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신여성과 일본군 위안부라는 문지방들 - 목가적 자본주의의 폐허에서 식민지 섹슈얼리티 연구를 돌아보며

New Woman and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as Thresholds - Retrospecting Studies on Colonial Sexuality in the Ruins of Pastoral Capitalism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4, v.0 no.33, pp.7-40
이혜령 (성균관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1990년대와 현재의 시간성을 교직하며 1990년대 이후 이루어진 식민지 섹슈얼리티에 대한 연구를 되돌아보는 데 있다. 1990년대에 대한 노스탤지어는 <응답하라! 1997>, <응답하라! 1994>와 같은 TV드라마를 통해 유포되고 있는데, 그 드라마는 자본주의적 사회 환경을 개인의 성장과 조화로운 것으로 제시하였다. 이 글은 이러한 시간의식을 목가적 자본주의라고 명명했다. 개인의 성장은 대학입학을 위한 서울로의 상경, 낭만적 연애, 직업을 얻는 것, 첫사랑과의 연애를 통해 그려진다. 연애와 결혼, 출산을 포기하거나 유예한 삼포세대에 관한 담론, 일베 저장소와 같은 웹사이트에서의 여성혐오 담론을 고려한다면, 이와 같은 문화적 텍스트는 목가적 자본주의의 불가능성, 즉 그 폐허의 산물이다. 신여성 연구와 위안부 문제에 관한 연구는 1990년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는데, 이 시기는 여성주의가 대학의 교과과정으로, 또 문화적 텍스트로 발전되었던 때이기도 하다. 특히 신여성 연구는 사회주의권의 해체와 함께 80년대 급부상한 마르크스주의적 변혁패러다임이 폐기되면서 ‘근대성’ 연구의 붐에 있어 선편적인 역할을 했으며, 무엇보다 당대 민족주의의 억압성을 비판하는 담론에 조응하는 효과를 낳았다. 일본군 위안부 운동은 ‘매춘’과 ‘성폭력’을 이슈로 제기된 여성운동의 흐름 속에서 제기되긴 했지만, 식민주의 극복이라는 과제를 내세웠다는 점에서 신여성과는 다른 위상을 지니게 된다. 민족주의는 정대협에 의해 주도된 위안부 운동의 성격을 비판하는 용어가 되었는데, 이 글에서는 이러한 민족주의 비판이 위안부 피해자의 고백이나 증언이 애초부터 ‘상상의 공동체’를 향해 이루어졌음을 환기할 때 과도한 점이 있음을 지적했다. 특히 신여성이 당대에서부터 다설(多說)의 대상이 된 반면, 위안부는 오랫동안 침묵의 대상이 되어왔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이 지연에 개입된 문제는 민족주의만이 아니라 식민주의라고 할 수 있다. 식민지 지배는 종족적으로 이원화된 식민지 사회의 친밀성을 인종화된 언설과 정치를 통해 재구축하는 과정을 수반하였다. 이제 식민지 섹슈얼리티 연구는 이를 광범위하게 논증해야 할 단계에 이르렀다.

keywords
Sexuality, New Wome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Colonial Sexuality, Pastoral Capitalism, Neo-Liberalism, Ilbe Storage, The 1990s, Nationalism, Modernity, Racialization of Sexuality, Intimacy, 섹슈얼리티, 신여성, 일본군 위안부, 식민지 섹슈얼리티, 목가적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일베, 1990년대, 민족주의, 근대성, 섹슈얼리티의 인종화, 친밀성

