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논문은 하종오 시에 나타난 탈북자의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하종오는 탈북자를 전 지구적 자본주의, 아시아 경제 구도 안의 노동자로 인식한다. 또 배제와 차별로 탈북자를 대하는 자본주의 한국 사회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포착한다. 탈북자 중에서도 사회적, 성적 약자인 탈북여성에 더해진 고통과 트라우마에 대해 하종오는 공감과 연민의 시선을 보낸다. 외국인 노동자나 탈북자와 같은 소외된 이에 집중하는 이러한 하종오 시의 행보는 매우 소중하고 의미있다. 그러나 분단, 농민, 노동, 자본 등 한국사회의 현안에 예민하고 꾸준하게 대응해온 하종오의 시는 분단생태계 안에서 탈북자를 바라보는 한계를 보여준다. 분단생태계란 남과 북의 경제적 차이에서 시작된 위계적 인식이 남북 주민에게 적용되어 편견과 고정관념을 형성하고 강화되어 가는 갇힌 시스템이다. 하종오의 시에서 분단생태계는 탈북자와 탈북여성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탈북자는 굶주림이 일상인 나라에서 온 가난한 노동자, 노동시장의 위계에서 맨 아래에 위치한 하층 노동자, 가족도 없고 물려줄 유산도 없는 ‘다른 신분’의 사람으로 형상화되고 탈북여성은 주로 성적으로 침해받고 고통당한 사람들, 그 트라우마를 극복하지 못하고 살아가는 피해자의 모습으로 드러난다. 우리 사회에 분단생태계가 엄존하기에 그 현실을 충실히 반영하는 하종오의 시에서 이것을 확인하는 것은 당연할 수 있으나 문제는 깊이있는 성찰이나 비판적 감각없이 피상적으로 시화(詩化)된 탈북자 형상이 분단생태계를 강화할 수 있다는 점이다. 특히, 침해당한 여성성으로만 상상되는 탈북여성은 분단생태계 안에서도 젠더생태계라는 한 겹 더해진 프레임 안에 갇혀 있었다. 하종오의 시에서 탈북자, 탈북여성들은 동질적인 집단으로 획일화되고 고정된 이미지로 형상화되는 한계를 보이는데 이는 우리 사회의 편견과 편협한 인식에 대한 시인의 비판적 성찰과 고민의 부재에서 기인한 것이라 할 수 있다.
This study examined how the poet Jong-oh Ha describes North Korean defectors in his work. In the era of global capitalism and of the cut-throat Asian economic structure, Ha paints the image of North Korean defectors as Koreans who cannot live as such. He depicts North Korean defectors as laborers who have an even worse reputation than foreign workers, and as women with a shameful past. In his poetry, they are treated poorly in the Asian labor market, but even after coming to South Korea, they remain unable to achieve great social or economic improvement in their lives. Ha also claims that Koreans tend to avoid hiring North Koreans even more than they do Korean-Chinese, and display prejudice against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mplying that they might be damaged, both physically and mentally, from forced marriage and human trafficking. As a result, in Ha’s poetry, North Korean defectors are not fully recognized as Koreans, whether in the labor market or in everyday life. The image of them as a homogenous group separate from other Koreans is repeatedly employed in his work. This kind of perspective fundamentally arises from the stereotypes and closed-mindedness prevalent in Korean society. North Korean defectors are people with whom communication is vital both for furthering the goal of the unification of the two Koreas, and for enabling reconciliation afterwards. Therefore, for Korean society and literature to maintain such prejudice against North Korean defectors seems problematic. Before engaging in thorough discussion about Korean unification, the general Korean view of them and the role of literature in reflecting and disseminating such a view should be reconsidered.
하종오, 입국자들 , 산지니, 2009, 14∼15쪽, 24∼25쪽, 34∼35쪽.
하종오, 남북상징어사전 , 실천문학사, 2011, 16∼17쪽.
하종오, 신북한학 , 책만드는집, 2012, 22∼23쪽, 84∼85쪽, 110∼111쪽.
하종오, 남북주민보고서 , 도서출판 b, 2013, 30∼31쪽, 76∼77쪽, 116∼117쪽.
하종오, 세계의 시간 , 도서출판 b, 2013, 5∼6쪽, 30∼31쪽, 106∼107쪽.
건국대 통일인문학연구단, 탈북민의 적응과 치유 이야기 , 경진출판, 2015, 339∼373쪽.
국가인권위원회, 북한이탈주민 인권피해 트라우마 실태 조사 , 국가인권위원회, 2017, 30쪽.
박덕규, 이성희 외, 탈북 디아스포라 , 푸른사상, 2012, 41∼130쪽.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2 북한이탈주민 실태조사 , 북한이탈주민지원재단, 2012, 83∼84쪽.
강정구, 「탈북이주민문화의 시적 수용-탈북이주민 시의 개념과 특질을 중심으로」, 외국문학 연구 35호,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09.8, 9∼28쪽.
고명철, 「제국(諸國)의 공존, 제국(帝國)의 부재」, 제국-諸國 또는 帝國 해설, 문학동네, 2011, 132∼146쪽.
고명철, 「하종오식 리얼리즘의 득의(得意) - 탈분단과 지구적 시계(視界)」, 신북한학 해설, 책만드는집, 2012, 124∼142쪽.
