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몸말'의 민족시학과 민족 젠더화의 문제 ― 백석의 경우 ―

Nation Poetry and Gendering the Nation of the Mother tongue - in Baek Seok's Poem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4, v.0 no.12, pp.189-213
김용희 (평택대학교)

Abstract

백석 시에서 방언과 음식, 방뇨행위, 명절의 풍습에 대한 구체적 일상사는 지금까지 민족문학이 보여준 당위성과 추상화를 넘어서게 한다. 구체적인 것으로서의 ‘사회적 리얼리티’를 구현한다. 미시사적 현상은 역사적으로 축적된 산 체험을 통해 일상화된 삶의 현장에서 여성적 연대감과 통일체를 형성한다. 어린 시절부터 몸으로 체득된 몸언어인 방언, 축적된 인자로서의 음식물, 풍속은 언어적인 중재 매체나 의식의 관념적 주입을 벗어난 ‘진정한 육체적 경험’, ‘몸기억으로의 체험’을 불러낸다. 그럼에도 몇 가지 짚고 넘어갈 것은 식민당시 민족문인들과 마찬가지로 백석은 민족 삶에 대한 재현 구상에서 여성을 민족과 동일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여성을 외세의 압박으로부터 지켜내야 할 순수한 문화적 본질로 가정하면서 순수하고 탈역사적인 기표로 구성한다. 하여 백석 시에서 모성성의 공간은 식민현실을 위협하기도 하고 품어주기도 한다. 모성성이 내포하는 몸기억을 통한 자아정체성의 환기와 동시에 ‘환상적 동일시’에 의한 무역사성이라는 이중성이다. 백석 시에서 모성의 공간은 민족성과 결부되면서 이와같은 복합성을 띤다. 백석 시는 근대라는 총체적 이데올로기에 포섭되지 않는 대응의 방식을 식민지 외부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식민지 내부 즉 일상적이고 구체적 현장, 변방문화라는 탈근대적 형식에서 찾아낸다. 그럼에도 그의 유년은 타자의 흔적이 없는 환상적 리얼리즘이라는 점에서 오히려 식민지성을 추상화하는 것은 아닌가 하는 의아심이 들기도 한다. 민족의 자기동일성 회복의 과정을 변방, 모성, 가족 개념에서 찾는다는 점에서 민족문학의 한 지형을 드러내면서 동시에 민족을 젠더화함으로써 또다시 추상화하는 딜레마다. 결국 백석 시는 민족 기억의 문제와 모성성의 복합성을 가장 문학적으로 드러낸 증좌가 될 것이다.

keywords
여성적 연대감, 몸말, 방언, 모성성, 무역사성, 환상적 동일시, 민족성, 민족의 젠더화, Feminine solidarity, body language, dialect, motherhood, ahistoricity, fantasy identification, ethnicity, gendering the nation

참고문헌

1.

(1999) 백석 시의 이미지 연구-‘불’과 ‘여성’의 이미지를 중심으로,

2.

(2004) 문화와 풍속에 대한 짧은 시론,

3.

(2000) 일신상의 진리와 모랄, 박이정

4.

(1936) ‘사슴’을 안고, 조선일보

5.

(1996) 백석 시 연구-자기 동일성의 인식 양상,

6.

(1996) 백석의 <사슴>에 나타난 모더니티 연구 ,

7.

(1940) 백석시집 ‘사슴’평, 동광당

8.

(1937) 조선문인인상기, 백광

9.

(1991) 시와 토착어지향 한국시의 자기정의,

10.

(2004) 근대 소설과 음식의 기호학,

11.

1930년대 한국시의 근대성,

12.

(2002) 백석의 삶과 문학적 대응 양상 연구-여성과 관련된 작품을 중심으로 ,

13.

(1949) 증정 문장강화, 박문서관

14.

(2000) 국가로서의 여성 혁명 후 쿠바 영화에서의 페미니즘과 민족주의, 서울대학교 스페인중남미연구소

15.

백석의 삶과 문학,

16.

(2000) 탈-식민 국가의 민족과 젠더(다시)만들기 ,

17.

문화와 욕망의 형성과 실현 주체와 욕망,

18.

(2002) 문화의 위치-탈식민주의 문화이론, 소명출판

19.

(2000) 시적 혁명과 경계선의 철학, 페미니즘의 오늘과 미래, 민음사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