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여성문학사 서술의 필요성에 관하여

Is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Necessary?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4, v.0 no.11, pp.377-400
이경하 (서울대학교)

초록

20세기 후반은 전 세계적으로 문학사 서술을 둘러싸고 전혀 상반된 경향이 두드러졌던 시기다. 한편에서는 포스트모더니즘과 탈구조주의의 유행 속에서 문학사 서술을 하나의 날조된 허구로 비판하는가 하면, 다른 한편에서는 여성, 흑인, 소수민족 등 주변부 집단의 문학사 서술이 그 어느 때보다 열기를 띠었던 것이다. 한국에서는 아직 본격적인 여성문학사 서술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여성문학 연구가 본격화됨에 따라 그러한 움직임이 조금씩 가시화되고 있다. 본고는 문학사 서술의 의의에 대한 회의적인 지적 풍토 속에서 여성문학사 서술이 어떤 의의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인가에 관한 이론적인 검토이다. 필자는 학문 내적외적 차원에서 여성문학사 서술의 의의를 논증하고자 하였다.본격적인 여성문학사 및 여성사 서술은 그 출발단계에서 여성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반영하는 것으로서, 유럽의 경우 여성해방운동이라는 외적 요인에 의해 추동된 바 컸다. 문학사 서술은 그 집단의 정체성 형성 및 강화에 기여함으로써 순기능과 역기능을 동시에 수행하는데, 70년대 영미의 여성문학전통론에서는 여성해방이라는 목적의식이 강하게 작용했던 만큼 그 역기능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여성문학의 과거를 역사화하는 작업이 문학사 서술의 역기능에 대한 경계 위에서 이루어진다면, 여전히 여성해방운동의 차원에서 실질적인 의의를 가질 수 있다.문학연구 내적으로 볼 때, 여성문학사 서술은 기존의 자국문학사 서술을 보완극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20세기 후반에 활발히 이루어진 국내외 여성문학사 서술은 기존의 자국문학사 서술이 누락시킨 여성문학의 과거를 복원함으로써 이를 보완하는 기능을 담당했다. 또한 여성문학사에 대한 이해가 심화될수록 기존의 자국문학사 서술이 안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점들이 보다 잘 드러나게 되었다. 문학의 범주, 문학의 가치평가 기준, 문학사의 시대구분 등 문학사 서술에서 핵심이 되는 문제들이 여성문학사의 관점에서 재론되기에 이른 것이다. 여성문학사 서술은 자국문학사를 보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그 한계를 극복하는 데 궁극적인 의의가 있다.

keywords
women's literary history, national literary history, historiography, identity, 여성문학사, 자국문학사, 역사서술, 성별 정체성

Abstract

The concept of ‘literary history’ appeared with the rise of modern nations in Europe in the 19th century, so a literary history has meant a ‘national’ literary history so long time. However, we find many different kinds of writing literary history in the late of the 20th century all in the world, which were in pursuit of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marginalized group, such as women, laborers, the African-American, lesbians, and so on. According to academic criticisms like postmodernism in the late of the 20th century, writing literary history means inventing a ‘fiction’. Generally the tradition writing literary history found was regarded as a kind of fabrication. It is a general afunction of historiography that writing literary history of a group exaggerates its past as being a honorable or miserable one.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would be at the risk of it, too. So then, is it unnecessary or meaningless? I'd like to say, in this essay,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is still not only necessary but also important, in aspect of not only a movement for the emancipation of women but also an academy, a study of national literary history. Writing women's literary history could play an important part of passing a general limit of writing national literary history.

keywords
women's literary history, national literary history, historiography, identity, 여성문학사, 자국문학사, 역사서술, 성별 정체성

참고문헌

1.

(1973) 한국문학사논고, 법문사

2.

(1990) 최초의 여성문학 평론가 임순득론, 청파문학 16

3.

(1999) 나혜석의 처녀작 夫婦에 대하여,

4.

(1997) 영문학에 대한 반성 :영문학의 정당성과 정전문제에 대하여, 민음사

5.

(1997) 계급과 정체성의 정치 ,

6.

(2002) 여성/문학/사’에 관한 이론적 고찰,

7.

(2003) 15~16세기 왕후의 국문글쓰기에 관한 문헌적 고찰,

8.

(2002)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소명출판

9.

(2001) 한국현대여성문학사-시,

10.

(1997년) 근대적 주체와 정체성 ,

11.

(1999) 한국고전여성작가연구, 태학사

12.

(2000) 현대여성소설의 페미니즘 정신사, 새미

13.

(1999) 페미니즘의 이론과 정치, 문화과학사

14.

(1999) 한국페미니즘문학연구, 좋은날

15.

(2003) 지방문학사:연구의 방향과 과제, 서울대학교출판부

16.

(1994) 한국여성사 연구의 성립과 과제 한국사시민강좌 15, 일조각

17.

(2001) 한국문학사 어떻게 쓸 것인가, 한길사

18.

(1999) 우리 여성의 역사, 청년사

19.

(1998) 근대성과 페미니즘, 거름

20.

(1995) 전통의 날조와 창조, 서경문화사

21.

(2002) 누구를 위한 역사인가, 혜안

22.

(1992) Women's Amatory Fiction from 1684 to 1740, Oxford University Press

23.

(1820~701993) A Guide to Novels by and about Women in Americ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4.

(2002) A Handbook of Literary Feminisms, Oxford University Press

25.

(1996) The Challenge of Periodization, Garland Pub

26.

(2002) Rethinking Literary History : A Dialogue on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7.

(2000) Literary Feminisms, MSt. Martin's Press

28.

(2000) Warren, Joyce W. and Margaret Dickie eds., , University of Georgia Press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