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여성들의 정치 혁명과 페미니스트 팸플릿으로서 글쓰기: 박완서의 1980년대 여성해방소설을 중심으로

Women’s Political Revolution and Feminist Pamphlets as Writing: Pak Wan-sŏ’s 1980s Women’s Liberation Novel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8, v.0 no.45, pp.7-36
https://doi.org/10.15686/fkl.2018..45.7
김은하 (경희대학교)

Abstract

1980년대의 박완서는 자본주의의 예리한 비판자로서 문단과 독자로부터 사랑을 받은 1970년대의 박완서와 달리 사회와 갈등 중인 고독한 작가이다. 1980년대 한국 사회를 무겁게 짓누른 것은 ‘살아남은 자의 슬픔’이었다. “이 이야기(『살아있는 날의 시작』를 가리킴-필자)를 신문에 연재하는 동안 내가 접할 수 있는 독자의 반응이란 목청 높은 비난 아니면 냉랭한 무관심이었다. 고독한 작업이었다. 고독에 못이겨 주제를 흐지부지하거나 적당히 가당(加糖)하지 않고 내가 담고 싶은 메시지에 끝까지 충실했음을 내 나름의 성과라고 생각하고 자위하고 있다.”라는 작가의 고백은 재현 가능성을 초과하는 고통의 시대에 ‘여성’을 주제로 한 이야기를 쓰는 일이 쉽지 않았음을 암시한다. 그러나 “여성 문제는 그 부당함과 억울함을 고발하고 증거하지 않으면 안 될 문젯거리이고, 자신이 여성이라는 사실은 이 문제를 보다 심각한 것으로 받아들이게 했”다는 작가의 고백은 급진적인 이념보다 페미니즘의 발화 지평이 더 좁은 1980년대 공론장에서 여성 작가는 ‘몫 없는 자’로서 여성의 목소리를 기입할 수밖에 없음을 역설한다. 1980년대 진보/보수의 진영론적 이분법이 형성한 ‘담론적 가부장제’는 여성들이 마주한 또 다른 현실이었던 것이다. 박완서의 여성해방소설이 여성문학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 여성들의 글쓰기가 종래의 규범과 인습에 대한 순응이나 현실도피적인 즐거움이기 그치고 남녀 평등의 이상을 가진 여성 주체를 형성하기 위한 토대로써 발견되었기 때문이다. ‘투석’이나 “존대한 남성의 기득권에 방울 달기”로서 여성의 글쓰기에 대한 박완서의 발화는 1970년대 중후반부터 부상해 1980년대에 고조된 여성의 권리 투쟁들에 상응하는 페미니즘 프로파간다로써 글쓰기의 정치성에 대한 고민을 보여 준다. 박완서는 사회적 상상과 관념에 의해 부풀려지고 왜곡된 환상이 아니라 살아있는 실체로서의 여성과 여성을 포박하고 있는 현실을 실감나게 그림으로써 여성들의 자유를 향한 갈망을 촉진시켰다. 그것은 자신을 둘러싼 세계에 대한 의문을 깊이 들여다 보게 함으로써 여성들의 독서를 여성적 순응이나 도피가 아니라 불화와 계몽의 양식으로 전환시키는 한편으로, 여성 독자가 자신의 현실과 닮은 이야기를 가지고 다른 사람들과 토론할 수 있는 기회를 선사했다. 박완서의 1980년대 여성해방소설은 문학 장을 지배하는 문학중심주의, 남성중심주의, 엘리티즘으로는 그 의미를 온전히 포착할 수 없는 페미니스트 문화 실천의 한 사례였다.

keywords
박완서, 1980년대 여성 해방 소설, 진보적 공론장, 세계 여성의 해 선포, 페미니즘 팸플릿, 여성 독자 등, Pak Wan-sŏ, 1980s women’s liberation novels, progressive public sphere, declaring the worldwide year of women, feminist pamphlets, feminist pamphlet

참고문헌

1.

박완서, 『살아있는 날의 시작』, 전예원, 1980.

2.

박완서, 『서 있는 여자』, 학원사, 1985.

3.

박완서,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 삼진기획, 1989.

4.

박완서, 『박완서의 말: 소박한 개인주의자의 인터뷰』, 마음산책, 2018.

5.

박완서, 『서 있는 여자의 갈등』, 나남, 1986.

6.

권김현영, 「페미니즘 없이 민주주의 없다」, 『지금 여기의 페미니즘 × 민주주의』, 교유서가, 2018, 137-176쪽.

7.

여성사 연구 모임 길밖세상, 『20세기 여성 사건사』, 여성신문사, 2001, 234-237쪽.

8.

전경옥 외, 『한국 근현대 여성사: 정치‧사회 2 1945-1980』, 모티브북, 2011, 183쪽.

9.

우에노 지즈코, 박미옥 역, 『여성은 어떻게 살아남을까』, 챕터하우스, 2018, 360쪽.

10.

한나 아렌트, 김선욱 역,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한길사, 2006, 106쪽.

11.

김경연, 전승희, 김영혜, 정영훈, 「여성해방의 시각에서 본 박완서의 작품 세계」, 『여성』 (2), 창작사, 1988, 235-236쪽.

12.

김은실, 「여성에게 국가란 무엇인가: 여성의 몸에 대한 권리를 중심으로」, 『황해문화』 51, 새얼문화재단, 2006, 52쪽.

13.

김은하, 「아파트 공화국과 시기심의 민주주의 : 박완서의 개발독재기 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39, 한국여성문학학회, 2016, 39-66쪽.

14.

김종엽, 「분단체제와 87년체제」, 『창작과비평』 130, 창작과비평사, 2005, 12-33쪽.

15.

이명호, 김희숙, 김양선, 「여성해방문학론에서 본 80년대 문학」, 『창작과 비평』 67(1), 창작과비평사, 1990, 48-74쪽.

16.

이선미, 「'여성'의 사회적 해석과 1976년의 박완서 소설: 『휘청거리는 오후』의 대중성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51, 한국문학연구학회, 2013, 571-611쪽.

17.

이영자, 「시민 사회와 성의 정치학」, 『현상과인식』 24(1·2), 2000, 41-62쪽.

18.

이한나, 「1980년대 가족법 개정 투쟁과 박완서의 소설 – 박완서, 『그대 아직도 꿈꾸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논총』 38(4),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13-41쪽.

19.

이행선·양아람, 「루이제 린저의 수용과 한국사회의 ‘생의 한가운데’: 신여성, 인생론, 세계여성의 해(1975), 북한바로알기운동(1988)」, 『민족문화연구』 73,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6, 267-303쪽.

20.

최원식, 임영일, 전승희, 김명인, 「좌담: 민족문학과 민중문학」, 『창작과비평』 59, 창작과비평사, 1988, 6-56쪽.

21.

고정희, 김숙희, 박완서, 엄인희, 조옥라, 조혜정, 정찬경, 「좌담」, 『또 하나의 문화: 여성해방의 문학』 (3), 평민사, 1987, 14-29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