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Runaway and crossing the border of Disadvantaged Girls -History before and after 'Forced Supply of Young Girls' in the 1930s-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2, v.0 no.28, pp.449-483
Kim Ju Hyeon

Abstract

한국 근대 문학사에서 소녀는 소년의 의미론적 짝이되 소년에 가려진 기호이다. 우리의 경우 일본과 달리 ‘소녀 소설’로 부를 만한 작품도, 소녀 표상의사회학적 의미를 분석한 연구도 드문데, 이는 소녀=여학생이라는 인식 탓이크다. 그러나 기실 근대 텍스트를 흘끗 들춰보기만 해도 가출하고 월경하는 숱한 ‘불우 소녀’들을 만날 수 있다. 이 논문은 소녀=여학생이라는 범주를 벗어나 계급적 관점에서 1920년대 이후 근대 조선의 불우 소녀들에 주목해 이들의행적을 1930년대 후반 ‘소녀 공출’ 전후사로 파악했다. 근대 조선의 불우 소녀들은 카프계 작가의 노동 소설, 신문․잡지 매체 등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재현된다. 대표적으로 여공이 등장하는 노동 소설의 불우 소녀는 어려운 가정 형편에서 가장 노릇을 하다가 정조를 잃고 ‘혁명 처녀’로 성장한다. 이러한 성장담은 카프 작가에게서 특징적이지만 작가의 이념이투사된 이상적인 것으로, 실제로는 병고로 심신이 쇠약해지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비교적 가감 없는 현실을 보려면 1930년대 신문․잡지 기사의 소녀 유괴 사건을 확인해야 한다. 1920년대부터 3대 민족지는 소녀 유괴 사건을 단골로 실었는데, 때때로 그것은 반중 민족 감정이 결부된 사회적 스캔들이 되어독자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이렇게 재현된 불우 소녀들은, 여학생 출신으로 기생이 되는 사례를 제외하면, 재현 주체에 의해 인권 없는 객체로 사물화됨으로써 오히려 인간으로서 고유성이나 개별성은 지워진다. 이른바 ‘소녀 애화(哀話)’나 ‘기생 애화’가 여기에 해당한다. 1930년대의 ‘처녀 공출’은 이러한 소녀들이 위안부로 끌려가 그들의 소녀기를 살해당한 최악의 케이스이다. 반식민주의나 민족주의로 충분히 규명될 수없는 위안부의 역사적 위치는, 증언의 (불)확실성을 포함하여, 이들이 누구였는가를 되묻는 역사적 관점이 필요하다. 이 논문이 밝힌 근대 불우 소녀들의행적은 이에 대한 답이라 할 수 있다.

keywords
Disadvantaged girl of modern times, Forced supply of girls, Novels about/for female factory workers, Abduction of girls, Aehwa the gisaeng(a sad story of Gisaeng), Girls' sexuality, Statue of a comfort women, Heron by Lee Gi-young, 근대 불우 소녀, 처녀 공출, 여공 소설, 소녀 유괴 사건, 기생 애화, 소녀의 섹슈얼리티, 위안부 소녀상, 이기영의 「왜가리」

Reference

1.

안승현 편, 일제강점기 한국 노동소설 전집 1~3, 보고사, 1995.

2.

이기영, 「왜가리」, 문장 16(제2권 4호), 문장사, 1941.4.

3.

채만식, 「병이 낫거든」, 채만식 전집 8, 창작과비평사, 1989.

4.

「江璟論山두곳에서 兩少女行方不明」, 조선중앙일보, 1933.7.26, 4면.

5.

「단발랑 이야기 1~5」, 매일신보, 1924.2.2~1924.2.6.

6.

「조타고찾아갓든공장 虐待에 二少女脫出」, 동아일보, 1939.8.4, 7면.

7.

落照生, 「少女」, 홍영 1권 2호, 공영잡지사, 1922.8.

8.

「少女賣買 中國人逮捕」, 동아일보, 1924.10.4, 2면.

9.

「少女哀話 1~7」, 동아일보 , 1921.10.02~1921.10.8, 3면.

10.

이헌구, 「소녀 차장」, 사해공론 2권 5호, 사해공론사, 1936.5.

11.

「朝鮮少女들을誘引 强制로賣春虐待」, 조선일보 , 1935.10.30, 2면.

12.

「좁쌀 단 세 포대에 팔리어 온 소녀」, 동아일보 ,1928.2.5, 5면.

13.

「中國阿片窟에 監禁된 朝鮮少女救出記」, 조광 2권 1호, 조선일보사출판부, 1936.1.

14.

「職場 少女들의 抗議書」, 여성 3권 7호, 조선일보사출판부, 1939.7.

15.

「창기 되기 싫다고 경찰서에 호소」, 중외일보 , 1930.1.29.

16.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정신대연구회 편,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1~2, 한울, 1993.

17.

한국정신대 연구소․한국정신대대책협의회,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3, 한울, 1999.

18.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한국위원회 증언팀,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4, 풀빛, 2011.

19.

한국정신대대책협의회 2000년 일본군 성노예 전범 여성국제법정 한국위원회 한국정신대연구소,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 5, 풀빛, 2001.

20.

동아일보,

21.

조선일보,

22.

조선중앙일보,

23.

시대일보,

24.

매일신보

25.

김복순, 「소녀의 탄생과 반공주의 서사의 계보」, 한국근대문학연구 18, 한국근대문학회, 2008.10, 203~234쪽.

26.

서지영, 「여공의 눈으로 본 식민지 도시 풍경」, 역사문제연구 22, 역사문제연구소, 2009.10, 7~31쪽.

27.

윤정란, 「식민지시대 제사공장 여공들의 근대적인 자아의식 성장과 노동쟁의의 변화과정」, 담론2019권 2호, 한국사회역사학회, 2006.8, 37~76쪽.

28.

윤지현, 「1920~30년대 서비스직 여성의 노동실태와 사회적 위상」, 여성과역사 10, 한국여성사학회, 2009.6, 93~139쪽.

29.

이경민, 기생은 어떻게 만들어졌는가, 사진아카이브연구소, 2005.

30.

정진성, 「군위안부의 실상」,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정신대연구회 편, 강제로 끌려간 조선인 군위안부들1, 한울, 1993.

31.

中野敏男․김부자 편저, 역사와 책임, 이애숙․오미정 공역, 선인, 2008.

32.

吉見義明, 일본군 군대위안부, 이규태 역, 소화, 1998.

33.

Primo Levi, 이것이 인간인가, 이현경 역, 돌배개, 2012.

34.

Giorgio Agamben, 아우슈비츠의 남은 자들, 정문영 역, 새물결, 2012.

35.

渡部周子, <少女>像の誕生, 新泉社, 2007.

36.

今田絵里香, 「少女」の社會史, 剄草書房, 2007.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