Abstract

This paper's purpose is to retrospect studies on colonial sexuality after the 1990s, being concerned with temporality of the 1990s and the present. Nostalgia for the 1990s has been spread by TV drama <Answer! 1997>, <Answer! 1994> in which described that times when capitalist social environment was reconciliated with individual growth which was expressed through heroine and hero in the drama coming up to Seoul to enter university , romantic love, getting a job and marriage with first beloved. In this paper, I called the time consciousness of the 1990s as the pastoral capitalism, which proved impossible, considering the discourse on Sampo generation[삼포세대] who gives up romantic relationship, marriage and childbirth owing to economical condition. The misogynic discourse of Ilbe Storage[일베저장소], website of having anti-leftist, anti-feminist and right-wing tendency, reveals homo social and nationalistic feature. Studies on new women and comfort women in colonial period of Korea have begun in the 1990s. The rise of feminism was developed into curriculums of universities and popular cultures, which was prompted by democratization and liberalism of Korea around the late 1980s and the early 1990. In that same times, deconstruction of communist nations in the Western World forced the social landscape of post capitalism to be articulate in the cultural and intellectual texts with erasing pursuits for historical cause based marxism. The boom of studies on modernity of Korea in the early 20th century reached its peak in studies on new woman, in which new woman was described in heroine of modernity characterized by individualism and enjoyment of commercial culture of colonial capital Keijo [京城]. Many of scholars criticized on the negative discourse of new woman in the colonial period in reason of their behaviors not to meet nationalist cause. Of course, most of scholars were female intellectuals educated and teaching at universities. New woman became a representative representation of modernity and trans-nationality from the 1920s to the early 21th. On the other hands, comfort women became a nationalist representation, although a lot of feminists criticized that comfort woman movement leaded by Korean Council for Women Drafted for Military Sexual Slavery by Japan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have made the representation as pure girls in sexual. However, it needs to accent the fact that repetitive testimonies of comfort women tended to "imagined community" and that various contents of which didn't satisfy with nationalist representations and narratives could also be told by listening to request to tell the painful experiences as comfort women. The fact it needed a long temporal gap for them to able to tell the experiences suggests to ne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olonialism and sexuality. Study on colonial sexuality need to reconstruct intimacy in the colonial society into the racial discourses and practices.

keywords
Sexuality, New Women, Japanese Military Comfort Women, Colonial Sexuality, Pastoral Capitalism, Neo-Liberalism, Ilbe Storage, The 1990s, Nationalism, Modernity, Racialization of Sexuality, Intimacy, 섹슈얼리티, 신여성, 일본군 위안부, 식민지 섹슈얼리티, 목가적 자본주의, 신자유주의, 일베, 1990년대, 민족주의, 근대성, 섹슈얼리티의 인종화, 친밀성

참고문헌

1.

권명아, 역사적 파시즘 , 책세상, 2005, 157∼290쪽.

2.

김경일,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 푸른 역사, 2004, 7~8쪽, 54쪽

3.

김수진, 신여성, 근대의 과잉 , 소명출판, 2007, 401~449쪽.

4.

김양선,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장의 형성 , 소명출판, 2010, 16~18쪽.

5.

김항․이혜령, 인터뷰 : 한국 인문학의 지각변동 , 그린비, 2011, 136~137쪽.

6.

낸시 프레이저, 김원식 역, 지구화 시대의 정의 , 그린비, 2010, 176∼183쪽.

7.

데니스 올트먼, 이수영 역, 글로벌 섹스 , 이소출판사, 2003, 85∼110쪽.

8.

미셸 푸코, 이규현 역, 성의 역사I-지식의 의지 , 나남, 2004, 115∼125쪽.

9.

박유하, 제국의 위안부 , 뿌리와이파리, 2013, 17∼91쪽.

10.

베네딕트 엔더슨, 윤형숙 역, 상상의 공동체 , 나남, 2004, 19∼28쪽.

11.

시린 M. 라이, 이진옥 역, 젠더와 발전의 정치경제 : 페미니즘 관점에서 본 민족주의와 지구화 , 후마니타스, 2014, 52~53쪽

12.

우석훈․박권일, 88만원 세대 , 레디앙, 2007, 1∼328쪽.

13.

이상경, 인간으로 살고 싶다 , 한길사, 2000, 40쪽.

14.

