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구식민자의 젠더화된 초상 -두 개의 전후(戰後), 젠더 정치를 통한 식민 기억의 (재)구성-

The Gendered Representation of Former Colonizer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2, v.0 no.28, pp.579-608
김혜인 (동국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에서는 해방 직후 잔류 일본인이 한국전쟁 전/후 남한의 문화정치적구조에서 어떠한 굴절과 변용의 과정을 거쳐 기억되고 재현되는지 살펴보았다. 해방 이후 한반도 내 일본인은 미․소 점령군의 정책에 따라 약 1년에 걸쳐 송환되었다. 이 시기 잔류 일본인과 접촉․분리되었던 조선인의 경험은 실제 이들의 송환이 완료된 이후에야 본격적으로 구체화되어 재현되기 시작하였다. 식민의 잔여인 이들은 조선인들에게 ‘지금-여기’에서 공존하는 존재라기보다는, ‘기억’의 대상으로서 부재하는 자여야만 했던 것이다. 탈식민지화와 냉전질서의 구도 속에서 잔류 일본인에 대한 재현은 한편으로는 식민․해방의 경험을 어떻게 기억(/기념)할 것인가의 문제와 결부되어 있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후식민의 상황에서 일본과의 관계를 어떤 방식으로 구축․상상할 것인가의 문제와 결부되어 있었다. 이 글에서는 기억․재현의 대상으로서 잔류 일본인이 ‘여성’으로 한정되어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식민 기억의 (재)구성을 둘러싼 젠더 정치의 함의를 살펴보았다. 특히, 잔류 일본인에 대한 기억이 한국전쟁 이후에는 공산주의 치하 일본인 여성의 수난사로 구성된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를 통해 반일주의와 반공주의가 착종된 가운데 식민 기억의 (재)구성과 한․일 관계에 대한 상상이 이루어졌던 맥락을 살펴보았다.

keywords
Japanese women, Gender, North Korea, Japanese Camp, Imagination of Cold War, 잔류 일본인, 일본인 여성, 젠더, 38이북, 일본인 수용소, 냉전적 상상력

Abstract

This article looks into how the memory/imagination of the remaining Japanese was distorted, acculturated, and restructured in the cultural and political structure before and after the Korean War. The remaining Japanese on the Korean peninsula had been returned during one year according to the policy of the US and Soviet Union occupation troops after liberation, and the Korean people were in contact with the Japanese during that one year. The experience of contacting and being separated from the remaining Japanese at that time began to be reproduced by being made clear after the completion of the actual return of the Japanese. The Japanese, who were a remainder of colonization, had to be those who were nonexistent as the object of a “memory” rather than to be an existence that coexists “now-here” to the Korean people. Such a phenomenon is, in part, combined with the matter of how to remember/commemorate the experience of colonization and liberation, and, in part, it is associated with the matter of which way the relationship with Japan should be constituted and imagined after the colonial situation. Focusing on that most of the remaining Japanese who were established as the object of that memory and reproduction were limited to “women”, this article considered the implications of gender policy surrounding the (re)structuring of a colonial memory. In particular, regarding narratives after the Korean War, they were composed of the ordeal history of Japanese women, centering on the “38 North Korea Japanese Camp”. With a focus on that, the article took a look into the context in which the (re)structuring of a colonial memory and imagination concer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was made while anti-Japanese ideology and anti-communism were entangled.

keywords
Japanese women, Gender, North Korea, Japanese Camp, Imagination of Cold War, 잔류 일본인, 일본인 여성, 젠더, 38이북, 일본인 수용소, 냉전적 상상력

참고문헌

1.

동아일보,

2.

매일신보,

3.

민주신보,

4.

자유신문,

5.

조선일보

6.

문학예술,

7.

신천지,

8.

현대문학

9.

김만선, 압록강, 깊은샘, 1989.

10.

염상섭, 삼팔선, 금룡도서주식회사, 1948.

11.

염상섭, 효풍, 실천문학사, 1998.

12.

이범선, 검은 해협, 태창문화사, 1978.

13.

허 준, 잔등, 을유문화사, 1946.

14.

마루카와 데쓰시, 장세진 옮김, 냉전문화론-1945년 이후 일본의 영화와 문학은 냉전을 어떻게 기억하는가, 너머북스, 2010.

15.

문제안 외 22명 지음, 8.15의 기억, 한길사, 2005.

16.

사와이 리에, 김행원 옮김, 엄마의 게이죠, 나의 서울, 신서원, 2000.

17.

아감벤, 호모 사케르, 새물결, 2008.

18.

아사노 도요미, 이길진 옮김, 살아서 돌아오다-해방공간에서의 귀환, 솔,2005.

19.

최영호, 현대한일관계사, 국학자료원, 2002.

20.

김석란, 「재한일본인 아내의 국적에 관한 연구-해방이전 결혼자를 중심으로」, 일어일문학 제88집, 2007, 339~351쪽.

21.

김예림, 「불/안전국가의 문화정치와 포스트콜로니얼 문화상품의 장-1960년대 영화와 “현해탄 서사” 재고」, 현대문학의 연구 42집, 2010,563~608쪽.

22.

김예림, 「포스트콜로니얼의 어떤 복잡한 월경적 연애에 관하여: 구식민자와구제국 그리고 기억-기록의 정치학」, 서강인문논총 제31집,2011, 45~87쪽.

23.

김예림, 「종단한 자, 횡단한 텍스트: 후지와라 데이의 인양서사, 그 생산과수용의 정신지」, 상허학보 34집, 2012, 173~213쪽.

24.

나카네 다카유키, 「패전의 기억-재조선 일본인의 심성 궤적」, 일본학보제9호, 2004, 93~105쪽.

25.

박광현, 「인양 서사란 무엇인가」, 플랫폼 20호, 인천문화재단, 2010. 3․4,30~34쪽.

26.

신형기, 「허준과 윤리의 문제」, 상허학보 제17집, 2006, 171~200쪽.

27.

이규수, 「식민지 체험자의 기억 속의 ‘제국’과 ‘식민지’」, 역사와경계 제79집, 2011, 227~256쪽.

28.

이연식, 「패전 후 한반도에서 돌아간 일본인 여성의 귀환체험-남북간의 지역차를 중심으로」, 한일민족문제연구 제17호, 2009, 139~189쪽.

29.

이연식, 「해방 후 한반도 거주 일본인 귀환에 관한 연구-점령군, 조선인, 일본인 3자간 상호작용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2009.

30.

이혜령, 「해방기 식민기억의 한 양상과 젠더」, 여성문학연구 제19호, 2008,233~267쪽.

31.

이혜령, 「식민자는 말해질 수 있는가」, 대동문화연구 78집, 2012, 317~349쪽.

32.

정병욱, 「해방 직후 일본인 잔류자들-식민지배의 연속과 단절」, 역사비평 64호, 2003, 129~149쪽.

33.

조윤정, 「내선결혼 소설에 나타난 사상과 욕망의 간극」, 한국현대문학연구 제27호, 2009, 241~276쪽.

34.

최석영, 「일본인 처들은 한국 사회에서 어떤 모습으로 살아가고 있는가」, 실천문학 , 2001년 가을, 95~110쪽.

35.

황선익, 「해방 전후 재한일본인의 패전 경험과 한국 인식」, 한국학논총 제34호, 2010, 1089~1117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