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탈장소화되는 제주 ―4.3 다큐멘터리에서 재일제주인 여성의 재현을 중심으로

The Displaced Island —focusing on the Representation of Jeju Island Women in Japan in 4.3 Documentarie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0, v.0 no.51, pp.314-345
https://doi.org/10.15686/fkl.2020..51.314
허민석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박사과정)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글은 희생자 중심적 기억 담론의 한계를 넘어 제주 4.3을 재사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탐색해 보고자 했다. ‘잊지 않겠습니다’라는 문장으로 대표되는 희생자중심적 기억 담론은 제주/육지, 과거/현재 등의 시공간적 분할을 전제하는바, 당사자/제삼자의 분리를 고착시키며 근본적인 층위에서의 양자의 연대를 불가능하게 만든다. 따라서 이 글은 그러한 시공간적 분할을 문제 삼으며, 4.3을 더욱 포괄적인 의미의 공간적 차원에서 사유하기를 제안했다. 공간을 변이하는 시공간의 연속체로 간주할 때, 우리는 기억 담론이 내포하는 시공간의 분할을 본질적인것이 아닌 잠정적인 것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탈장소’라는 개념은 장소를 지정학적 경계에 의해 구획되는 것이 아닌, 상이한 시공간적 맥락들의 교차 혹은 이질적 신체들의 마주침이라는 사건으로 설명하는바, 과거사 문제에 관한 대안적 접근법을 상상하기 위해 요청된다. 특히 이 글에서는 4.3 관련 다큐멘터리에서 재일제주인 여성이 그려지는 방식에 주목했다. 선형적인 시간성을 전제하는 기억서사의 구조를 차용한 다큐멘터리들은 재일제주인 여성들의 생애를 탈향의 서사를 통해 재현하며 결과적으로 그녀들의 정체성을 희생자다움에 정박시켜 버린다는 문제가 나타난다. 이 경우 스스로를 국민으로 정체화할 수 있는 다수자의 입장에서 디아스포라의 기억을 수취함으로써, 궁극적으로 고국 혹은 국민국가라는개념을 불변하는 장소로 자연화하는 효과를 낳는다. 그러나 임흥순의 영화 「우리를 갈라놓는 것들」(2019)은 제주/육지, 한국/일본, 과거/현재, 그리고 우리/그들 사이의 시공간적 분할을 넘어 제주 4.3을 다루고자 시도한 사례이다. 이 영화는 우리가 특정 공간에 내재된 기억을 직관할 수 없음을, 다만 우리는 오로지 과거–이미지에 의존해 장소의 역사성을 일시적으로 재구축할 수밖에 없음을 상기시킨다. 또한 영화는 이질적인 신체–이미지들이 충돌하고 분기하는 장소로서 동시대 한국을 포착하며, 우리라는 장소의 유동적임과 불확실함을 통해서 역설적으로 우리 각자가 연결될 수 있음을 발견한다.

keywords
Jeju 4.3, victim, remembering, displacement, Jeju Island Women in Japan, diaspora, body-image, 제주 4.3, 희생자, 기억, 탈장소, 재일제주인 여성, 디아스포라, 신체–이미지

Abstract

This article sough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rethinking Jeju 4.3 beyond the limitations of victim-centered remembering discourse. The victim-centered remembering discourse, represented by the sentence “We won’t forget,” presupposes the division of Jeju/land, past/present, and so on, thus entrenching the separation of the parties/third parties and making it impossible for the two to form a solidarity at the fundamental level. Therefore, this article takes issue with such temporal and spatial divisions, and suggests that Jeju 4.3 be thought on a spatial level in a more comprehensive sense. When we consider place as a continuum of time-space that mutates, we can accept the division of time-space implied by the remembering discourse as provisional, not essential. The concept of “deplacement” was asked to imagine an alternative approach to historical issues, describing a place as an event that is not divided by geological boundaries, but rather an intersection of different temporal and spatial contexts or an encounter of heterogeneous bodies. In particular, this article noted how Jeju Island Women in Japan are portrayed in documentaries about Jeju 4.3. Some documentaries borrowing linear time structure have the problem of recreating the lives of these women through narrative of losing homeland and anchoring their identities to victimhood. In this case, by receiving diaspora’s memory from the standpoint of the majority who can identity themselves as nation, it can ultimately have the effect of naturalizing the concept of homeland or nation-state as an unchanging place. However, Im Heung-soon’s film Things That Do Us Part(2019) is an attempt to deal with Jeju 4.3 beyond the temporal and spatial division separating Jeju/Land, Korea/Japan, past/present, and us/them. The film reminds us that we cannot intuit the memories inherent in a particular place, but rather rely on the past-image to temporarily rebuild the historicality of the place. It also captures contemporary Korea as a place where heterogeneous body-image collide and diverge, and finds that each of us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fluidity and uncertainty of us.

