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여성적 응시의 문제 -초기 소설을 중심으로-

Problems on Feminine Gaze Found in Novels by Oh Jeong-hee -Focusing on Early Novel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3, v.0 no.29, pp.325-351
이광호 (서울예술대학교 문예창작과 교수)

초록

오정희 초기 소설에서 여성 서술자에 의해 초점화된 시선은 여성 소설의 미학적 차원을 열어주며, 새로운 여성 주체의 존재를 드러낸다. 시선 주체는 참혹한 모성과 모성을 제거한 여성성에 대한 응시를 보여주는 한편, 부재와 현존의 틈새에 위치한 남성을 응시한다. ‘여성적 응시’의 문제에서 중요한 것은 여성인물의 시선이 등장한다는 수준의 문제가 아니라, 오정희 소설의 시선의 모험이 남성 시선 중심의 상징질서에 균열을 가하는 새로운 미학적 응시의 가능성을 실현하고 있다는 점이다. 오정희 소설에서 여성이 본다는 것은, 여성이 처한 상징질서의 완강함을 상기시키는 동시에, 그것에 대한 무의식적이고 분열증적인 여성 주체의 고통과 거부의 지점을 드러낸다. 이것은 오정희 초기 소설의 담화적 특징인 분열자의 독백적인 언어, 서사적 완결성을 향하지 않는 무한 독백의 언어라는 특이성과 연관되어 있다. 여성적 응시의 언어는 무의식적, 분열증적 자기 응시와 존재 생성의 언어라고 할 수 있다. 남성 주체의 시선의 지배적 관철을 보여주는 한국현대소설사에서 여성적 응시의 문제를 미학적 차원으로 문제화했다는 측면에서 오정희 소설은 한국문학에서 지울 수 없는 의미를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Gaze subject, feminine gaze, focalization, gender system, schizophrenia, 시선 주체, 여성적 응시, 초점화, 젠더 시스템, 분열증

Abstract

Novels written by Oh Jeong-hee provide a possibility for a new ‘feminine gaze’ by talking about desire for breakaway and senses of guilt and nervousness caused by the gender system since modernization. The gaze by a woman narrator initiates an aesthetic world of female novels revealing the presence of a new female subject. The subject with the gaze describes some gaze for feminity with cruel motherhood and motherhood eliminated. Meanwhile, the gaze also lies upon male located between absence and existence. This feminine gaze beautifies a point where unconscious pain and refusal of patriarchal symbolic order would coincide. That is found to be related to some peculiarity the infinite monologue that would never pursue monologue language and narrative completion, the discourse features found in early novels by Oh Jeong-hee. The language of the feminine gaze can be described as a language of personal gaze and existence creation by a unconscious, schizophrenic subject. Oh Jeong-hee’s novels have been proving the aesthetic possibility beyond the privilege of male subject, and because of such achievement, Oh’s novels are considered a problematic example on the aesthetic modernity as a breakaway to another modernity as the society system order.

keywords
Gaze subject, feminine gaze, focalization, gender system, schizophrenia, 시선 주체, 여성적 응시, 초점화, 젠더 시스템, 분열증

참고문헌

1.

오정희, 불의 강 , 문학과지성사, 1997.

2.

박정자, 시선은 권력이다 , 기파랑, 2008, 35-42쪽.

3.

심진경, 「여성의 성장과 근대성의 상징적 형식」, 여성, 문학을 가로지르다 ,문학과지성사, 2005, 93쪽.

4.

우찬제, 「외상 불안과 분리 불안: 오정희」, 불안의 수사학 , 소명출판, 316쪽.

5.

주은우, 시각과 현대성 , 한나래, 2003, 190쪽.

6.

김화영 편역 소설이란 무엇인가 , 문학사상사, 1986, 120쪽.

7.

미셀 푸코, 홍성민 역, 임상의학의 탄생 , 이매진, 1991, 310-316쪽.

8.

아네트 쿤, 이형식 역, 이미지의 힘-영상과 섹슈얼리티 , 동문선, 2001, 23쪽.

9.

자크 라캉, 민승기 엮음, 욕망이론 , 문예출판사, 1998, 186-200쪽.

10.

질 들뢰즈, 이강훈 역, 매저키즘 , 인간사랑, 2007, 122쪽.

11.

H. 포터 애벗, 우찬제 외 역, 서사학 강의 , 2010, 146-147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