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Solidarity Beyond “My Brother and the Brazier” : An Analysis of Yeoseongjiwu and Eom Heung-seop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4, pp.177-214
https://doi.org/10.15686/fkl.2021..54.177
KIM YOON JIN

Abstract

이 글은 잡지 『여성지우』와 1930년대 전반기 엄흥섭의 문학적 실천을 살핀다. 엄흥섭이 편집에 참여하기 시작한 제2권 제1호(1930.2)부터 『여성지우』는 여러 직업에 종사하는 여성들의 고충을 듣고, 독자 투고란을 대폭 늘리는 등 여성들의 다양한 목소리가 더욱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는 기획들을 선보인다. 이러한『여성지우』의 기획에 여성 독자들은 뜨겁게 호응했으며 여성들이 주체가 된 새로운 문학을 꿈꾸었다. 특히 제2권 제2호(1930.4)의 〈여류문단〉란에 실린 여성들의 시는 임화의 시 「우리 오빠와 화로」(『조선지광』, 1929.2)를 전유한 것으로서, 여성이 겪는 힘겨운 현실에 초점을 맞춘 것이었다. 『여성지우』의 기획에서 보였던, 노동하는 여성들의 삶과 현실에 대한 구체적 인식은 1930년대 전반기 엄흥섭의 소설들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대표적으로 이는 가사노동에 종사하면서 정작 자신은 돌보지 못하는 ‘오마니’형 인물의 형상화로 나타난다. 특히 오마니형 인물이 화자로 등장하는 작품으로 1934년 아동잡지 『별나라』에 게재된 엄흥섭의 소설 「평이」를 주목해볼 수 있다. 「우리 오빠와 화로」와 유사한 서사적 구조를 띠고 있는 듯하지만 이 소설에서는 「우리 오빠와 화로」에서 강렬하게 자리 잡고 있던 오빠의 그림자는 더이상 보이지 않는다. 대신 「평이」는 배달을 하다 다친 동생에게 보내는, 동생 자신의 몸을 잘 돌보라는당부와, 동생의 다른 일자리를 위해 오마니들과 소통해보겠노라는 누나의 목소리로 채워져 있다. 카프 출신 문인들의 전향이 가시화되며 프로문학이 전환기에 놓여 있던 1934년, 엄흥섭은 「우리 오빠와 화로」를 연상시키는 소설 「평이」를 발표함으로써 카프가 가장 대중적이었던 시기를 소환하는 한편, 민중의 현실에 기반을 두고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했다. 『여성지우』의 기획과 그 연장선상에 있는 엄흥섭의 소설은 힘겨운 삶을 겪어내던 독자들이 서로의 취약성에 공감하고 연대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장소로서 기능하고 있었다.

keywords
Eom Heung-seop, Yeoseongjiwu, Byeolnara, female readers, female workers, Omani, vulnerability, “Pyeong-yi”, 엄흥섭, 『여성지우』, 『별나라』, 여성 독자, 여성 노동자, 오마니, 취약성, 「평이」

Reference

1.

엄흥섭, 「1934년 문학건설: 창작의 태도와 실제–취재와 실사적 묘사」, 『조선일보』, 1934.1.14.

2.

엄흥섭, 「平이」, 『별나라』 제77호, 1934.9, 23-26쪽.

3.

엄흥섭, 「平이」, 『별나라』 제78호, 1934.11, 57-60쪽.

4.

엄흥섭, 이승윤 편, 『엄흥섭 선집』, 현대문학, 2010, 61-412쪽.

5.

임화, 「우리옵바와火爐」, 『조선지광』 제83호, 1929.2, 117-119쪽.

6.

「생활전선에 나선 직업부인순례–그들의 생활과 포부」, 『별건곤』 제5권 제5호,1930.6, 22쪽, 30-36쪽.

7.

「여성지우」 제1권 제1~3호, 『아단문고 미공개 자료 총서 2014: 여성잡지』 제23권, 소명출판, 2014.

8.

「여성지우」 제2권 제1~3호, 『아단문고 미공개 자료 총서 2014: 여성잡지』 제24권, 소명출판, 2014.

9.

김애령, 『듣기의 윤리–주체와 타자, 그리고 정의의 환대에 대하여』, 봄날의박씨, 2020, 208-234쪽.

10.

이동희·노상래 편, 『박영희 전집 Ⅱ』, 영남대학교 출판부, 1997, 394-559쪽.

11.

임규찬·한기형 편, 『카프비평자료총서 Ⅳ 볼세비키화와 조직운동』, 태학사, 1990, 111-148쪽.