keywords
Jeju 4.3, victim, remembering, displacement, Jeju Island Women in Japan, diaspora, body-image, 제주 4.3, 희생자, 기억, 탈장소, 재일제주인 여성, 디아스포라, 신체–이미지

참고문헌

1.

김창후, 『자유를 찾아서—김동일의 억새와 해바라기의 세월』, 선인, 2008, 61쪽.

2.

양정환, 「오사카에서 온 편지」, ‘ch4.3 채널4.3’(유튜브), 2017.8.23. https://www.youtube.com/watch?v=fBVmMxxnBBY (접속일: 2020.10.20.)

3.

임흥순, 「우리를 갈라놓는 것들」, 개봉일: 2019.11.28.

4.

제주 MBC, 「4.3 속 재일제주인 ‘멈출 수 없는 기억’」, 방영일: 2018.11.17~2019.1.19.(10부)

5.

이승민, 『영화와 공간』, 갈무리, 2017, 151쪽.

6.

서경식, 『고통과 기억의 연대는 가능한가?』, 철수와 영희, 2009, 35쪽.

7.

서경식, 형진의 역, 『역사의 증인–재일조선인』, 반비, 2012, 23-24쪽.

8.

도린 매시, 박경환·이영민·이용균 역, 『공간을 위하여』, 심산, 2016, 284쪽, 357쪽.

9.

린다 맥도웰, 여성과 공간 연구회 역, 『젠더, 정체성, 장소』, 한울, 2010, 356-357쪽.

10.

재일제주인의 생활사를 기록하는 모임, 김경자 역, 『재일제주인의 생활사1—안주의 땅을 찾아서』, 선인, 2012, 11쪽.

11.

존 더럼 피터스, 이희은 역, 『자연과 미디어』, 컬처룩, 2018, 88쪽.

12.

질 들뢰즈, 김재인 역,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554쪽, 556쪽.

13.

고광명, 「재일제주인의 제주지역 교육발전에 대한 공헌」, 『교육과학연구』 제13권 1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11, 59-73쪽.

14.

곽영빈, 「페르/소나로서의 역사에 대한 반복강박—임흥순과 오디오–비주얼 이미지」, 『한국예술연구』 제21호,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2018, 197-222쪽.

15.

권귀숙, 「4.3의 대항기억과 영상」, 『제주도연구』 제24집, 제주학회, 2003, 133-167쪽.

16.

권귀숙, 「4.3의 기억과 젠더 이미지: 4.3 영상 다큐멘터리를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제43집 2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04, 241-271쪽.

17.

김동현, 「로컬리티의 발견과 내부식민지로서의 ‘제주’」, 국민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3, 1-178쪽.

18.

김은주, 「들뢰즈의 생성의 시공간—변이하는 공간, 생산하는 공간」, 김동일 외, 『공간에 대한 사회인문학적 이해』, 라움, 2017, 266-290쪽.

19.

김지미, 「한국 영화의 ‘판옵티콘’과 ‘시놉티콘’—시선의 권력과 성차화된 재현의 문제」, 『겨레어문학』 제53집, 겨레어문학회, 2014, 151-179쪽.

20.

김치완, 「4.3의 기억 주체와 방식에 대한 철학적 접근」, 『인문학연구』 제23집, 제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92-120쪽.

21.

목정원, 「무엇보다 우리의 현재를 위하여—임흥순의 「우리를 갈라놓는 것들」에서 보이는 재연의 문제에 관하여」, 임흥순 외, 『임흥순 우리를 갈라놓는 것들: 믿음, 신념, 사랑, 배신, 증오, 공포, 유령』, 국립현대미술관, 2017, 180-199쪽.

22.

