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The Actions and the meaning of female antagonists on Sohyunseongnok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4, v.0 no.11, pp.347-375

Abstract

이 논문은 <소현성록> 여성반동인물의 행위 양상과 그것이 지니는 의미를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소현성록>의 지속적 여성반동인물은 화씨와 여씨이다. 이들은 모두 투기한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다. 화씨는 자신의 투기 때문에 오히려 동렬을 받아들이게 되는 역설적 상황을 빚는 인물이다. 화씨는 석파, 남편과 갈등을 벌이는데 이러한 갈등은 모두 동렬인 석명혜 때문에 비롯되었다. 따라서 석파와의 갈등은 석명혜와의 갈등이 전이된 형태로 볼 수 있다. 늑혼에 의해 소경과 혼인한 여씨는 다양한 방법을 동원해 석명혜와 화씨를 모해한다. 이 때문에 석명혜는 출거되고 화씨는 출거지화의 위기에 몰린다. 여씨가 사용한 결정적인 반동행위의 수법은 상대여성의 정절을 문제 삼는 것이었다. 정절은 조선 시대 여성에게 절대적으로 요구되던 지고의 덕목이라는 점, 그리고 그 때문에 주동인물이 고난을 겪는다는 점에서 여씨의 이야기에는 정절 이데올로기의 경직성이 드러나 있다고 할 수 있다. 결국 여씨의 반동행위는 소경의 깨달음으로 발각이 되고 여씨는 끝내 출거되고 만다. 그런데 반동행위로 인한 남녀주동인물의 고난이 다른 대하소설이나 <사씨남정기> 등의 인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심각하지 않은데, 이는 여성독자에게 흥미보다는 교훈을 더 깊게 전달하려는 서술자의 의도로 보인다. 서술자는 화씨와 여씨 등 투기하는 인물을 주요반동인물로 설정함으로써 여성의 투기에 대해 강력한 경계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여성반동인물의 설정뿐만 아니라 소월영과 같은 여성주동인물의 언술, 길복 모티프의 제시 등 다양한 서사적 장치를 통해 서술자는 투기 금지의 이데올로기를 전파하고 있다. 이러한 설정은 이면적으로 다처제 혹은 처첩제 하에서 질곡을 겪는 여성들의 실상을 적나라하게 드러내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화씨나 여씨는 당대의 유교 이념을 처음부터 부정하려 해서 부정하는 인물은 아니다. 자신이 처한 환경, 즉 자신 외에도 아내가 여럿인 환경에 따라 자연스럽게 투기의 심성이 발현된 것이다. <소현성록>에는 이처럼 이념의 체화자나 반대자가 선험적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다는 특징이 있다. 이는 곧 환경에 따라 인간의 심성이 바뀔 수 있음을 드러내는 것이다. 같은 여성반동인물이라 해도 기득권의 유무 여부에 따라 행위의 방식이 달라진다. 혼인에 관한 한 기득권자인 화씨는 주동인물인 석씨에 대해 직접적인 반동 행위를 하지 않고 다만 원망하는 마음만을 품는 데 반해, 비기득권자인 여씨는 반동 행위를 직접 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기득권자에 비해 비기득권자가 훨씬 심리적 억압을 지닐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술자는 반동인물이 몰려 있는 집안을 상정함으로써 혈통을 중시하는 시각을 보이고 있다. 이는 주동인물 가문이 지니는 배타적 선민의식을 반증하는 장치로서 기득권자의 지배를 영속화하려는 허구적인 이데올로기일 뿐이다. <소현성록>은 반동인물의 양적, 질적인 취약함에도 불구하고 다처제, 혹은 처첩제 하에서 겪어야 했던 여성들의 억압과 질곡을 집약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주변인, 비기득권자인 여성은 그 억압과 질곡에 대해 상이하게 반응했는데 그것을 과감하게 깨뜨리려고 시도했던 인물이 바로 여성반동인물이었던 것이다.

keywords
대하소설, <소현성록>, 여성반동인물, 투기, 이데올로기, river novel, Sohyunseongnok, female antagonist, jealousy, ideology

Reference

1.

(1997) 소현성록의 인물형상과 갈등의 의미, 한양대 한국학연구소

2.

(1994) 소현성록 연작 연구,

3.

(1999) 소현성록의 여성들, 한국여성문학학회

4.

(1998) 소현성록 인물 형상의 변화와 의미-규장각 소장 21권본을 중심으로, 한국국어교육연구회

5.

(1996) 조선조 대장편소설 연구, 태학사

6.

(2004) 대하소설의 여성반동인물 연구,

7.

(1999) 완월회맹연 연구,

8.

(1998) 소현성록의 여성주의적 성격과 그 의미 , 한국고소설학회

9.

(1998) 17세기 장편소설 연구,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