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여배우의 등장 근대 극장의 신체와 섹슈얼리티

Actress’s Rising : Focusing on the problem of body and sexuality in the early modern Korean theatre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2, v.0 no.28, pp.517-550
이화진 (연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초기 극장에서 성별화된 배역을 연기하는 여성 연기자로서 여배우가 등장하고 근대 문화 제도의 하나로 정착하는 일련의 과정을 당대 사회문화적 맥락 속에서 살피고, 그 역사성을 추적한 것이다. 초기 관객은 여형배우의 ‘연기’를 신체적인 성별에 관계없이 맡겨진 배역을 수행하는 ‘기예’로 받아들였으며, 연기자의 성별에 구애되지 않고 배역에 집중하여 공연을 관람하였다. 그러나 서양 활동사진의 영향, 미디어 테크놀로지의 발달, 1920년대 초반의 문화적 분위기 등 극장을 둘러싼 내외적 계기들이 기존의 관람 경험에 균열을 일으키고, 여성성이 연기의 결과가 아니라 여성의 생물학적이고 물질적인 신체에 근거하는 것으로 인식을 전환시켰다. 이월화가 연기한 ‘카츄샤’는여형배우로는 대체될 수 없는 새로운 신체성의 등장을 확증한 것이라고 할 수있다.

keywords
근대 극장, 여배우, 여형배우, 기예, 섹슈얼리티, 여성성, 카츄샤, 신체성, modern theatre, actress, female impersonator(Onna-gatta), technic, sexuality, feminity, Katyusha, body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process that actress appeared as a female performer who acts a gendered character and became a modern cultural institution in the early modern Korean theatre in social cultural context. It also tries to understand the historicity of gender performance. In early theatre, the audience took the female impersonator(Onna-gatta)’s acting as a technic which he performed irrelevantly to his own sex. However, this convention had cracks due to the effect of western moving pictures, the development of media technology, the cultural environment and so on. The early 20’s audience recognized the performer’s feminity based on his/her own physical body, not the production of performance. Yi Wol-hwa’s Katyusha confirmed the rise of new body which could not be superseded by the female impersonator (Onna-gatta).

keywords
근대 극장, 여배우, 여형배우, 기예, 섹슈얼리티, 여성성, 카츄샤, 신체성, modern theatre, actress, female impersonator(Onna-gatta), technic, sexuality, feminity, Katyusha, body

참고문헌

1.

매일신보,

2.

조선일보,

3.

동아일보,

4.

조광,

5.

개벽,

6.

모던조선,

7.

신사조,

8.

사상계,

9.

세대,

10.

예술원보,

11.

映畵と演藝

12.

권보드래, 연애의 시대, 현실문화연구, 2003.

13.

김남석, 조선의 여배우들, 국학자료원, 2006.

14.

김소영, 근대의 원초경, 현실문화연구, 2010.

15.

박 진, 세세년년, 경화출판사, 1966.

16.

안종화, 신극사 이야기, 진문사, 1955.

17.

안종화, 한국영화측면사, 현대미학사, 1998[1962].

18.

우수진, 한국 근대연극의 형성—공공극장과 신파극의 대중적 문화지형,푸른사상, 2011.

19.

한국연극협회, 한국현대연극 100년 : 인물연극사, 연극과인간, 2009.

20.

大笹好雄, 日本現代演劇史 : 大正․昭和初期篇, 東京 : 白水社, 1986.

21.

藤木秀朗, 增殖するペルソナ—映画スターダムの成立と日本近代, 名古屋 :名古屋大学出版会, 2007.

22.

永嶺重敏, 流行歌の誕生―「カチューシャの唄」とその時代, 東京 : 吉川弘文館, 2010.

23.

斎藤綾子, 映画と身体/性, 東京 : 森話社, 2006.

24.

池内靖子, 女優の誕生と終焉 パフォーマンスとジェンダー, 東京 : 平凡社, 2008.

25.

Ayako Kano, Acting like a Woman in Modern Japan : Theater, Gender, and Nationalism, NY : Palgrave, 2001.

26.

권도희, 「20세기 전반기 극장연희의 종목과 그 특징」, 한국음악연구 제47집, 한국국악학회, 2010, 23~47쪽.

27.

김기란, 「몸을 통한 재연극화와 관객의 발견 (1)-현대 공연예술의 몸 이론과 관련하여」, 드라마연구 제25호, 한국드라마학회, 2006, 39~61쪽.

28.

김수남, 「조선영화 최초 여배우에 대한 논의」, 영화연구 제27호, 한국영화학회, 2005, 57~88쪽.

29.

김재석, 「개화기 연극에서 고전극 배우의 위상 변화와 그 의미」, 어문논총제35호, 경북어문학회, 2001, 19~40쪽.

30.

김재석, 「「토월회」 연극의 근대성과 전근대성」, 한국극예술연구 제34집,한국극예술학회, 2011, 13~47쪽.

31.

김정수, 「한국연극 연기에 있어서 화술 표현의 변천 양태 연구 : 190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 동국대 박사학위논문, 2005, 1~246쪽.

32.

노승희, 「해방 전 한국 연극 연출의 발전 양상 연구」, 동국대 박사학위논문,2007, 1~255쪽.

33.

문경연, 「한국 근대 대중연극계의 기억과 침묵 읽기 : 남성 필자의 회고록과 자서전을 중심으로」, 드라마연구 제26호, 한국드라마학회, 2007,99~130쪽.

34.

박진영, 「한국에 온 톨스토이」, 한국근대문학연구 제23호, 한국근대문학회,2011, 193~227쪽.

35.

백현미, 「소녀 연예인과 소녀 가극 취미」, 한국극예술연구 제35집, 한국극예술학회, 2012, 81~124쪽.

36.

사진실, 「배우의 전통과 재담의 전승 : 박춘재의 재담의 재담을 중심으로」,한국음반학 제10호, 한국고음반연구회, 2000, 299~333쪽.

37.

유현주, 「1920년대 연극문화와 신여성의 형성」, 동국대 석사학위논문, 2004,1~83쪽.

38.

임지희, 「1910년대 근대적 배우 개념의 형성 과정 연구」, 어문학 통권 제86호, 한국어문학회, 2004, 389~416쪽.

39.

최윤영, 「1910년대 한국 신파극 배우의 연기 양식」, 연극교육연구 제18집,한국연극교육학회, 2011, 235~267쪽.

40.

홍선영, 「예술좌의 만선 순업과 그 문화적 파장-시마무라 호게쓰의 신극론과 관련하여」, 한림일본학 제15집,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09,169~192쪽.

41.

홍효정, 「근대적 관객의 집합적 주체성 형성 과정 연구 : 1900~1910년대음부탕자담론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06, 1~86쪽.

42.

Helga Finter, “The Body and its Doubles : On the (De-)Construction of Feminity on Stage,” translated by Matthew Griffin, Women & Performance : A Journal of Feminity Theory, 1997. pp.119~141.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