고인환, 「탈북자 문제 형상화의 새로운 양상 연구」, 한국문학논총 52집, 한국문학회, 2009, 215∼245쪽.
권금상, 「남북한 미디어의 탈북인/탈북탈남인 서사 – 미디어가 구성하는분단의 현재성과 윤리」, 통일인문학 73호,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8.3, 73∼112쪽.
권세영, 「탈북작가의 장편 소설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12, 1∼192쪽.
김동명, 「하종오 시에 나타난 세계시민주의적 생태주의의 복잡성 연구」, 한국문학논총 68집, 한국문학회, 2014.12, 1∼40쪽.
김소륜, 「탈북여성을 향 한 세겹의 시선」, 여성문학연구 41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7, 109∼143쪽.
김재영, 「탈북자의 상처와 치유」,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55호, Studies i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2017, 79∼95쪽.
노지영, 「탈분단 연작시집 3부작, ‘너나들이’의 이야기시」, 남북주민보고서 해설, 도서출판b, 2013, 125∼149쪽.
류찬열, 「다문화시대와 현대시의 새로운 가능성」, 국제어문 44집, 국제어문학회, 2008.12.30., 281∼301쪽.
류찬열, 하종오 시에 나타난 다문화연구」, 다문화콘텐츠연구 11집,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1.10, 265∼286쪽.
류찬열, 「분단과 탈북자를 바라보는 두 가지 시선」, 다문화콘텐츠연구 18집,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5.4, 47∼67쪽.
박덕규, 「탈북문학의 형성과 전개 양상」, 한국문예창작 14권 3호, 한국문예창작학회, 2015.12, 89∼113쪽.
박민철, 「한반도 분단극복과 생태주의의 결합: ‘통일-생태철학’ 정립을 위한하나의 시론」, 서강인문논총 48집,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187∼219쪽.
박소연, 「북한이탈여성의 생애사 재구성」,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11집 2호,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7, 5∼30쪽.
박윤우,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다문화사회의 가치인식 방법 연구」, 구보학보 18집, 구보학회, 2018.6, 519∼550쪽.
박지해, 「하종오의 시 세계에 나타난 다문화성과 그 인식의 한계」, 철학과 문화 23집, 철학문화연구소, 2011.12, 33∼53쪽.
배개화, 「한 탈북 여성의 국경 넘기와 초국가적 주체의 가능성」, 춘원연구학보 11호, 춘원연구학회, 2017.12, 209∼236쪽.
백지윤, 「한국현대시의 다문화 수용 양상 –2000년대 이후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국제한국어문학과 석사학위논문, 2014.2, 1∼83쪽.
성정현, 「탈북여성들의 남한사회에서의 차별 경험과 트라우마 경험의 재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집 5호, 한국콘텐츠학회, 2014, 117∼131쪽.
이덕화, 「탈북여성 이주 소설에 나타난 혼종적 정체성」, 현대소설연구 52집, 현대소설학회, 2013, 409∼431쪽.
이상숙, 「탈북시에 나타난 시쓰기의 역할과 의미」, 아시아문화연구 46집, 아시아문화연구소, 2018.4, 191∼218쪽.
이상숙, 「탈북여성시 연구의 의미와 한계-상처받은 여성(女性)과 형상화되지 못하는 트라우마」, 현대북한연구 21권 2호, 2018. 8, 128∼163쪽.
이상숙, 「탈분단 시대, 미리 온 통일」, 계간 서정시학 28집 3호, 2018. 9, 149∼158쪽.
이성희, 「탈북자의 고통과 그 치유적 가능성 – 탈북작가가 쓴 소설을 중심으로」, 인문사회과학연구 16권 4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5.11, 261∼288쪽.
이지은, 「‘교환’되는 여성의 몸과 불가능한 정착기」, 구보학보 16호, 구보학회, 2017, 517∼542쪽.
장성규, 「전지구적 자본주의 시대 탈분단시의 가능성」, 남북상징어사전 해설, 실천문학사, 2011, 145∼165쪽.
장영은·박지훈, 「북한과 탈북자를 재현하는 텔레비전에 대한 수용자의 시선: <이제 만나러 갑니다>에 대한 수용자 해독을 중심으로」, 한국소통학보 27호, 한국소통학회, 2015, 225∼254쪽.
전영선, 「통일문제의 생태주의적 인식과 문화번역의 가능성」, 통일인문학 70집,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7, 71∼97쪽.
정진아, 「‘탈북자’ 문제에 대한 한국사회의 시선: <남북청년통일실험-어서오시라요>에 대한 악성댓글 사건」, 민족문화연구 76호,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8, 281∼311쪽.
차성연, 「지구 공통의 시간, ‘탈분단’을 상상하는 ‘차이’의 시간」, 세계의 시간 해설, 도서출판 b, 2013, 115∼133쪽.
최윤형·김수연, 「대한민국은 우릴 받아줬지만, 한국인들은 탈북자를 받아준적이 없어요 댓글에 나타난 남한 사람들의 탈북자에 대한 인식과공감PR의 과제」, 한국광고홍보학보 15집 3호, 한국광고홍보학회, 2012, 187∼219쪽.
황정미, 「사회적 위협 인식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사회적 거리」, 아태연구 23호 2집, 경희대학교 국제지역연구원, 2016, 311∼346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