재 장서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으나, 학교도서관 운영인력의 교육에 대한 필요성도 느끼고 있었다. 그리고 대도시와 농산어촌에 비해 중소도시는 편중되지 않고 다양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으며, 정책적인 지원에 대한 기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ways to improve the overall school library management quality and also to help finding solutions to the school library related problems, which could have not been dealt by the individual schools.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we analyzed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the government led supports for the school libraries as well as collaborations between the school libraries and other organizations. We surveyed the principals about the school library operating policies, current status, and requirements as the principals have influence over how the school libraries are managed. One of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was that the survey respondents devote their efforts in the collection development but they also required training of the school library staffs. In comparison to the metropolitan and rural areas, the school libraries in the middle to small cities experienced variety of problems in all aspects of their operations. In addition, the middle to small city school libraries had high expectation on the government supports.

남태우(중앙대학교) ; 전말숙(중앙대학교) ; 정연순(중앙대학교) ; 장로사(중앙대학교) pp.291-310
초록보기
초록

미국 의회도서관이 독도(Tok Island)에 관한 주제어를 리앙쿠르 록스(Liancourt Rocks)로 변경추진에 따른 논란을 계기로 독도의 일반적인 현황과 표기 문제 및 국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표기 현황을 검토하였다. 이 검토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자료조직 분야에서 KDC, LCC, NDC의 독도표기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 향후 도서관계의 역할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Abstract

The U.S. Library of Congress proposal to change the subject heading of Tok Island(in Korea called Dokdo) to Liancourt Rocks was controversial. Therefore the status of Dokdo, national notation(Dokdo or Tokdo), and international notation used to identify the island were examined. In this examination, Tok Island's classification in the Korea Decimal Classification(KDC), Library of Congress Classification(LCC), and Nippon Decimal Classification(NDC) were compared and analysed, and a proposal for the role of libraries in the future was given.

김태승(경기대학교) ; 김은자(과천시 정보과학도서관) pp.311-328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급증하는 도서관의 신축과 기존의 오래된 도서관 건물을 리모델링하는 현상이 급격히 증가하는데 따른 도서관 공간 구성에 관한 연구이다. 지금까지의 도서관 건축은 정보수요자인 도서관 이용자들의 기초가 배제된 채 일반건축 행정 양상을 띄어 왔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이용자들의 이용행태 (요일별, 방문시간대, 계층별, 이용공간별 등)를 조사하여 각각의 항목을 교차분석 하였다. 분석의 결과는 이용시간대는 오후 2시가 가장 많고, 가장 많이 이용하는 공간은 어린이 열람실임 밝혀졌고, 이용자 계층은 중․고생 다음으로 성인층이 가장 많은 것으로 밝혀졌다.

Abstract

New library building construction and the remodeling of old one is growing tendency is nation-wide recently. But there is no reflection of library user's view in the field of library construction. For the completion of the research the data was collected by bar-code scanner with user ID cards. Collected data was analysed by using crosstabulation and t-test. Around 2:00PM is peak time for library visit and the reading room for children is most frequent use space in library.

차미경(이화여자대학교) ; 표순희(성균관대학교) pp.329-354
초록보기
초록

지역주민의 문화적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공공도서관에 대한 관심과 역할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주민이 공공도서관을 얼마나 누리고 즐기는가를 파악하기 위한 향유지표개발을 목적으로 하였다. 향유지표는 향유기반지표, 향유실태지표, 향유결과지표, 향유기초지표라는 4개의 범주로 구성하여 향유를 위한 환경, 이용, 결과, 이용확대 측면을 모두 측정할 수 있는 통합지표로 개발하였다. 향유지표 항목들은 관련된 연구에서 추출되었고 4명으로 구성된 전문가회의를 통해 선정되었다. 또한 508명의 경기도 도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분석을 통해 지표의 수정 및 보완이 이루어져 최종 46개의 향유지표 항목을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indicators for measuring enjoyment of public libraries by the community. The term, enjoyment is defined as the community members' use and appreciation. Four types of enjoyment indicators are constructed through literature review: basic(environment), state(use), result(outcome), and essential(to enhance enjoyment). The prepared enjoyment indicators are evaluated and selected by focus groups interviews of professionals(researchers, librarians and policy makers). Those selected indicators are tested and revised through a internet survey of 508 Kyungi residents.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a total of 46 enjoyment indicators.

