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전쟁과 여성의 증언, 침묵, 균열, 다시쓰기- 박화성 『눈보라의 운하』, 『휴화산』

War and Women's Testimony, Silence, Rupture, and Rewriting: An analysis of Pak Hwasŏng's Nunbora ŭi unha and Hyuhwasan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6, pp.67-91
https://doi.org/10.15686/fkl.2019..46.67
이선옥 (숙명여자대학교)

초록

박화성 작품 중에서 전쟁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작품에서 다루어지고 있으며, 국가주의적 계몽성을 드러내는 경우도 많다. 그러나 언제나 균열적으로 침묵했던 전쟁의 이야기를 작가의 말년 작품에서 다시 끄집어낸다는 점이 주목된다.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작품들도 1977년 작품집 『휴화산』(창작과 비평사)에 실렸던 단편들과 그 이후의 작품들, 자전적소설 『눈보라의 운하』(『여원』 연재, 1963)로 전쟁 이야기를 다시 쓰고 있는 자전적 작품들이다. 칠순이 넘은 노년의 작가가 다시 전쟁의 기억을 끄집어내고 말년의 작품에서도 전쟁에 대한 이야기는 다시쓰기가 시도되고 있다. 최정희, 박완서의 전쟁 체험 다시쓰기와도 비교되는 이러한 증언과 기억의 서사가 박화성의 경우는 늘 침묵과 멈춤으로 기억의 한 부분으로 되돌아오는 특징을 보인다. 박완서의 작품이 오빠의 죽음에 대한 다시쓰기를 통해 조금씩 진실에 가까워지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면, 박화성의 경우는 늘 그 자리에 다시 멈추어 선다. 『눈보라의 운하』에서는 좌익에 관련된 듯한 아들이 어느 날 동료들과 나가서 다시 돌아오지 않았다는 이야기를 짧은 기술로 침묵시키고 있다. 말년의 작품인 「미로」에서는 서울에 두고 피난길을 떠났던 딸의 이야기를, 「마지막 편지」에는 행방불명된 아들의 이야기를 다시 쓰고 있다. 특히 「마지막 편지」는 작가의 생애에서도 거의 마지막을 정리하는 작품으로 보인다. 이 소설은 34년 동안 입에 담지 못 했던 아들의 이름을 부르는 초혼가와도 같은 작품이다. 그러나 그 역시도 완장 찬 사나이들과 함께 나간 아들의 이야기는 모호하게 끝나고 만다. 세대의 차이나 정치적 상황의 차이 때문이기도 하겠지만 직접 사상검증의 대상으로 살아왔던 작가이기에 자신에 대한 이념적 알리바이나 자식의 죽음에 대한 알리바이를 서사화하기는 더욱 쉽지 않았을 것이다. 자신의 전쟁체험에 대한 윤리적 판단의 불가능함을 반영하는 특징이 감정에 대한 서사적 침묵으로 드러나는 점도 눈에 띄는 부분이다. 여성들의 자전적 소설들은 고립된 여성의 경험에 대한 소통의 글쓰기를 지향하는 경향이 있어서 무엇인가 자신의 경험을 말하고 다른 여성들과 공감하고자 하는 노력의 일환으로 선택되는 경우가 많다. 소설과 수필의 경계를 허물고 소설인지 수필인지 혼성장르적 특징을 보이는 이유도 이러한 서사적 추동 자체가 남성작가와는 다른 경향성 때문이었다. 전쟁 경험에 대한 증언도 파편화된 주체를 사회적 보편적 자아로 통합하는 남성지식인의 서사적 증언과는 다른 특징이 있다. 그 때문에 여성작가들의 전쟁 증언은 원체험의 장면으로 되돌아가 다시쓰기를 시도하는 경향이 두드러진다. 원초적 사건은 단지 그것 자체로 의미를 지니는 것(역사적 진리)이 아니라 사후적으로 이야기됨으로써 그 의미가 재해석되고 통합(서사적 진리)된다는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도 여성 경험의 다시쓰기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Pak Hwasŏng, Autobiographical writing, rewriting of war memories Nunbora ŭi unha, Hyuhwasan, 박화성, 자전적글쓰기, 전쟁 체험 다시쓰기, 눈보라의 운하, 휴화산

