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A Study on Ji Ha-Lyun – Focused on ‘Women’s Liberationism’ and ‘Solitude’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6, pp.291-311
https://doi.org/10.15686/fkl.2019..46.291
HUH YESEL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keywords

Reference

1.

동아일보

2.

민성

3.

삼천리

4.

조광

5.

중외일보

6.

학병

7.

김경일·신영숙·정현주 지음, 한국 근대 여성 63인의 초상 ,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5, 401∼412쪽.

8.

김인덕 편, 식민지시대 민족운동사 자료집2 , 국학자료원, 1997, 166-168쪽.

9.

김 철, 식민지를 안고서 , 도서출판 역락, 2009, 185쪽.

10.

백상현, 고독의 매뉴얼-라깡, 바디우, 일상의 윤리학 , SFP-위고, 2015, 114쪽.

11.

서정자, 지하련 전집 , 푸른역사, 2004, 363쪽.

12.

정영진, 통한의 실종문인 , 문이당, 1989, 107∼146쪽.

13.

레온 에델, 김윤식 역, 작가론의 방법-문학전기란 무엇인가 , 삼영사(三英社), 1983, 185쪽.

14.

권성우, 「임화의 산문에 나타난 연애, 결혼, 고독」, 한민족문화연구 42권, 한민족문화학회, 2013, 287∼318쪽.

15.

류진희, 「해방기 탈식민 주체의 젠더 전략 : 여성서사의 창출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1∼276쪽.

16.

문경란, 「미군정기 한국여성 운동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9, 1∼152쪽.

17.

박혜숙, 「여성 자기서사체의 인식」, 여성문학연구 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2, 7∼30쪽.

18.

서승희, 「식민지 여성 작가의 글쓰기와 여성성의 표상 : 임순득과 지하련의 소설을 중심으로」, 한국문학논총 제72집, 한국문학회, 2016, 261∼287쪽.

19.

서정자, 「일제 강점기의 한국여류소설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87, 1∼212쪽.

20.

윤정란, 「식민지시대 제사공장 여공들의 근대적인 자아의식 성장과 노동쟁의의 변화과정 -1920년대∼1930년대 전반기를 중심으로」, 담론201(Discourse201) 『제9권 제2호, 한국사회역사학회, 2006, 37∼76쪽.

21.

이양숙, 「해방기 문학비평에 나타난 ‘기억’의 정치학-1945년∼1948년 <문학가동맹>을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학술발표회자료집 , 한국현대문학회, 2009, 281∼307쪽.

22.

이은경, 「모성·참정권·전쟁 그리고 국가-근대 일본 여성운동의 통시적 고찰」, 비교문화연구 제43집, 경희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16.6, 79∼113쪽.

23.

이장렬, 「지하련의 가계와 마산 산호리」, 지역문화연구 제5호, 경남부산지역문학회, 1999, 111∼130쪽.

24.

임정연, 「시대의 공동(空同), 역사의 도정(道程)을 걸어-지하련의 삶과 문학의궤적-」, 이화어문논집 제41집, 이화어문학회, 2017, 198∼205쪽.

25.

장윤영, 「지하련 소설 연구」, 상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7, 1∼94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