심원식(성균관대학교) pp.355-37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Saracevic과 Kantor(1997)가 개발한 도서관 서비스 가치의 분류체계를 적용하여 국내 도서관 이용자 16명을 대상으로, 이용자가 경험하고 표현하는 서비스 가치를 평가하였다. 이용자와의 직접적인 면담을 통해 이용자가 도서관 서비스를 사용하게 된 동기, 사용과정에서의 상호작용, 그리고 서비스의 이용을 통해 경험한 결과를 이미 개발된 분류체계의 구체적인 요소를 적용하였다. 이를 통해 다양한 목적으로 도서관 서비스가 사용되며 이용자 본인의 말로 표현된 서비스 가치를 포착, 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면담 기법 등을 적절히 활용하면 이용자들로부터 서비스 가치와 관련된 구체적이고, 사실적인 언급을 수집할 수 있으며, 기존에 개발된 분류체계는 높은 포괄성과 적용성을 지닌 것으로 평가되었다.

Abstract

This paper reports a case study in which Saracevic and Kantor’s derived taxonomy of library services was applied to qualitative data gathered from sixteen university library users. Using face-to-face interview method, we collected user responses related to the reasons of using services, aspects of interaction, and results of using services. Specific codes from the taxonomy were applied to the verbal expressions. The results show that library services are being used for a variety of purposes and that this approach enables us to effectively capture and classify service value expressed in users’ own words. The taxonomy is evaluated to be quite comprehensive and scalable.

정영미(동의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희섭(경북대학교) pp.375-390
초록보기
초록

본 사례연구의 목적은 이용 당 비용 접근방법을 통하여 과학기술분야 해외학술지의 경제성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K기관이 구독중인 해외학술지 중 무작위로 선정한 1,745종을 대상으로 하였고, 심층 분석을 위하여 학술지 속성 중의 영향력 계수(IF), 타기관 중복소장수, 언어, 구독비용, 이용빈도에 따른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영향력 계수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속성들은 해외학술지의 이용 당 비용과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각 속성의 내부 그룹 간 차이분석을 통하여 보다 자세한 분석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analyze the economics of journals of Science and Technology using the cost per use(CPU) approach. To achieve this purpose, we selected 1,745 foreign academic journals randomly among the holdings at K institute in Korea,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CPU and 5 factors of journal, i.e., Impact Factors(IF), Overlap numbers of holding with other institutes, Language, Cost, and Frequency of use. It is found that all factors, except IF, are significantly influence to the CPU of foreign journals, and further detailed analysis is provided in term of the group differences within each factors.

송일기(중앙대학교) ; 진나영(중앙대학교) pp.391-415
초록보기
초록

『좌익원종공신녹권(佐翼原從功臣錄券)』은 세조가 1458년 단종의 보위를 잇는 일에 공을 세운 신하들을 좌익원종공신으로 책봉한 후 반사(頒賜)한 책이다. 이 연구는 현존하는 『좌익원종공신녹권』 4책을 대상으로, 녹권이 반사된 사유 및 경위를 알아보고, 녹권에 기재된 공신들을 각 등급별·신분별로 나누어 책봉된 공신들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좌익원종공신녹권』은 초주갑인자(初鑄甲寅字)로 간인한 금속활자본이며, 크게 권수(卷首)·본문(本文)·권말(卷末)의 3부분의 체계로 구성되었다. 또한 295개의 직함에 모두 2,356명(1등 80명, 2등 846명, 3등 1,430명)이 기재되어 있었으며, 문관이 무관보다 많았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리고 4개의 신분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양반 2,265명, 중인 71명, 천인 11명, 양인 9명 등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양반이 공신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Abstract

