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정체성을 보존할 권리와 애도할 권리: 해외입양아동을 중심으로 유엔아동권리협약 읽기

The Right to Preserve One’s Identity and the Right to Mourn : International Adoption in Korea and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3, pp.10-41
https://doi.org/10.15686/fkl.2021..53.10
민은경 (서울대학교)

초록

1989년 유엔아동권리협약(UN Convention on the R ights of the C hild)은 ‘아동의 권리’라는 개념을 다시 쓴 혁신적인 문건이다. 본고는 한국의 해외입양 역사를 이해하고 평가하기 위해 이 협약을 꼼꼼하게 읽을 것을 제안한다. 해외입양을 논할 때 주로 거론되는 협약은 입양 절차에 대한 규약을 명시한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Hague Convention on Intercountry Adoption)이지만, 아동의 권리를 폭넓게 정의한 협약은 유엔아동권리협약이다. 따라서 본고는 유엔아동권리협약을 분석 대상으로 삼으며, 특히 이 협약 제7조와 제8조가 천명하는 아동의 ‘정체성을 보존할 권리’(right to preserve his or her own identity)를 집중적으로분석한다. 유엔아동권리협약에 의하면 아동의 권리는 아동–부모–국가의 삼자 간 관계 속에서 성립하고 국가는 아동과 부모의 관계를 조정하고 중재할 책임을 갖는다. 국가는 아동의 ‘생명에 관한 교유의 권리’ 외에도 ‘정체성을 보존할 권리’를 보호해야 하는데, 이때 ‘정체성’이란 국적, 이름, 가족 관계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러나 본고에서 살펴본 해외입양인 사례는 해외로 보내진 한국 출신 입양아동들이 이름, 국적, 가족 관계를 꾸준히 박탈당하였음을 증언한다. 디앤 보르쉐이림(강옥진), 아담 크랩서(신성혁), 카라 보스(강미숙)의 이야기는 해외입양 아동들이 특히 정체성의 취약성에 노출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아동권리협약의 주요 성과 중 하나가 ‘정체성의 취약성’에 대한 인정이라면, 본고는 ‘애도할 권리’라는 개념을 통해 ‘정체성을 보존할 권리’가 보충되어야 함을 주장한다. 아동의애도할 권리를 인정한다는 것은 정체성의 상실을 경험한 해외입양 아동의 경험을 그 자체로 인정하고 이에 대한 국가와 사회의 책임을 동시에 인정한다는 의미다. ‘정체성의 취약성’과 ‘애도할 권리’는 확장성을 갖는 개념으로, 한국의 해외입양 역사의 최대 피해자인 아동뿐 아니라 아동을 상실한 친모에게도 적용될 수 있다. 미혼모를 중심으로 계속 이어지고 있는 해외입양의 역사 속에 입양된 아동뿐만 아니라 아동을 입양한 친모의 애도할 권리 또한 부정되고 있기 때문이다.

keywords
해외입양, 한국, 아동권리선언(1924, 1959), 유엔아동권리협약(1989),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1993), 아동, 권리, 정체성, 이름, 국적, 가족, 취약성, 애도, 미혼모, 젠더, 정의, International Adoption, Korea,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 (1924, 1959),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1989), Hague Convention on Intercountry Adoption (1993), child, right, identity, name, nationality, family, vulnerability, mourning, unwed birth mothers, gender, justice

Abstract

This essay examines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adoption in Korea in light of the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UNCRC) and argues that international adoption should be considered in light of the adopted child’s “right to preserve his or her identity” (as articulated in Articles 7 and 8 of the UNCRC) as well as the child’s right to mourn the loss of that identity. The UNCRC is an important document not only because it identifies the state as bearing political responsibility for the well-being of the child but also because it recognizes that the identity of the child needs special protection. Article 7 of the UNCRC defines “identity” as “including nationality, name and family relations as recognized by law”. The life histories of Deann Borshay Liem, Adam Crapser, and Kara Bos exemplify the loss of identity involved in international adoption. Instancing their cases as specific examples of the loss of name, nationality, and family relations, the essay argues that, despite the legal advances enabled by the UNCRC (1989) as well as the Hague Convention on Intercountry Adoption (1993), Korean-born adoptees continue to suffer from the traumatic loss of identity. Further, it argues the need to acknowledge their loss by recognizing their right to mourn their original identity and family relations. Recognizing the vulnerability of the child as including the vulnerability of his or her identity enables us to connect it to the vulnerability of the unmarried birth mothers who, like the children they are giving away, are unable to claim their social identities and are deprived of their right to mourn their losses.