Abstract

Multiple of South Korean female author Pak Hwasŏng's works deal with the subject of war and national enlightenment. In particular, hitherto silenced and fragmented stories of war appear in works produced during the latter part of her life. This essay will discuss the later works of Pak Hwasŏng which constitute a rewriting of war memories. Most notably, I evaluate the short stories contained in the collection Hyuhwasan and her later autobiographical works, such as Nunbora ŭi unha. Indeed, in Pak Hwasŏng's later works she once again summons recollections of war in an attempt to fashion a new narrative of wartime memories. The testimony and memories laid bare in Pak Hwasŏng's works differ from the war writing of authors Ch'oe Chŏnghŭi and Pak Wansŏ. In Pak Hwasŏng's writings, the narrative returns to a single aspect of a memory through silence and a suspension of time. Pak Wansŏ's works, however, reveal a process of working closer towards truth through a rewriting of the death of the author's brother. Pak Hwasŏng's works are arrested in a single moment in time. The novel Nunbora ŭi unha relates the story of her leftist son who one day goes out with his comrades and doesn’t return. The narration is concise and restrained and is surprisingly devoid of emotion. In contrast, the short stories “Miro” and “Majimak p'yŏnji” deal more concretely with stories of war. “Miro” relates the story of her daughter who has left Seoul as a refugee. “Majimak p'yŏnji” rewrites the story of her missing son. This story “Majimak p'yŏnji” summarizes the last years of the author’s life. The work begins with the words, “Son! My son! Chaeyŏng! My Chaeyŏng!” The story begins with a song memorializing her son, a name she could not speak for 34 years. Yet, the story of her son and the other armband clad young men he left with is dealt with ambiguously. It could likely be an effect of generational differences and the political situation, but for an author who had lived under constant state scrutiny concerning her political convictions, the explaining away of her political beliefs or the death of her son through narrative would not have been easy. Autobiographical novels by women often act as works communicating the commonality of the isolated experiences of women and are often considered as attempts to speak of one's own experiences in an effort to empathize with other women. These works are particular in that they destabilize the boundary between novel and essay, setting them apart from the works of male writers. The testimonies of war also differ from the narrative testimonies of male writers which integrate the fragmented subject into a socially universal self. Following from this, the war testimonies of female writers return to primal memories as an attempt to rewrite historical memory. The rewriting of female experiences also needs to be evaluated from the perspective of psychoanalysis to determine how these narratives reinterpret events not as historical truths in themselves, but as reconstructions of the past through narrative which serve to reevaluate and consolidate their meanings.

keywords
Pak Hwasŏng, Autobiographical writing, rewriting of war memories Nunbora ŭi unha, Hyuhwasan, 박화성, 자전적글쓰기, 전쟁 체험 다시쓰기, 눈보라의 운하, 휴화산

참고문헌

1.

박화성, 서정자편, 박화성전집14 , 푸른사상, 2004, 1〜432쪽.

2.

박화성, 휴화산 , 창작과비평사, 1977, 1〜301쪽.

3.

마사 너스바움, 조계원 역, 혐오와 수치심 , 민음사, 2015, 21∼27쪽.

4.

마사 너스바움, 조형준 역, 감정의 격동1-인정과 욕망 , 새물결, 2015, 26∼65쪽.

5.

엘레인 김·최정무 편저, 박은미 역, 위험한 여성 , 삼인, 2001, 116∼17쪽.

6.

김미현, 「여성 지식인 소설 연구 -박화성의 북국의 여명 을 중심으로-」, 이화어문논집 22집, 이화어문학회, 2004, 115∼137쪽.

7.

김복순, 「1950년대 박화성 소설에서의 대중성의 재편과 젠더」, 대중서사연구 26호, 대중서사학회, 2011, 229∼260쪽.

8.

박선영, 「신여성의 내면풍경 –박화성 북군의 여명 을 중심으로-」, 한민족문화연구 26집, 한민족문화학회, 2008, 149∼173쪽.

9.

변신원, 「근현대 여성작가 열전② 박화성 -계급의식과 주체적 여성의식-」, 역사비평 34호, 역사비평사, 1996, 355∼370쪽.

10.

서정자, 「눈보라와 휴화산의 문학(박화성 작품세계)」, 문학춘추 12호, 문학춘추사, 1995, 34∼49쪽.

11.

서정자, 「박화성의 해방 후 소설과 역사의식」, 현대소설연구 24호, 한국현대소설학회, 2004, 49∼72쪽.

12.

안미영, 「전후 지식인의 연애 윤리」, 세계한국어문학 4집, 세계한국어문학회, 2010, 151∼178쪽.

13.

이미화, 「박화성 소설의 탈식민적 페미니즘 연구」, 우리文學硏究 42집, 우리문학회, 2014, 291∼320쪽.

14.

이윤정, 「박화성 소설에 나타난 여성문제 인식 고찰」, 여성학연구 16권 1호, 부산대여성연구소, 2006, 263∼268쪽.

15.

이자화, 「1930년대 여성 인물의 의식 연구 — 박화성의 백화 와 북국의여명 을 중심으로」, 한국문예창작 15권 3호, 한국문예창작학회, 2016, 55∼77쪽.

16.

장미영, 「박화성의 「바람 뉘」와 박경리의 초기 단편소설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4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481∼505쪽.

17.

최창근, 「박화성 소설 속 여성 인물들의 관계 유형 연구 ― 백화 와 고개를넘으면 을 중심으로 ―」, 호남문화연구 62집, 전남대호남학연구원, 2017, 137∼164쪽.

18.

최창근, 「박화성 소설의 여성 인식 연구 -「신혼여행」과 「비탈」을 중심으로-」, 호남문화연구 58집, 전남대호남학연구원, 2015, 363∼387쪽.

19.

한동민, 「여성 4대를 통해 본 한국 근대여성의 존재 양상과 변화」, 나혜석연구 9집, 나혜석학회, 2016, 7∼37쪽.

20.

한민영, 「박화성 전후 장편소설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논문, 2009, 38∼41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