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페미니즘 미학의 기본 개념과 방법

Basic Concepts and Methods of Feminist Aesthetic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6, v.0 no.15, pp.167-200
김복순 (명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페미니즘 미학은 학문의 가장 강력한 상징인 ‘방법’에 ‘여성’과 ‘우리’가 배제되어 있어 기존의 미학이론이 학문적 정당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인식론적 근본학문으로서의 페미니즘 미학은 서양미학사의 기본 전제였던 개념과 방법, 즉 보편성, 객관성의 개념들 뿐 아니라 미적 반영 및 재현의 문제, 미적 가치의 문제 등과 관련하여 학문적 정당성의 측면에서 이의를 제기한다.페미니즘 미학에서 보편성은 절대적이거나 선험적이지 않으며, ‘맥락적’으로 구성되는 ‘상황적 보편성’이다. 상황적 보편성이란 실재에 대한 ‘대응’ 개념이라기보다 공동체에서의 ‘합의’ 개념이며, 객관성은 주관성이 상호매개 된 ‘관계주의적 객관성’이다. 페미니즘 미학은 젠더 차이를 보존하면서 개별성이 상황적 보편성과 상호매개 되어 특수성으로 지양되고, 관계주의적 객관성 속에 주관성이 고려되는 ‘구성과 발견의 변증법’이다. 페미니즘 미학의 범주로서의 특수성은 여성 젠더라는 차이를 고려하는 개별성과 ‘우리’를 전제로 구성되는 상황적 보편성을 맥락적으로 구성하며, 이들의 통일을 구현하여 제3의 것으로 정립시킨다.미적 반영의 문제에 있어서도, 각 개별자의 개인적 실행인 시선은 개별적이면서도 상황적 보편성을 매개한다. 개별자의 시선은 실재를 변형하는 이데올로기적 속성을 갖고 있다. 소위 ‘보편’미학에 대한 페미니즘 미학의 비판적 지점 중 하나인 ‘인식주체’도 다시 규명되었다. 페미니즘 미학은 주체와 대상의 이분법적 분리를 거부하며, 대상에게도 행위자로서의 지위를 부여한다. 또한 페미니즘 미학은 재현의 젠더에 따라 소설의 미적 가치가 달라지며, ‘보편’ 미학이 남성 중심적 미(문)학의 이론에 입각해 소설 형식의 젠더화를 드러낸다는 점도 밝혀내었다.페미니즘 미학의 방법론은 맥락과 관점에 의해 구성되는 해석적 실행으로서, 여성 중심주의 미학을 넘어서는 새로운 미학의 길을 열어 준다.

keywords
페미니즘 인식론, 상황적 보편성, 관계주의적 객관성, 재현의 젠더, 방법의 젠더, 해석적 실행, 구성과 발견의 변증법, 맥락주의, feminist epistemology, situated universality, relationalist objectivity, gender of representation, gender of methodology, hermeneutic performance, dialectics of constitution and finding-outs, contextualism.

Abstract

Basic Concepts and Methods of Feminist Aesthetics Kim, Bok-Soon Feminist Aesthetics is not only a discipline, a new kind of epistemology but it is also a counter-movement against an established male-centered aesthetics. It begins with a reinterpretation of concepts which have been premise of established male-centered aesthetics in the West. In the result, it leads to questioning the propositions of established male-centered aesthetics, concerning the issues of reflection and the gender of representation of aesthetics, and the issues of aesthetic values. In feminist aesthetics, the concept of universality is a "situated universality" constituted contextually. It means an agreement in the community rather than the correspondence (reflection) to the real. Therefore, feminist aesthetic is a dialectics of 'constitution and finding-outs' The concept of speciality as category in feminist aesthetics consists of the singularity considering gender, and the situated universality premising 'we'. By unifying these two, the third theory is created. The methodology of feminist aesthetic as an interpretational practice of contexts and standpoints, takes part in the aesthetic identity of the work, and it is a standpoint which evaluates aesthetic values in the inner respect.

keywords
페미니즘 인식론, 상황적 보편성, 관계주의적 객관성, 재현의 젠더, 방법의 젠더, 해석적 실행, 구성과 발견의 변증법, 맥락주의, feminist epistemology, situated universality, relationalist objectivity, gender of representation, gender of methodology, hermeneutic performance, dialectics of constitution and finding-outs, contextualism.

참고문헌

1.

(2002) 로티, 철학과 자연의 거울,

2.

(2005) 페미니즘 미학과 보편성의 문제, 소명출판

3.

(2005) 식민지 근대 초기의 만보와 소설 형식의 젠더화, 현대소설학회

4.

(2005) 무정과 소설 형식의 젠더화」 대중서사연구 제14집, 대중서사학회

5.

(2004) 여성주의 미학과 예술작품의 존재론,

6.

(2004) 여성학적 인식론의 발견과 그 사상사적 지평,

7.

(2003) 페미니즘의 미래와 사이보그 페미니즘,

8.

(1995) 한국여성철학, 한울아카데미

9.

(2001) 전통인식론에 대한 여성주의적 도전,

10.

(2004) 여성문학사 서술의 문제점과 해결방향」,

11.

(2003) 다원주의 시대 한국의 페미니즘」 한국사회와 다원주의,

12.

(2005) 서사학과 페미니즘, 배재대 출판부

13.

(1995) 여성주의 인식론에 대한 비판적 성찰」 여성철학연구모임, 한울 아카데미

14.

(1992) 「페미니스트 인식론 연구」,

15.

(2004) 한국의 탈식민 페미니즘과 지식생산,

16.

(2005) 포스트식민 이성 비판,

17.

(2004) 과학학의 이해,

18.

(2004) 유목적 주체,

19.

(2005) 미학의 경계를 넘어,

20.

(2002) 페미니즘과 과학, 이화여대 출판부

21.

(2005) 여성주의철학,

22.

(2006) 여성주의철학입문,

23.

(2001) 미학의 기본개념사,

24.

(1999) Engendering Philosophy:Feminism and Epistemology,

25.

(1997) Women's Way of Knowing, Clinchy Basic Books

26.

(2004) Gender and aesthetics,

27.

(1995) Knowing Women, polity press

28.

(1996) ambiguous discourse,

29.

(2003) Hegel and Feminist Philosophy, Polity Press

30.

(2003) The Sex of Knowing,

31.

(2004) Freud Master Plot,

32.

(2000) Toward a Feminist Narratology,

33.

(2004) Coming Unstrung: Women, Men, Narrative, and Priciples of Pleasure,

34.

(2004) The Feminist Standpoint Theory Reader,

35.

(2004) The Feminist Standpoint Theory Reader,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