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Exploring the Mutual Cultural Subjecthood of Multicultural Children Using the Problematic Aspect of Nurturing Represented through the Motif of ‘the Child who Became a Natural Object’ –With a Focus on Oral Folktales of Marriage Migrants in Korea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3, pp.42-68
https://doi.org/10.15686/fkl.2021..53.42
Jungeun Kim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이 글은 다문화가정의 여성과 아동이 겪는 돌봄의 어려움을 풀어내기 위해서는 상호문화 감수성과 동시에 여성주의 시각의 접근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결혼이주여성이 구술한 설화 중, 돌봄의 통제 욕망으로 ‘자연물이 된 아이’ 화소가 있는 필리핀의 「파인애플이 된 아이」 설화와 인도네시아의 「물고기 아내와 토바호수」 설화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낯선 아시아 문화와 자연스럽게 상호문화를 소통하며 그 가치를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돌봄을 둘러싼 통제 욕망의 심층적 관계를 더욱 다양한 시야에서 풀어내고자 했다. 필리핀 설화 중 백 개, 천 개의 눈으로 ‘파인애플이 된 아이’의 상징을 교류하는 과정은 지나친 애정으로 아동을 돌보며 통제하는 모성 돌봄의 중압과 갈등 양상을 사유하게 한다. 인도네시아 설화 중 토바 호수 전설의 ‘섬이 된 아이’의 상징을 교류하는 과정은 아버지가 아들을 훈육하고 통제하고자 할 때의 폭력적 문제 양상에 대한 아들의 대응을 보여준다. 이를 다문화가정으로 확장하여, 현실적으로 돌봄의 과정에서 문화소통의 어려움을 호소하는 이주여성과 아동의 자존감을 변화할 수 있도록 상호문화의 주체로 인지해 가는 과정을 제안해 보고자 했다.

keywords
female marriage migrants in Korea, maternal care, paternal authoritative care, multicultural children, oral folktales of immigrants, mutual cultural subject, desire to control, 결혼이주여성, 모성 돌봄, 부성 훈육, 다문화 아동, 이주민 구술설화, 상호문화 주체, 통제 욕망

Reference

1.

한국학 중앙연구원 성과포탈, 『다문화 시대 한국학을 위한 이주민 설화 구술자료 DB』http://waks.aks.ac.kr/rsh/?rshID=AKS-2016-KFR-1230004

2.

로보트 존슨, 고혜경 역, 『당신의 그림자가 울고 있다』, 에코의 서재, 2007, 12쪽.

3.

마델레인 데이비스·데이빗 월브릿지, 이재훈 역, 『울타리와 공간』, 한국심리치료연구소, 1997, 48, 148쪽.

4.

지그문트 프로이드, 임홍빈·홍혜경 역, 『정신분석 강의』, 2010, 열린책들, 345-346쪽.

5.

김명혜, 「한국사회에서의 결혼 이주현상과 문화적 다양성의 문제에 관하여: 가부장제와 ‘다문화주의’의 행복한 결혼일까?」,『현대사회과학연구』 제21호, 전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7, 101-122쪽.

6.

김미애,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효능감이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아동보호연구』 제3권 1호, 아동보호연구학회, 2018, 59-96쪽.

7.

김영순·오영섭, 「전환학습 관점에서 본 이주민설화조사 연구자의 다문화감수성 발달에 대한 연구」, 『문화교류연구』 제8권 3호, 한국국제교류문학학회, 2019, 47-74쪽.

8.

김정은, 「이주민 구술 설화를 활용한 상호문화능력 신장의 교육 방안연구」, 『고전문학과 교육』 제38호,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18, 201-238쪽.

9.

김정은, 「아시아 열두 띠 설화의 동물 표상을 활용한 상호문화 감수성 신장의 문화교육」, 『구비문학연구』 제60호, 한국구비문학회, 2021, 119-159쪽.

10.

김지연·오경자, 「부모의 과보호가 성인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제30권 3호, 한국심리학회, 2011, 647-661쪽.

11.

김하나·이인재, 「교과교육학: 초등학생의 상호문화적 감수성 함양을 위한 온라인 그림동화 프로그램의 효과」, 『윤리교육연구』 제33호,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1-25쪽.

12.

박소영, 「우렁각시 설화의 현대적 변용 양상과 의미—에코페미니즘의 관점을 중심으로」, 『우리문화연구』 제43호, 우리문학회, 2014, 459-491쪽.

13.

박정윤·채지은·조몽적,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다문화가정 중학생을 중심으로」, 『다문화와 평화』 제14권 2호,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0, 101-121쪽.

14.

변미희 외, 「다문화가족 아동의 심리사회적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부모교육연구』 제8권 2호, 한국부모교육학회, 2011, 5-29쪽.

15.

선주원, 「상호문화적 감수성 증진을 위한 문학교육의 내용과 학습 활동」, 『국제이해연구』 제12호, 한국국제이해교육학회, 2017, 89-120쪽.

16.

신효진, 「부모자녀관계와 다문화가족지향성이 다문화가정 아동·청소년의 자존감 및 한국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제9권 4호,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학학회, 2019, 597-604쪽.

17.

이선애·최현정,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 양육태도와 양육스트레스 연구」,『열린유아교육연구』 제21권 2호,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6, 133-155쪽.

18.

이정옥, 「모성신화, 여성의 또 다른 억압 기제」, 『여성문학연구』 제3호, 한국여성문학회, 2000, 117-145쪽.

19.

이지영·이주연,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아동의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동복지연구』 제10권 2호, 대한아동복지학회, 2012, 83-101쪽.

20.

이태열, 「최근 국제 혼인 증가의 특징」, KIRI 리포트(포커스), 2020, 23-31쪽.

21.

장진태, 「국제결혼 이민여성의 콤플렉스 및 차별인식: 칼 융의 분석 심리학을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제10권 5호,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1755-1767쪽.

22.

정옥희.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부모스트레스가 자녀의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임상사회사업연구』 제10권 2호,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3, 23-37쪽.

23.

한용택, 「Bennett의 상호문화적 감수성 발달 모델을 활용한 다문화교육 시안」,『시민인문학』 제32호, 경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7, 107-136쪽.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