Gwa-ik Wonjong Gongsin-Nokgwon(佐翼原從功臣錄券) is a book which recorded the titles of position and the names of retainers who made Se-jo into Chosun dynasty's king.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existing 4 books of Gwa-ik Wonjong Gongsin-Nokgwon, which were to analyze the reasons of grant, structure and forms, the characteristics of meritorious retainers' official positions and social status. As the result, Gwa-ik Wonjong Gongsin-Nokgwon is the metal typologic book which was made up Choju-Gapin(初鑄甲寅) letter type. The structure of the Gwa-ik Wonjong Gongsin-Nokgwon was composed of the beginning(卷首)·the body(本文)·the end(卷末). Gwa-ik Wonjong meritorious retainers formed the total of 2,356 persons(1st grade: 80 persons, 2nd grade: 846 persons, 3rd grade: 1,430 persons) with 295 official titles. Also an analysis of their social status confirmed that 2,265 persons were Yang-ban(兩班) which constituted the largest group, Jung-in(中人) were 71 persons, Chun-in(賤人) were 11 persons and Yang-in(良人) were 9 persons.

이정연(경기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417-43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영화창작자들을 대상으로 영화기획과정에서의 정보활동을 인간정보행위모형을 재구성하여 영화창작자의 정보활동모형을 해석해 보았다. 영화창작자의 정보활동은 영화의 작은사회 정보환경 내의 채널을 통하여 정보를 교환하고 수집, 분석하며 이를 공통된 창조물로 내면화하여 전략적인 결과물로 표현한다. 영화창작정보추구 목적과 일상생활정보추구의 목적은 구분할 수 없을 정도로 밀접하게 연결되며, 공동 커뮤니케이션이 가장 중요한 정보채널이면서 동시에 중요한 정보원임이 밝혀졌다.

Abstract

This study interpreted film-creators' information behavior by reconstructing information behavior in the process of film-planning using human information behavior. Film creators exchange, collect, and analyze information through channels in the information environment so called “the small world.” After these processes, they strategically express this information by creating a film. This study concludes that the purpose of film-creating activity and that of everyday life information seeking are intertwined and that co-communication is the most important information channel and information source.

오삼균(성균관대학교) ; 김희섭(경북대학교) ; 오상훈(명지대학교) ; 권도윤(대구기계부품연구원) ; 원선민(성균관대학교) pp.441-46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기록관리 관련기관들이 전자기록물 이관의 실제 업무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실무에 초점을 둔 이관 절차의 개발에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ISO, AHDS, CCSDS와 같은 국외의 다양한 이관 절차를 분석하고, 국내 정부부처 중 한 기관을 테스트베드 대상으로 선정하여 국내의 기록물 이관업무에 요구되는 사항들을 조사·분석하고, 이를 종합하여 국내 상황에 적합한 이관절차를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개발된 절차는 사례연구와 다양한 국제 사실상 표준들의 분석을 토대로 도출되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Abstract

The study aims at providing a practical, rather then conceptual, guideline for transferring electronic records for the purpose of applicable to the archives in Korea. To achieve this purpose the study analyzed ISO, AHDS, and CCSDS transfer guidelines, examined requirements for transferring records in one Korean government agency as a testbed, and finally developed a proposed guideline for e-records transfer that is suitable for Korea settings. The study is deemed significant in that the proposed guideline is derived from a case study and analysis of major transfer guidelines available.

이성숙(충남대학교) pp.463-480
초록보기
초록

이 연구는 국내 대학도서관 폭소노미 태그의 형태적 특성을 분석하여, 통제어휘 개발 가이드라인과 비교해볼 때 어떠한 특징이 있는지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 선정된 대학도서관의 6개월간 태그를 토대로, 폭소노미 태그의 구조와 형태를 조사하였다. 분석 대상 태그들은 시소러스 개발 가이드라인을 토대로 조사 분석하였다. 이 연구 결과는 디지털도서관에 폭소노미 태그의 활용 방안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possible characteristics and patterns that occur when comparing control language constructing guidelines, by analyzing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folksonomy tags in university libraries. Based on subjected tags at university libraries for a period of 6 months the structure and form of folksonomy was examined. The object tags were analyzed based on the thesaurus development guidelines. The results for this research will provide baseline data for the use of folksonomy tag applications in digital libraries.

