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근대 초기의 대표적 여성문학작가로서 김일엽은 한국 근대문학의 근대성과 여성성의 문제를 성욕의 측면에서 제기했다. 초기 그의 ‘여성해방론’은 계몽주의적 합리성을 바탕으로 출발한다. 남성중심사회가 가져온 현 사회의 폐단을 극복할 대안으로 여성적 비전을 제시하고, 여성문제 해결의 방법을 사회적 측면에서 찾고자 시도하는 것이다. 이러한 ‘여성해방운동’은 사회운동으로서의 성격을 보여주지만, 곧 성해방으로서의 여성해방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즉 ‘정조’로 각인되는 여성육체의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가 중심에 놓이게 되는 것이다. 그의 ‘신정조론’은 육체성으로서의 여성성욕을 심리적 기제로 환원함으로써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즉 남성타자에게 여성존재의 근원적 의미를 부여하고자 하는 ‘낭만적 사랑’의 추구가 그것이다. 이러한 방식은 결국 여성성욕의 문제와 근대적 여성주체의 문제가 결부되는 양상을 왜곡하게 된다. 이후 그는 이러한 모순을 불교의 교리를 통하여 해결하고자 시도하나, 이러한 노력도 개인적 구도로 그칠 뿐 실천을 통해 완성되지는 못한다. 오히려 초기의 그의 여성해방론이 보여주었던 실천적 모습이 개인적 차원으로 한정되고 마는 결과로 나타난다.
Kim, Il-Yeob is the representative writer of early-modern literature in Korea. She instituted the problem of modernity and feminity in modern Korean literature as a dimension of the sexuality. At first, her 'Women's Liberation Movement' was based on the rationality of Enlightenment. She prescribed the vice of society at that time as the problem of patriarchy, and presented the feminist vision as substitute. She tried to pursue the way to solve women's problem in social dimension. In early days, her 'Women's Liberation Movement' showed the side face of social movement. But immediately, it confronted with a problem of woman's body as sexual liberation. It means that the chastity is important. By her 'Argument about new chastity', she tried to solve the problem of women's sexuality as its returning to the psychological dimension. It is 'the Pursuit for the romantic love' which intends to posit the basis of the women's being upon man as the Other. That intention ultimately came to distort the relations between woman's sexuality and the modem subjectivity. After this, she tried to settle this conflict by means of the doctrine of Buddhism. But this efforts could not show a practical phase and came to personal salvation as a result. She failed to show the practice in the Women's Liberation because of her addiction to romantic lov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