keywords
해외입양, 한국, 아동권리선언(1924, 1959), 유엔아동권리협약(1989), 헤이그국제아동입양협약(1993), 아동, 권리, 정체성, 이름, 국적, 가족, 취약성, 애도, 미혼모, 젠더, 정의, International Adoption, Korea,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 (1924, 1959),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1989), Hague Convention on Intercountry Adoption (1993), child, right, identity, name, nationality, family, vulnerability, mourning, unwed birth mothers, gender, justice

참고문헌

1.

김준, 『「입양특례법」의 입법영향분석』, 입법영향분석보고서 제23호, 국회입법조사처, 2017.12.11.

2.

국가법령정보센터,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 [발효일 1991. 12. 20.] [다자조약, 1072호, 1991. 12. 23.]https://www.law.go.kr/LSW/trtyInfoP.do?trtySeq=188&vSct=%EC %95%84%EB%8F%99%EA%B6%8C%EB%A6%AC&mode=4&chr-ClsCd=010202

3.

국가법령정보센터, 「입양특례법」. [시행 2020. 12. 29.] [법률 제17788호, 2020. 12. 29., 일부개정]https://www.law.go.kr/lsSc.do?section=&menuId=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060101&query=%EC%9E%85%EC%96%91%ED%8A%B9%EB%A1%80%EB%B2%95#undefined

4.

국가법령정보센터,「입양특례법 시행령」. [시행 2019. 7. 16.] [대통령령 제29987호, 2019. 7. 16., 타법개정]https://www.law.go.kr/lsSc.do?section=&menuId=1&subMenuId=15&tabMenuId=81&eventGubun=060101&query=%EC%9E%85%EC%96%91%ED%8A%B9%EB%A1%80%EB%B2%95#undefined

5.

보건복지부. 「2019년 국내외 입양현황」. http://www.mohw.go.kr/upload/viewer/skin/doc.html?fn=1598604161587_20200828174241.xlsx&rs=/upload/viewer/result/202107/

6.

Convention on Protection of Children and Co-operation in Respect of Intercountry Adoption. (Concluded 29 May 1993)https://www.hcch.net/en/instruments/conventions/full-text/?cid=69

7.

UN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Entry into force 2 September 1990)https://www.ohchr.org/en/professionalinterest/pages/crc.aspx

8.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Proclaimed 10 December 1948)https://www.jus.uio.no/lm/en/pdf/un.universal.declaration.of.human. rights.1948.portrait.letter.pdf

9.

Declaration of the Rights of the Child. (Adopted 20 November 1959)http://www.cirp.org/library/ethics/UN-declaration/

10.

전희경, 「시민으로서 돌보고 돌봄 받기」, 『새벽 세 시의 몸들에게: 질병, 돌봄, 노년에 대한 다른 이야기』, 봄날의 책, 2020, 29-80쪽.

11.

주디스 버틀러, 윤조원 역, 『위태로운 삶: 애도의 힘과 폭력』, 필로소픽, 2018, 46-86쪽.

12.

David Archard, “Children’s Rights,” Handbook of Human Rights, ed., Thomas Cushman, New York: Routledge, 2012, pp.324-332.

13.

Gerison Lansdown, “Children’s Rights,” Children’s Childhoods: Observed and Experienced, ed., Berry Mayall, London: Falmer Press, 1994, pp.33-44.

14.

Judith Butler, Precarious Life: The Powers of Mourning and Violence, London:Verso, 2004, pp.19-151.

15.

Kenneth Doka, Disenfranchised Grief: Recognizing Hidden Sorrow, Lanham, MD, Lexington, 1989.