12.

주디스 버틀러, 윤조원 역, 『위태로운 삶』, 필로소픽, 2018, 46-86쪽.

13.

주디스 버틀러, 김정아 역, 『비폭력의 힘』, 문학동네, 2021, 233-255쪽.

14.

김윤진, 「해방기 엄흥섭의 언어의식과 공동체의 구상」, 『민족문학사연구』 제60호, 민족문학사학회, 2016, 405-444쪽.

15.

김재용, 「식민지시대와 동반자작가」, 『민족문학운동의 역사와 이론』, 한길사, 1990, 166-190쪽.

16.

김형봉, 「엄흥섭 소설 연구–작품 경향의 변모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5.

17.

등천, 「해방 직후 귀환서사에 나타난 여성 귀환자 연구–엄흥섭과 손소희의 소설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제69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377-409쪽.

18.

박명진, 「김영팔의 번안희곡 〈ᄯᅳᆺ 잇는 女性〉」, 『근대서지』 제8호, 근대서지학회, 2013, 430-442쪽.

19.

박선애, 「엄흥섭 소설 연구–1930년대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20.

박정희, 「일제강점기 소설에 나타난 또 하나의 식모, ‘오마니(オマニ)’」, 『어문학』 제153호, 한국어문학회, 2021, 155-183쪽.

21.

박진숙, 「엄흥섭 문학에 나타난 동반자적 성격 연구」, 『관악어문연구』 제16호, 서울대학교 국어국문학과, 1991, 99-114쪽.

22.

박진숙, 「엄흥섭 작품 연보」, 김인환·정호웅 외 공저, 『주변에서 글쓰기, 상처와 선택: 탄생 100주년 문학인 기념문학제 논문집 2006』, 민음사, 2006, 342-350쪽.

23.

배상미, 「가부장적 억압과 혁명성의 경계에 선 여성들–『카프 시인집』 수록 시편들의 여성 청자와 화자–」, 『한국학연구』 제50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31-65쪽.

24.

소영현, 「그림자 노동의 (재)발견: 자본과 노동의 성적 분할과 계급 위계–식민지기 ‘남의집살이’ 여성의 노동을 중심으로」, 『아시아여성연구』 제56권 제2호,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7, 47-79쪽.

25.

손증상, 「카프의 연극대중화론과 아동극 〈少年 구루마ᄭᅮᆫ〉의 기획」, 『한국극예술연구』 제45호, 한국극예술학회, 2014, 35-62쪽.

26.

신혜수, 「여성잡지 영인본 해제: 『女性之友』 창간호~제1-3호, 제2-1호~제2-3호」, 『아단문고 미공개 자료 총서 2014: 여성잡지』 제23권, 소명출판, 2014, 24-25쪽.

27.

이근화, 「『별나라』 소재 문예물 연구–1930년대 아동문예물의 이면과 문학적 전략」, 『한국학연구』 제43호,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2, 229-256쪽.

28.

이근화, 「사회주의 운동과 여성 해방의 문제–『현대부인』(1928), 『여성지우』(1929), 『여인』(1932)을 중심으로」, 『우리어문연구』 제70호, 우리어문학회, 2021, 93-115쪽.

29.

이봉범, 「엄흥섭 소설 연구」,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2.

30.

이승윤, 「엄흥섭 소설의 변모양상과 해방기 귀환서사 연구–「귀환일기」와 「발전」을 중심으로」, 『현대문학의 연구』 제68호, 한국문학연구학회, 2019, 171-195쪽.

31.

이호규, 「엄흥섭론」,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1.

32.

이희환, 「엄흥섭과 인천에서의 문화운동」, 『한국학연구』 제12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3, 168-201쪽.

33.

장명득, 「엄흥섭 소설 연구」, 경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7.

34.

장문석·이은지, 「임화의 ‘오빠’, 송영」, 『한국학연구』 제33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201-235쪽.

35.

장문석, 「출판사 중앙인서관과 조선어문 출판물 간행」, 『한국학논집』 제82호, 계명대학교 한국학연구원, 2021, 209-264쪽.

36.

전희선, 「베스트셀러로서의 『카프시인집』 의미 연구」, 『한중인문학연구』 제61호, 한중인문학회, 2018, 29-52쪽.

37.

고송, 「최근시작개평(完)–『여성지우에 실린 여류시편』」 『조선일보』, 1930.5.14.

38.

「신간소개」, 『동아일보』, 1930.2.26.

39.

「잡지소식」, 『동아일보』, 1930.10.21.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