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규방공간에서의 문학 창작과 향유

A Study on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literature in Kyubang(Women's living room)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5, v.0 no.14, pp.7-31
백순철 (대구대학교)

초록

이 논문은 규방이라는 공간을 중심으로 여성들이 문학을 향유하는 실상과 그 문화적 의미를 살피는 데에 주요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학문이나 교육의 혜택으로부터 소외된 여성들이 어떤 방식으로 한문 및 국문 해득능력을 갖추어 가는지, 그 속에서 스스로 어떻게 자신의 존재감을 드러내는지를 먼저 살펴보았다. 혼인 전의 여성들은 교양 습득에 있어서 문자적 제약이 강한 경우에는 기억과 재현의 능력이 요구되는 구비성을 한층 강화시켜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해 나간다. 또한 여성들끼리는 국문의 전사를 통해 여성간의 교양 확대를 추구한다. 여성들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문 및 국문 능력을 체득해 나간다고 할 수 있다.또한 이렇게 문학능력을 체득한 여성들은 자신들의 다양한 삶의 체험과 의식을 다양한 방식으로 표출하게 된다. 특히 국문장편소설 및 규방가사는 이러한 여성들의 생활세계와 다층적이고 복합적인 내면의식을 잘 담아내고 있다. 여기서는 규방가사를 중심으로 여성들이 자신들의 삶을 어떻게 규정하고 표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다음으로 규방의 여성들이 스스로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규방 외부의 기반으로서 독서문화와 여행체험을 살펴보았다. 여성의 독서문화를 살펴보면 흥미와 쾌락에 대한 욕망, 사람살이에 대한 성찰, 자기표현의 욕망 등을 들여다 볼 수 있다. 또한 여성들의 여행체험은 새로운 세계에 대한 인식, 심미적 욕망의 충족 등을 통해 여성들의 언어 및 정서적 미감에 상당한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이상과 같이 우리가 여성들의 문화적 기반을 먼저 살펴보는 이유는 이것이 능동적인 문학 창작을 가능케 하는 바탕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전통시대 여성들은 규방공간에서 제약된 삶을 살았지만 그러한 한계를 나름대로 돌파하며 자기들만의 독자적인 문학능력 및 문학문화를 형성, 발전시켜 왔음을 다시금 확인할 수 있다.

keywords
규방, 규방가사, 문자성, 독서문화, 여성의식, 여행체험, 음성성, kyubang, kyubanggasa, literacy, the reading culture, the feminine consciousness, the trip experience, oracy.

Abstract

This study was prompted by the necessity that the creation and enjoyment of literature in Kyubang should be researched in a current study. The research implications of This study run as follows : First, it might be understood how the feudal women had learned the literal capability of the Chinese classics and the Korean language. Second, The feudal women expressed the living style and consciousness in kyubang(Women's living room) through the kyubang novel and the kyubanggasa. Third, The reading culture and the trip experience of the feudal women had influenced on the living style and consciousness in kyubang(Women's living room). We understand desires of enjoyment and self-communion through the reading culture of the feudal women. Besides, we understand new perception and aesthetic desire through the trip experience of the feudal women. To conclude, The feudal women developed the independent literature culture in kyubang(Women's living room).

keywords
규방, 규방가사, 문자성, 독서문화, 여성의식, 여행체험, 음성성, kyubang, kyubanggasa, literacy, the reading culture, the feminine consciousness, the trip experience, oracy.

참고문헌

1.

(1979) 정신문화연구원,

2.

(1998) 나의 어머니, 조선의 어머니, 현대실학사

3.

(1971) 은촌내방가사집, 금강출판사

4.

(1980) 규방가사연구, 이우출판사

5.

(1993) 굴레 속의 韓國女性, 집문당

6.

(1996)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7.

(1996) 가부장제 이론, 이화여대출판부

8.

(2002) 부여노정기>-최초의 기행소재 규방가사 , 역락

9.

(1995.12) 내방가사의 문학성과 여성 인식 ,

10.

(2003.2) 海南尹氏宗家所藏 閨房歌辭 硏究, 한국고시가문학회

11.

(1995) 장편가문소설의 향유집단 연구, 문학과 사회집단

12.

(2001.2) 규방가사의 작품세계와 사회적 성격,

13.

(2002) 錦行日記>에 나타난 기행체험의 의미 ,

14.

(1988) 17世紀 閨房小說의 成立과 <倡善感義錄> 연세대 국학연구원,

15.

(2001) 금강산 기행가사의 전개양상 연구,

16.

(1998.2) 소현성록>의 여성주의적 성격과 의의-장편 규방소설의 형성과 관련하여, 고소설학회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