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박완서의 『나목』에 나타난 여성의 탈장소와 이동성의 주체

The War Time Seoul and Women’s Displacement Represented in Park Wan-Suh’s The Naked Tree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9, v.0 no.47, pp.343-377
https://doi.org/10.15686/fkl.2019..47.343
유인혁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Abstract

박완서는 막 성년에 진입한 여성이 전시 서울에서 가족을 지키기 위해 분투하는 이야기를 반복해왔다. 이 간단한 요약은 박완서 문학에서 전쟁과 젠더, 그리고 지리가 가지고 있는 복잡한 관계를 압축한다. 그것은 전시 서울이라고 하는 시공간 속에서 여성의 성장이 어떻게 수행될 수 있었는지를 문제화한다. 박완서가 그녀의 첫 소설 『나목』에서 보여주고 있는 것은 바로 전쟁이 야기한 탈장소와 그에 따른 주체화다. 전쟁은 장소를 파괴했다. 특히 여성을 보호하는 동시에 통제하는 가정의 영역을 해체했다. 안전과 안정감을 제공하는 ‘장소’의 파괴는 여성을 불안정한 신분과 고독한 자립, 적대성의 세계로 이동시켰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나목』의 여성(이경)은 도시 읽기(city reading)의 주체가 되었다. 탈장소의 상황이 주어진 후, 이경은 일상적으로 도시의 광역(廣域)을 가로지르게 되었다. 그녀는 매일같이 도시의 한 극단에서 다른 극단으로 이동한다. 그럼으로써 예전에는 볼 수 없었던 서울의 이모저모를 관찰하게 된다. 『나목』의 서사는 여성이 전시 상황에 의해 새롭게 경험하게 된 여러 장소들의 연쇄로 구성된다. 이경은 미군 PX, 옥희도의 집과 황태수의 집, 경서 호텔 등 다양한 장소를 가로지르는데, 각각의 장소로 이동하고, 관찰하고, 경험함으로써 플롯이 전개되는 것이다. 요컨대 『나목』의 이야기는 집에서 벗어난 여성이 마주친 여러 장소들의 연쇄를 통해 조직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은 『나목』이 제시하고 있는 여성의 새로운 동선(動線)을 추적하는 한편, 이들이 새롭게 경험한 장소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나목』은 박완서가 이경이라는 행위자를 통해 재구성한 전시 서울의 ‘인식적 지도(cognitive map)’로 나타날 것이다.

keywords
박완서, 『나목』, 전쟁, 젠더, 지리, 도시 읽기, 인식적 지도, 장소, 탈장소, 이동성, 서울, Park Wan-Suh, The Naked Tree, war, gender, geography, city reading, cognitive map, place, displacement, mobility, Seoul

참고문헌

1.

박완서, 나목 , 세계사, 2012, 1-359쪽 .

2.

강인숙,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도시와 모성 , 둥지, 1997, 93쪽 .

3.

데이비드 하비, 초의수 역, 도시의 정치경제학 , 한울, 1996, 1-359쪽 .

4.

도린 매시, 정현주 역, 공간, 장소, 젠더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15, 57쪽 .

5.

요제프 알로이스 슘페터, 이종인 역, 자본주의 사회주의 민주주의 , 북길드, 2016, 1-696쪽 .

6.

울리히 벡·엘리자베트 벡 게른샤임, 강수영 외 역, 사랑은 지독한 그러나 너무나 정상적인 혼란 , 새물결, 1999, 1-367쪽 .

7.

이 푸 투안, 구동회·심승희 역, 공간과 장소 , 대윤, 2007, 40쪽 .

8.

질리언 로즈, 정현주 역, 페미니즘과 지리학 , 한길사, 2011, 152쪽 .

9.

프레드릭 제임슨, 강내희 역, 「포스트모더니즘- 후기지본주의 문화논리」, 포스트모더니즘론 , 문화과학, 1989, 139-202쪽 .

10.

Kevin Lynch, Image of the City, MIT PRESS, 1960, pp.1-194.

11.

김양선, 「증언의 양식, 생존·성장의 서사- 박완서의 전쟁 재현 소설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6권 2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2, 144-165쪽 .

12.

김은하, 「젠더화된 전쟁과 여성의 흔적 찾기」, 여성문학연구 제43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8, 313-341쪽

13.

나보령, 「허물어진 ‘문 안’」, 인문과학연구논총 제39권 4호,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85-113쪽 .

14.

송명희·박영혜, 「박완서의 자전적 근대체험과 토포필리아」,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20호,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03, 43-70쪽 .

15.

송은영, 「‘문밖의식’으로 바라본 도시화」, 여성문학연구 제2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111-138쪽 .

16.

신샛별,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먹는 인간’의 의미」,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5, 1-87쪽 .

17.

신수정, 「박완서 소설과 전시 여성 가장의 미군 PX경험」, 인문과학연구논총 제37호, 명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51-81쪽 .

18.

우현주, 「어머니의 법과 로고스의 세계」, 인문학연구 제49집, 조선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177-203쪽 .

19.

이선미, 「박완서 소설과 비평」, 여성문학연구 제2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29-58쪽 .

20.

이수형, 「박완서 소설에 나타난 애도와 죄의식에 관한 연구」, 여성문학연구 제25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11, 83-110쪽 .

21.

이평전, 「한국전쟁의 기억과 장소 연구」, 『한민족어문학 제65호, 한민족어문학회, 2013, 869-895쪽 .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