16.

Michael Freeman, “Children’s Rights as Human Rights: R eading the UNCRC,” ed., Jens Qvortrup, William A. Corsaro and Michael-Sebastian Honig, The Palgrave Handbook of Childhood Studies, Houndmills: Palgrave Macmillan, 2009, pp.377-393.

17.

김재민, 「한국의 해외입양 정책에 투영된 인권의 공백」. 『기억과 전망』 제35권,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2016, 282-318쪽.

18.

석광현, 「1993년 헤이그국제입양협약: 국제입양에 관한 아동보호 및 협력에 관한 헤이그협약」, 『국제사법연구』 제15권, 한국국제사법학회, 2009, 421-492쪽.

19.

손승영, 「해외로 내몰린 미혼모의 자녀들: 배타적 가족문화와 국가의 책임 방기」, 『담론21』 제23권 1호, 한국사회역사학회, 2020, 161-191쪽.

20.

신필식, 「한국 해외입양 아동과 친생모의 이산 과정, 그리고 젠더화 된 고통: 다섯 입양인에 관한 수기와 회고록을 중심으로」, 『페미니즘 연구』 제18권2호, 한국여성연구소, 2018, 101-147쪽.

21.

윤진숙, 「현행 입양특레법에 대한 소고: 미국 입양법과 비교를 통한 미혼모와 입양아의 인권 보호」, 『법학 연구』 제24권 4호,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14, 159-184쪽.

22.

윤혜경, 「아동권리의 측면에서 본 아동, 부모, 국가간의 3자 관계와 아동의 최선의 이익」, 『한국가족복지학』 제2권 2호, 한국아동가독복지학회, 1997, 49-60쪽.

23.

Dominique Marshall, “The Construction of Children as an Object of International Relations: The Declaration of Children’s Rights and the Child Welfare Committee of League of Nations, 1900-1924,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s Rights 7.2 (1999), pp.103-148.

24.

Eun Kyung Min, “The Daughter’s Exchange in Jane Jeong Trenka’s The Language of Blood,” Social Text 94 (2008), pp.115-133.

25.

Frances Olsen, “Children’s Rights: Some Feminist Approaches to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the Family 6 (1992), pp.192-220.

26.

Harvey Peskin, “Who Has the Right to Mourn?: Relational Deference and the Ranking of Grief,” Psychoanalytic Dialogues 29, 2019, pp.477-492.

27.

Onora O ’Neill, “Children’s Rights and Children’s Lives,” Ethics 98.3, 1988, pp.445-463.

28.

권광순, 「美입양 네설배기, 마흔하나에 ‘엄마’ 품으로」, 『조선일보』, 2016.11.23,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6/11/23/2016112300197.html.

29.

신필식, 「권리의 언어 사이로 빠져나간 정체성, 애도 그리고 아이들」,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년 상반기 학술대회 토론문, 2021.4.24.

30.

전홍기혜, 「나는 1억 원짜리 ‘서류 고아’였다: ‘추방 입양인’ 아담 크랩서 인터뷰 ①」, 『프레시안』, 2017.10.31,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73847?no=173847#0DKU.

31.

전홍기혜, 「‘장관 입양인 영광… 한국은 성공 스토리만 듣고 싶어한다: ‘추방 입양인’ 아담 크랩서 인터뷰 ②」, 『프레시안』, 2017.11.3, https://www.pressian.com/pages/articles/174302#0DKU.

32.

「카라 보스 “엄마 찾는 아이에 문 닫은 韓, 내 마음도 닫는다”」, 『동아일보』, 2020.7.16, https://www.donga.com/news/Inter/article/all/20200716/102005618/1.

33.

“Adoptee Kara Bos’s search for her roots in South Korea,” BBC News, 2020.7.16, https://www.youtube.com/watch?v=Dv5Q6N3lvRQ.

34.

Deann Borshay Liem, First Personal Plural , Center for Independent Documentary, 2000.

35.

Deann Borshay Liem, In the Matter of Cha Jung Hee, New Day Films, 2010.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