장윤금(숙명여자대학교) ; 정행순(숙명여자대학교) pp.481-5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어린이사서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계속교육의 효과성 및 문제점을 파악함으로써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가 보다 체계적이고 실용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계속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서비스 및 사서교육과 관련된 연구문헌조사를 하였고, 국내 어린이 전문도서관 중 하나인 K도서관의 계속교육과정에 참여한 사서를 대상으로 2007년 7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년 후인 2008년 10월 계속교육과정 참가자를 대상으로 전화 및 이메일 인터뷰를 실시함으로써 어린이사서를 위한 계속교육의 효과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어린이사서들은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실무교육 그리고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습위주의 실용적인 교육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울러 업무의 전문성 및 어린이실의 인력부족 등이 현재 공공도서관 어린이서비스의 주요 문제로 제기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at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continuing education for enhancing professionalism of children's librarians and its problems in order to provide systematic and practical children's services in public libraries. To this end, we conducted a thorough review and analysis of relevant studies on children's services and children's librarian education in public libraries. Then, we carried out a survey for children's librarians in public libraries in 2007 and in-depth phone and email interviews of children's librarians who participated in a continuing education program at K library one year later. The study findings showed the need for children's librarians' continuing practical training for children's services instead of one-time training. Further, we found the lack of children's librarians' professionalism and staff members in providing effective library services for children in public libraries.

이혜영(중앙대학교) ; 남태우(중앙대학교) pp.503-532
초록보기
초록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정보활용능력 표준과 모형을 분석하였다. 3개 표준과 2개 모형의 분석을 통해 핵심영역과 항목을 제시한 후, 최종적으로 척도 개발을 위한 항목 모형(안)을 제시하였다. 최종 척도 개발 항목 모형(안)은 6개 핵심영역과 18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시된 척도 개발 항목 모형(안)은 앞으로 연구가 진행될 대학생들의 정보활용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척도개발의 기초자료로서 이용될 것이다.

Abstract

This study is on information literacy standards and models analysis, which will be used as the source material to measure undergraduates' information literacy. After main areas and items that are analyzed with three standards and two models are proposed, finally item model(proposal) for scale development is proposed. It consists of six main areas and eighteen items. The scale development item model(proposal) proposed in this study will be used as the source material to measure undergraduates' information literacy that will be studied in future.

안인자(동원대학교) ; 노동조(상명대학교) ; 노영희(건국대학교) ; 김성진(인하공업전문대학) pp.533-549
초록보기
초록

주제전문사서의 직무에 관한 깊이 있는 직무분석은 직업정의, 교육과정개발, 훈련기준설정, 채용기준, 기관 및 개인적 목표 결정을 위한 중요한 자료이다. 본 연구는 국내 주제전문사서의 직무분석을 실시하여 7개의 책무(duties)와 58개의 작업(tasks)을 추출하였으며, 7개의 책무내용은 다음과 같다. A.도서관 주제별 정보자원 개발, B.도서관 주제별 정보자원 관리, C.도서관 주제별 연구지원 서비스, D.도서관 이용자 리에종 활동, E.도서관 주제별 이용자교육, F.도서관 운영관리, G.주제별 능력개발.

Abstract

A job analysis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s an important source providing information about definition of a job, development of a curriculum, administration of human resources, criteria of employee training, and deciding institutional and individual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a job of subject specialist librarians in Korea, and divides their jobs into 7 duties and 58 tasks. the 7 duties are as follows; A.a development of subject information resources, B.a management of information resources classified by subjects, C.a research support service classified by subjects, D.Liasion activity of library users, E.an education of subject classification for library users, F.library management, G.personal development of classified subject areas.

한국문헌정보학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