서동진, 「역사를 잃은 세계의 기억 멜랑콜리」, 강수정 외, 『빨강, 파랑, 그리고 노랑』, 국립현대미술관·현실문화연구, 2018, 119-141쪽.

23.

서동진, 「풍경은 넘치지만 현실은 희박하다: 풍경 이미지의 정치적 퇴행」, 『OKULO』 제7호, 미디어버스, 2018, 10-26쪽.

24.

오혜진, 「‘그 날’ 이후의 서정시와 망막적인 것—다큐/영화의 미학과 정치를 다시 묻기 위해」, 『문화과학』 제75호, 문화과학사, 2013, 303-329쪽.

25.

유운성, 「무명(無名)의 역사—영화평론가 Y와 영상작가 P의 두 번째 대화」, 강수정 외, 『빨강, 파랑, 그리고 노랑』, 국립현대미술관·현실문화연구, 2018, 207-230쪽.

26.

이정숙, 「제주 4.3 항쟁과 여성의 삶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1-70쪽.

27.

정희진, 「피해자 정체성의 정치와 페미니즘」, 『피해와 가해의 페미니즘』, 권김현영 편저, 교양인, 2018, 202-236쪽.

28.

조명기, 「영화 「지슬」이 재구성하는 양민학살론의 성격과 의미」, 『한민족문화연구』 제64권, 한민족문화학회, 2018, 91-118쪽.

29.

조명기·장세용, 「제주 4.3사건과 국가의 로컬기억 포섭 과정」, 『역사와 세계』 제43집, 효원사학회, 2013, 205-235쪽.

30.

현무암, 「밀항·오무라수용소·제주도—오사카와 제주도를 잇는 ‘밀항’의 네트워크」, 『재일제주인과 마이너리티』, 제주대학교 재일제주인센터 편저, 제주대학교 재일제주인센터, 2014, 97-135쪽.

31.

제이슨 림, 「퀴어 비평과 정동의 정치학」, 캐스 브라운·개빈 브라운·제이슨 림, 김현철 외 역, 『섹슈얼리티 지리학』, 이매진, 2018, 103-130쪽.

32.

Axel, Brian Keith, “The Diasporic Imaginary,” Public Culture, vol.14 no.2, spring 2002, pp.411-428.

33.

Coleman, Rebecca, “Inventive Feminist Theory: Representation, Materiality and Intensive Time,” Women: A Culture Review, vol.25 no.1, may 2014, pp.27-45.

34.

Rich, Adrienne, “Notes toward a Politics of Location(1984),” Blood, Bread, and Poetry: Selected Prose 1979-1985, New York: Norton, 1986, pp.210-231.

35.

「“4·3사건 당시 일본행 한국인 난민들”…증거 영상 최초 발굴」, KBS NEWS, 2019.1.20. http://mn.kbs.co.kr/news/view.do?ncd=4119710 (접속일: 2019.12.11.)

36.

「‘제주4·3’ 전 국민 상대 인식조사 결과, 꾸준히 상승」, 『제주도민일보』, 2019. 12.20.

37.

http://www.jeju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118814 (접속일: 2020.10.20.)

38.

「4.3희생자 추념일 추념사」, 대한민국 청와대 홈페이지, 2018.4.3. https://www1.president.go.kr/articles/2855 (접속일: 2020.10.20.)

39.

「양정환 감독이 말하는 4.3—1부 양정환 감독이 느낀 4.3」, ch4.3 채널4.3(유튜브), 2019.7.20. https://www.youtube.com/playlist?list=PL0dRPxylqS-TAFr_8kZQTm99dGFaBVS6g (접속일: 2020.10.20.)

40.

「제72주년 제주 4·3 희생자 추념식 추념사」, 대한민국 청와대 홈페이지, 2020. 4.3. https://www1.president.go.kr/articles/8401 (접속일: 2020.10.20.)

41.

김동현, 「항쟁 그리고 개발—제주4·3문학의 현재성」, 『제주투데이』, 2018.4.27. http://www.ijejutoday.com/news/articleView.html?idxno=208363 (접속일: 2020.10.20.)

42.

김선명, 「한낮의 어둠—「우리를 갈라놓는 것들」」, 『REVERSE』, 2019.12.3. http://reversemedia.co.kr/article/290 (접속일: 2020.10.20.)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