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비동일적 여성 주체의 ‘회상’과 글쓰기 — 정세랑의 『시선으로부터,』를 중심으로

Recollections of and Compositions about Non-Identical Female Subjects : An Analysis of Jung Sae-rang’s From the Si-sun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4, pp.532-559
https://doi.org/10.15686/fkl.2021..54.532
강소희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본고는 정세랑의 최근작인 장편 『시선으로부터,』의 여성 주체성 형성 과정을 여성 신화 속 사이렌의 복원 과정과 맞물려 독해하고자 한다. 주인공 심시선은 근대성의 타자로서 오디세우스에 의해 타자화된 사이렌과 같은 위치에 놓인 인물이다. 그녀가 ‘어우러짐’을 통해 다른 여성 주체와 관계적 자아를 맺고 그것을 확장하면서 자신의 목소리로 자신의 역사를 다시 쓰는 과정은, 오디세우스의 타자로서가 아닌 ‘비동일적 자아’로서의 사이렌의 모습과 같다. 근대성의 동일화 기제에 포섭되지 않는 ‘비동일성’의 자아는 시선에게서 멈추는 것이 아니라, 시선으로부터 시작되어 동시대의 타자들에게, 그리고 후세대의 여성들에게까지 확장된다. 이는 부정되었던 여성의 목소리를 내는 행위, 즉 발화 행위에 필적하는 수필쓰기를 통해 이루어진다. 개인적 기억을 다시 쓰는 행위는 공식적 역사에는 드러나지 않는 감춰진 역사를 ‘회상’함으로써 역사의 동일성에 균열을 내게 된다. 시선의 과거는 후손들에 의해 ‘제사’라는 회상의 형식을 통해 축제처럼 반복되는데, 이 또한 타자화의 역사를 주체의 언어가 아닌 타자의 몸과 언어로 재의미화한다는 점에서 모더니티의 폭력성을 비판적으로 사유하는 방식이다.

keywords
women’s mythology, From the Si-sun, novelist Jung Sae-rang, non-identical female subject, reflecting and writing, 여성 신화, 『시선으로부터, 』, 정세랑 소설, 비동일적 여성 주체, 회상과 글쓰기

Abstract

This article interprets the process of female subject formation in Jung Sae-rang ’s latest novel From the Si-sun while also exploring the restoration of sirens in women’s mythology. Through “commingling,” Si-sun forms relationships with other female subjects, and while expanding these relations, she rewrites history using her own voice, similar to the “non-identical egos” of sirens. The “non-uniform” ego, which is not encompassed by the mechanism of modern homogenization, does not stop at Si-sun; rather, it extends from Sisun to others of the same age and women of later generations. This is achieved by making heard the voices of a women that have long been marginalized; that is, it is achieved via an act of writing that is comparable to the act of speaking. The act of rewriting personal memories causes ruptures in the identity of history by “reflecting”(Eingedenken) on a hidden history that has not appeared as part of official history. Si-sun’s descendnants repeatedly reenact her past like a festival in the form of a “ceremony.” However, this act is also a way of criticizing modernity’s violence by granting new meaning to the history of other people’s bodies and languages.

keywords
women’s mythology, From the Si-sun, novelist Jung Sae-rang, non-identical female subject, reflecting and writing, 여성 신화, 『시선으로부터, 』, 정세랑 소설, 비동일적 여성 주체, 회상과 글쓰기

참고문헌

1.

정세랑, 『시선으로부터,』, 문학동네, 2020.

2.

김애령, 『듣기의 윤리』, 봄날의박씨, 2020, 79-85쪽.

3.

노성숙, 「주체 속에 있는 자연의 회상」, 『예술과 현상학』, 철학과현실사, 2001, 322-323쪽.

4.

노성숙, 『사이렌의 침묵과 노래』, 여이연, 2008, 75-77, 101-113, 140-144쪽.

5.

윤택림, 『구술사 연구방법론』, 아르케, 2019, 105, 123-128쪽.

6.

윤택림, 『구술사, 기억으로 쓰는 역사』, 아르케, 2010, 17쪽.

7.

나탕 바슈텔, 윤택림 역, 「기억과 역사 사이에서」, 위의 책, 116쪽.

8.

레나타 살레클, 이성민 역, 『사랑과 증오의 도착들』, 도서출판b, 2003, 103쪽.

9.

아도르노·호르크하이머, 김유동 역, 『계몽의 변증법』, 문학과지성사, 2020, 31, 81-99, 105, 280-284, 343쪽.

10.

조르주 디디 위베르만, 김홍기 역, 『반딧불의 잔존』, 도서출판 길, 2020, 71, 126-133쪽.

11.

조애나 러스, 나현영 역, 『SF는 어떻게 여자들의 놀이터가 되었나』, 포도밭출판사, 2020, 171-172쪽.

12.

테오도르 아도르노, 이순예 역, 『부정변증법 강의』, 세창출판사, 2012, 16-17,57, 64-65쪽.

13.

프란츠 카프카, 편영수·임홍배 역, 「세이렌의 침묵」, 『변신·단식 광대』, 창비, 2020, 199-201쪽.

14.

호메로스, 천병희 역, 『오뒷세이아』, 도서출판 숲, 2015, 303쪽.

15.

김양선, 「팬데믹 이후 사회에 대한 (여성)문학의 응답」, 『비교한국학』 제29권 1호, 비교한국학회, 2021, 15-33쪽.

16.

노성숙, 「외상에 대한 ‘기억’의 철학상담적 치유 가능성 모색」, 『가톨릭철학』 제29호, 한국가톨릭철학회, 2017, 201-240쪽.

17.

오은교, 「정세랑의 많은 사람들」, 〈문장웹진〉, 2018.12.01., https://webzine.munjang.or.kr/archives/143201, 접속일: 2021.12.09.

18.

윤택림, 「개인적 서술에서 공공의 기억으로:구술사와 공공역사」, 『구술사연구』 제11권 1호, 한국구술사학회, 2020, 9-45쪽.

19.

이진송, 「어서오세요, 정세랑의 언저리 월드에!」, 『문학동네』 제27권 4호, 문학동네, 2020, 23-44쪽.

20.

인아영, 「여성 청년들의 민족지 혹은 생존기」, 『문학과사회』 제32권 1호, 문학과지성사, 2019, 278-288쪽.

21.

정현철, 「미와 변증법: 아도르노의 미학적인 이론에 있어서의 부정성 개념」, 『헤겔연구』 제19권, 한국헤겔학회, 2006, 183-217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