이혜령, 한국 근대소설과 섹슈얼리티의 서사학 , 소명, 2007, 253∼270쪽.

15.

일레인 김․최정무 편저, 박은미 역 위험한 여성-젠더와 한국의 민족주의 삼인, 2001, 23~29쪽.

16.

정진성, 일본군성노예제 : 일본군위안부문제의 실상과 그 해결을 위한 운동 , 한울, 2000, 302~304쪽.

17.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20년사 편찬위원회 엮음, 한국정신대문제대책 협의회 20년사 , 한울, 2014, 21쪽.

18.

강정숙, 「일본군 ‘위안부’ 의 식민성 연구-조선인 ‘위안부’를 중심으로」, 성균관대 박사학위논문, 2010, 1∼309쪽.

19.

권명아, 「연대(solidarity)와 전유(appropriation)의 갈등적 역학」, 상허학보 19, 상허학회, 2007, 167∼203쪽.

20.

권은선, 「<청연>: ‘신여성’ 재현에서의 민족주의와 페미니즘의 경합」, 영상예술연구 11, 2007, 85∼104쪽.

21.

김은실, 「조선의 식민지 지식인 나혜석의 근대성을 질문한다」, 한국여성학 제24권 2호, 2008, 147∼186쪽.

22.

김정란, 「일본군 ‘위안부’운동의 전개와 문제인식에 대한 연구 : 정대협의 활동을 중심으로」, 이화여대 여성학과 박사학위논문, 2004, 1∼219쪽.

23.

김주리, 「여성주의 연구방법과 한국근대소설 속 새로운 자아의 탐색」, 현대문학연구 , 한국현대문학학회, 2008, 71∼98쪽.

24.

박이은실, 「급진적 섹슈얼리티 연구(sexuality study) 재/구축을 제안하며」, 여/성이론 25, 여성이론연구소, 2011, 65∼106쪽.

25.

박정애, 「일제의 공창제 시행과 사창 관리 연구」, 숙명여대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2009, 1∼217쪽.

26.

송연옥, 「일제 식민지화와 공창제 도입」, 서울대 국사학과 석사학위논문, 1998.

27.

송연옥, 「민족주의와 페미니즘의 불행한 결렬-1930년대의 한국 ‘신여성’」, 페미니즘 연구 1, 한국여성연구소, 2001, 53∼73쪽.

28.

양현아, 「증언과 역사쓰기—한국인 ‘군 위안부’의 주체성 재현」, 사회와 역사 60, 2001, 60∼96쪽.

29.

이영아, 「식민지 근대 여성문학 연구의 현황과 전망」, 여성문학연구 26,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41∼69쪽.

30.

이혜령, 「친일파인 자의 이름 : 탈식민화와 고유명의 정치」, 민족문화연구 54, 고려대 민족문화연구원, 2011, 1∼45쪽.

31.

이혜령, 「식민지 섹슈얼리티와 검열-‘도색(桃色)’과 ‘적색’, 두 가지 레드 문화의 식민지적 정체성」, 동방학지 164, 연세대 국학연구원, 2013, 229∼257쪽.

32.

전희진, 「식민지시기 문학의 장에서의 여성 작가들-2세대 여성 작가들의 작품과 삶의 경로를 중심으로」, 사회와 역사 93, 한국사회사학회, 2012, 5∼47쪽.

33.

조성호, 「최근 미혼 인구 특성과 동향 : 이성교제를 중심으로」, 월간 보건 복지포럼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4.7, 14∼23쪽.

34.

조주현, 「여성 정체성의 정치학」, 진보평론 7, 진보평론, 2001, 126∼148쪽.

35.

황종연, 「근대성을 둘러싼 모험」, 창작과 비평 93, 1996. 겨울호, 212∼230쪽.

36.

藤井たけし, 「ある 政治學槪論 の運命」, 紅野謙介․高榮蘭․鄭根埴․韓基亨․李惠鈴 編, 檢閱の帝國 , 新曜社, 2014.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