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the Forms, Methods and Meanings of a Wrong Deed Appearing in Three-Generation Stories of the Chosun Dynasty - Focusing on the Violation on the "Law Stipulating the Norms that Women have to Observ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4, v.0 no.33, pp.41-80
Choi, Sue-hyun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paper is to find out the forms, methods and meanings of the violation on the "law stipulating the norms that women have to observe" in Three-Generation Stories of the Chosun Dynasty. The "law stipulating the norms that women have to observe" was constituted in the Chosun dynasty in a bid to reinforce women's chastity in a more effective manner by defining the boundary of the distance and space that women can keep from strange men and can move. Not a few women who violate the law, above stated, are found in Three-Generation Stories of the Chosun Dynasty, which was steadfastly popular during late the Chosun dynasty. However, this novel takes measures to demonstrate the chastity of women violating the law, by dropping the blood of a patriot around the arms of those women or providing the evidence that there is a fellow who can verify their innocence. These developments show that women violating the law are not punished for their wrong deed but are admitted of their innocence and acknowledged as the family members. Besides, this novel does not solely focus on the essential ethical norms women have to follow but describes various motives in which women violating the law cannot but violate-only those motives which prevent those women from being treated as criminals. In addition to this, this novel suggests through the delicate depiction of the mental stress that women violating the law feel that it entirely depends on the decision by their husbands' families whether those women are acknowledged again as the members of the married families. That the violation on the "law stipulating the norms that women have to observe" is selected as the theme in Three-Generation Stories of the Chosun Dynasty reveals that women violating the law suffered from very serious pains in the Confucian patriarch society and that violating the law was viewed as a wrong deed which was separated from the loss of chastity.

keywords
Three-Generation Stories, The "Law Stipulating the Norms that Women have to Observe", Violation, Sexuality, Chastity, Wrong Deed, the Loss of Chastity, 삼대록계 국문장편소설, 내외법, 규범 위반, 섹슈얼리티, 정절, 실행(失行), 실절(失節)

Reference

1.

<성현공숙렬기> 규장각 소장본 25권 25책.

2.

<소현성록> 이화여대 소장본 15권 15책(<소씨삼대록> 합본).

3.

<유씨삼대록> 국립중앙도서관 소장본 20권 20책.

4.

<유효공선행록> 규장각 소장본 12권 12책.

5.

<임씨삼대록> 장서각 소장본 40권 40책.

6.

<조씨삼대록> 서강대 소장본 40권 40책.

7.

<현몽쌍룡기> 장서각 소장본 18권 18책.

8.

禮記

9.

내훈 , 소혜황후 지음, 이경하 주해, 한길사, 2011, 1~432쪽.

10.

여사서 , 이숙인 역, 여이연, 2003, 1~386쪽.

11.

구운몽 , 장효현, 신구문화사, 2008, 1~424쪽.

12.

심재우, 조선후기 국가권력과 범죄 통제-<심리록>연구 , 태학사, 2009, 1~346쪽.

13.

엄태웅, 「활자본 고전소설의 근대적 간행 양상-신구서림의 간행 양상을 중심으로」, 고려대 석사학위논문, 2006, 1~114쪽.

14.

이숙인, 정절의 역사 , 푸른역사, 2014, 1~424쪽.

15.

이순구, 「조선초기 내외법의 성립과 전개」, 청계사학 5, 한국학중앙연구원, 1988, 113~132쪽.

16.

이윤경, 「여성영웅소설에 나타난 남장의 특징과 의미」, 돈암어문학 제13집, 돈암어문학회, 2000, 263~292쪽.

17.

임치균, 「‘아내의 정숙함’을 의심하는 남편에 대한 문학치료적 접근방식 고찰」, 문학치료연구 22권, 한국문학치료학회, 2012, 107~130쪽.

18.

장병인, 「조선 중ㆍ후기 간통에 대한 규제의 강화」, 한국사연구 121호, 한국사연구회, 2003, 83~116쪽.

19.

장시광, 「<소현성록> 연작의 여성수난담과 그 의미」, 우리어문연구 28집, 우리어문연구학회, 2009, 131~165쪽.

20.

장시광, 「<쌍천기봉> 여성수난담의 특징과 그 의미」, 한국고전여성문학연구 21, 한국고전여성문학회, 2010, 187~232쪽.

21.

장시광, 「<유효공선행록>에 형상화된 여성수난담의 성격」, 배달말 45, 배달말학회, 2009, 217~255쪽

22.

장시광, 「<유씨삼대록> 여성수난담의 성격과 서술자의식」, 어문론총 51, 한국문학언어학회, 2009, 223~269쪽.

23.

장시광, 「<현몽쌍룡기> 연작에 형상화된 여성수난담의 성격」, 국어국문학 152, 국어국문학회, 2009, 365~410쪽.

24.

정병설, 「정도와 권도 , 고전소설의 윤리 논쟁적 성격과 서사적 의미」, 관악어문연구 20, 서울대 국어국문학과, 1995, 355~390쪽.

25.

정지영, 「조선시대 부녀의 노출과 외출 : 규제와 틈새」, 여성과 역사 2집, 한국여성사학회, 2005, 149~181쪽.

26.

정해은, 조성의 여성, 역사가 다시 말하다 , 너머북스, 2011, 1~280쪽.

27.

정혜경, 「조선 후기 장편소설의 감정의 미학-<창선감의록>, <소현성록>, <유효공선행록>, <현씨양웅쌍린기>를 중심으로-」, 고려대 박사 학위논문, 2012, 1~221쪽.

28.

조혜란, 「고소설에 나타난 남성 섹슈얼리티의 재현 양상」, 고소설연구 제20집, 한국고소설학회, 2005, 381~411쪽.

29.

조희웅, 고전소설 이본목록 , 집문당, 1999, 1~907쪽.

30.

최기숙, 「17세기 고소설에 나타난 여성 인물의 유랑과 축출, 그리고 귀환의 서사」, 고전문학연구 38집, 한국고전문학회, 2010, 37~74쪽.

31.

최길용, 「고소설에 나타나는 앵혈화소의 서사 실상과 의미」, 고소설연구 제29집, 한국고소설학회, 2010, 41~84쪽.

32.

최수현, 「<임씨삼대록> 여성인물 연구」,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010, 1~189쪽.

33.

최어진, 「고전장편소설의 복장전환 화소 연구」, 서울대 석사학위논문, 2013, 1~86쪽.

34.

한길연, 「<유씨삼대록>의 설초벽 연구」, 국문학연구 19, 국문학회, 2009, 171~196쪽.

35.

한길연, 「여성교육과 부부갈등의 관련양상 연구-「유씨삼대록」을 중심으로」, 인문논총 66, 서울대 인문학연구원, 2011, 321~355쪽.

36.

허순우, 「<현몽쌍룡기> 연작 연구」, 이화여대 박사학위논문, 2009, 1~200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