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1990년대 후반기 이후 한국 남성 멜로영화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Male Film Melodrama Since the latter of 1990'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6, v.0 no.16, pp.449-481
이현경 (서울예술대학)

초록

전통적으로 ‘여성적’ 장르로 인식되는 멜로영화에서 ‘남성’은 상대적으로 관. 이는 멜로영화의 내러티브를 이끄는 중심인물이 주로 여성일 뿐 아니라 관객층도 여성 편향적이었기 때문이다 . 그러나 장르는 사회문화적 변화를 반영하여 변모하는 유기적인 속성을 가지고 있다 . 1990년대 이후 한국 멜로영화는 장르적 쇄신을 이루게 되고 , 1997, 8년을 기점으로 남성이 주인공인 사랑 이야기가 등장하기 시작했다 . 영화를 ‘남성 멜로영화’라고 부르고 다시 몇 가지 하위 유형을 구분하여 내러티브의 구체적인 특징을 분석하고자 한다 . 남성 성장 멜로영화의 경우에는 연애, 남성 순정 멜로영화에서 남자 주인공은 자신이나 사랑하는 여자가 죽게 되는 상황에서도 변하지 않는 사랑을 지키려 최선을 다한다 . 남성 환상 멜로영화에서는 사랑을 위해 금기에 저항하는 남성상을 보여주는데 , 환상은 금기를 허물고 욕망을 성취하는데 필요한 플롯 상의 기능과 윤리적 보호막 역할을 동시에 한다 . 1990년대 후반기 이후 남성 멜로영화로 분류할 수 있는 일군의 영화들이 등장하여 현재까지 재생산되는 현상은 한국 멜로영화사에서 ‘남성’의 영역이 만들어졌다는 의미이다 . 또한 이는 사랑 이야기의 생산과 소비에 남성의 참여가 보다 자연스러워졌음을 의미한다. 남성 멜로영화의 일차적인 사회문화적 의미는 사랑을 삶의 중요한 가치로 인식하고 행동하는 새로운 유형의 남성상이 탄생되었다는 데서 찾을 수 있다.

keywords
멜로드라마, 멜로영화, 남성, 내러티브, 사랑, 사랑 이야기, 연애, 성장, 순정, 신파, 죽음, 환상, 금기, 욕망, 전복, 봉합, 대중문화, 장르, 이데올로기, melodrama, film melodrama, narrative, genre, mass culture, love, love story, maturity, devotion, fantasy, taboo, desire, suture, subversion, ideology

Abstract

This paper aims to give light upon the aspect of Korean 'male film melodrama'. The main concept of male film melodrama is the love story that the hero drives narrative. Generally melodrama is accepted the genre being about women, for women. Until now most studies of melodrama have been focused on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woman's image and ideological pressure. The social-cultural changes influence mass culture, so one of the most popular genre, melodrama is reflected these results. Nowadays new male features have being appeared in melodrama. They are men who fall in love and their love story develops plot. In 1997, 8 'man' appeared the front side of Korean film melodrama for the first time in Korean film melodrama history. Since the latter of 1990's, many of male film melodrama have been made and most of them hit at the box-office. We can categorize them three types. First, there is 'male maturity film melodrama'.Second, there is 'male pure heart film melodrama'. Last, there is 'male fantasy film melodrama'. Genre is not a certain fixed substance, but is an organic formation which repeatedly makes self-renovation. According to the times, male characters in melodrama have changed and male audience, too. Men who have averted their eyes from love story are interested in love story and acknowledge love is the most important value in their lives.

keywords
멜로드라마, 멜로영화, 남성, 내러티브, 사랑, 사랑 이야기, 연애, 성장, 순정, 신파, 죽음, 환상, 금기, 욕망, 전복, 봉합, 대중문화, 장르, 이데올로기, melodrama, film melodrama, narrative, genre, mass culture, love, love story, maturity, devotion, fantasy, taboo, desire, suture, subversion, ideology

참고문헌

1.

(2000) 신자유주의와 문화, 문화과학사

2.

(1994) ?대중 영화의 이해? 임재철 외 역, 한나래

3.

(1995) 시네-페미니즘, 대중영화 꼼꼼히 읽기, 과학과 사상

4.

(2000) 근대성의 유령들, 씨앗을 뿌리는 사람들

5.

(2005) 현대기호학과 문화분석, 열린책들

6.

(2001) 우리 영화 100년, 현암사

7.

(2004) 환상성-전복의 문학, 문학동네

8.

(1994) ?대중예술의 이론들?, 동연

9.

(2005) 디지털 시대의 서사와 매체, 동인

10.

(2004) 형언: 문학과 영화의 원근법,, 평민사

11.

(2003) 씨네 페미니즘의 이론과 비평, 책과길

12.

(2003) 영화에 관한 질문들, 울력

13.

(1983) 예술의 사회학최성만 이병진 역, 한길사

14.

(2000) 눈물의 역사, 동문선

15.

(1996) 현대 사회의 성ㆍ사랑ㆍ에로티시즘 친밀성의 구조변동, 새물결

16.

(1997) 남성과 한국사회, 사회문화연구소

17.

(1998) 1998년 한국영화연감, 집문당

18.

(2005) 2005 한국영화연감, 커뮤니케이션북스

19.

(1999) 멜로드라마란 무엇인가, 민음사

20.

(2004) 한국 멜로드라마의 근대적 상상력, 푸른사상

21.

(2002) 한국의 문화변동과 가치관, 나남출판

22.

재클린 살스비, (1985) ?낭만적 사랑과 사회? 박찬길 역, 민음사

23.

(1999) 왜 대중영화인가?, 한울

24.

(2003) 근대의 책읽기, 푸른역사

25.

(2002) 한국 현대 성장소설의 서사 시학, 박이정

26.

(1996) 환상문학 서설, 한국문화사

27.

(1995) 할리우드 장르의 구조, 한나래

28.

(2005) 한국영화사 공부 1980-1997, 이채

29.

(2003) 개정 증보판 한국영화 100년, 문학사상사

30.

(1989) 일제강점기 신파양식에 대한 연구,

31.

(2003) 1999-2002년 시기의 한국영화 붐에 대한 연구, 한국영화교육학회

32.

(2003) ?영화교육연구?,

33.

(1984) 멜로드라마의 컨벤션 연구,

34.

(1997) 사회과학연구,

35.

(1997) 한국에서 멜로드라마가 갖는 특권적 지위에 관한 해석적 분석,

36.

멜로드라마의 양식과 이데올로기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

37.

한국영화사에서 여성관객의 관람경험 연구 1950년대 중반에서 1960년대 초반을 중심으로,

38.

(2002) 멜로드라마의 근대적 상상력,

39.

(2003) 신파 양식의, 세상에 대한 태도,

40.

(1995) 신파적 멜로드라마의 근대성에 대해,

41.

(2000) 멜로 장르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평 여성관객성 논의를 중심으로,

42.

(1997년) 환상 문학과 한국 문학, ?세계의 문학?

43.

The Desire to Desire, Indiana University Press

44.

(1998) The Oxford Guide to Film studies,

45.

(2000) Film Studies and Japanese Cinema, Film Studies and Japanese Cinema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