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학사에서 여성비평가들이 본격적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여 적극적으로 활동한 1990년대 한국여성비평가들의 비평담론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1990년대에 활발하게 활동한 김미현, 신수정, 최성실, 심진경을 그 대상으로 논의하였다. 1990년대 여성비평가의 공통점은 이들이 모두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의한 비평을 비판적으로 파악하고 여성의 경험과 여성의 시각을 작품화한 여성작가를 적극적으로 조망하고 있다는 면에서 파악할 수 있다. 오정희, 박완서, 신경숙, 은희경 등의 작가들에게 이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이다. 동시에 1990년대 여성비평가들의 차이점은 그들이 관심을 쏟는 문제의식과 연관되는데 김미현이 여성의 몸에, 신수정이 여성의 언어에, 최성실이 여성의 섹슈얼리티에, 심진경이 모성의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은 여성비평가들 안에서의 차이를 만들어 낸다. 김미현 비평의 핵심은 여성의 몸이며, 여성의 몸이 인어공주와 아마조네스의 이중성을 갖고 있으며, 생물학적 차원을 떠나 사회문화적인 구성물로 여성문학을 사유할 수 있는 중요한 도구로 작용한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신수정 비평의 핵심은 여성의 언어이며,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남성의 상징적 언어체계에 편입되는 것이 아니라 여성 내부의 욕망을 ‘비명’을 통해 존재를 드러내는 것임을 분석해낸다. 그 비명은 상징계 이전의 상상계의 언어이다. 신수정은 여성의 언어인 비명이란 억압되어 있는 자신만의 신생의 언어를 갈망하는 여성인물이 돌파구를 찾아가는 모습을 드러내거나 혹은, 혼동의 언어를 몸으로 체험하는 것임을 통해, 여성의 언어가 고통과 희열의 이중성을 가지고 있다. 최성실 비평의 핵심은 여성의 섹슈얼리티로, 친밀성으로서의 섹슈얼리티 가운데 숭고함을 추구하는 낭만적인 사랑과 에로틱함을 추구하는 열정적인 사랑으로 구분한 후 논의를 전개한다. 낭만적인 사랑이란 정신적인 부분을 메워주는 영혼과의 만남을 가정하나 기존의 제도와 쉽게 단절하지 못하는 한계를 갖고, 열정적인 사랑이란 관능과 유혹의 극단을 치달으면서 욕망의 극단을 추구하지만 제도와 규범과 단절한 채 필연적으로 파멸을 향해 나아가는 한계를 갖고 있다고 본다. 이런 의미에서 여성의 섹슈얼리티는 낭만적 사랑과 열정적 사랑의 이중성을 갖고 있다. 심진경 비평의 핵심은 모성으로, 모성을 생물학적으로 보는 시각이 모성 이데올로기를 재생산하고 있다면, 모성을 사회 문화적으로 보는 시각은 모성이라는 실존적, 구체적 체험을 무시할 위험을 갖고 있다고 지적한다. 이에 비평가는 사회문화적으로 구성되는 모성과 생물학적 모성을 이분법적으로 가르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보고 있다. 비평가는 모성은 억압과 해방의 이중성을 갖고 있으며 여성작가들은 경험과 제도로서의 모성을 통합할 수 있는 새로운 모성적 세계에 이르는 길에 대해 지속적으로 논의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한국여성비평가들은 여성들 간의 차이나 여성 내부의 분열을 인정하면서도 동시에 남성과는 다른 여성의 주체성과 고유성에 관한 관심은 지속되어야 한다는 데에는 공통적인 문제의식을 갖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한국문학사에서 1990년대 여성비평가들은 문단의 변방이 아닌 주류에서 본격적인 비평가로 활동하였다고 볼 수 있다.
김미현, 판도라의 상자 , 민음사, 2001.
김미현, 여성문학을 넘어서 , 민음사, 2002.
신수정, 푸줏간에 걸린 고기 , 문학동네. 2003.
심진경, 여성, 문학을 가로지르다 , 문학과지성사, 2005
최성실, 육체, 비평의 주사위 , 문학과지성사, 2003.
구번일, 「모성의 수용양상-신경숙과 공선옥의 소설을 중심으로」,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02.
김숙이, 「2000년대 새로운 ‘여성주의운동’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07.
김양선, 근대문학의 탈식민성과 젠더정치학 , 역락, 2009, 1∼315쪽.
김연숙, 그녀들의 이야기, 신여성 , 역락, 2011, 13∼14쪽.
김재민, 「문학에서 드러난 여성운동과 그 비평담론에 관한 연구」, 고려대석사학위논문, 2004.
김주연, 「현대 한국여성비평문학의 성장과 그 성격」, 아시아여성연구 44집 2호, 7∼35쪽.
서재원, 「나혜석문학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25집, 2005, 207∼225쪽.
서은아, 「신여성 나혜석의 근대적 자아정체성」, 연세대 석사학위논문, 2006.
이상경, 한국근대여성문학사론 , 소명출판사, 2002, 26쪽.
이상경, 임순득, 대안적 여성주체를 향하여 , 소명출판사, 2009, 120쪽.
이희원 외, 페미니즘- 차이와 사이 , 문학동네, 2011, 300∼322쪽.
정정희, 「1990년대 여성작가 소설에 대한 비평담론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2000.
황도경, 우리시대의 여성작가 , 문학과지성사, 1999, 169쪽.
뤼스 이리가라이, 하나이지 않은 성 , 동문선, 2000, 1∼294쪽.
산드라 길버트, 수잔 구바, 다락방의 미친 여자 , 박오복 옮김, 이후출판사, 2009, 1∼1076쪽.
수전 보르도, 참을 수 없는 몸의 무거움 , 박오복 옮김, 또하나의 문화, 2003, 1∼446쪽.
엘렌 식수, 카트린 클레만, 새로 태어난 여성 , 나남출판사, 2008, 1∼306 쪽.
케티 콘보이 외, 여성의 몸, 어떻게 읽을 것인가 , 한울출판사, 2001, 1∼ 338쪽.
Gill Plain& Susan Seller, A History of Feminist Literary Criticism, Cambridge U.P, 2007, pp.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