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Imagining Caring Relationships beyond Family and Gender : An Analysis of the K-drama Camellia Blooms and It’s Okay not to be Okay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1, v.0 no.54, pp.491-531
https://doi.org/10.15686/fkl.2021..54.491
Mi-La Kim
Bae, Eunkyung

Abstract

이 글의 목적은 최근 방영된 TV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과 「사이코지만 괜찮아」에 형상화된 돌봄의 양상을 검토하여, 가족과 젠더를 넘어선 돌봄 관계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을 찾아보는 것이다. 돌봄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역설적인 형태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공공의 돌봄 제공이 정지되고 가족에게모든 부담이 전가되며 돌봄 격차가 심화되는 가운데, 한국 사회는 이 모든 돌봄위기를 오롯이 여성들의 자기착취적 초과노동으로 감당하며 미봉해 왔다. 이 글은 이제야 겨우 ‘필수노동’으로 불리기 시작한 돌봄을 제대로 자리매김하고 지속가능한 방식으로 재구성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정상가족’과 돌봄 책임의 젠더화된 분배를 당연시하고 돌봄자와 돌봄노동을 비가시화해 온 기존 상상력을 넘어서보고자 하는 시도다. 「동백꽃」과 「사괜」은 각각 어린 아이와 성인 장애인이 있는 빈곤 계층의 2인 가족 돌봄자를 주인공으로 삼아 정상가족의 틀 밖에 놓인 가난한 이들이겪는 돌봄의 위기와 돌봄자의 어려움을 드러내고, 이들이 돌봄 관계와 돌봄 공동체의 형성을 통해 위기를 타개하고 성장해 나가는 과정을 로맨스 서사에 담아 보여준다는 공통점이 있다. 사회적 돌봄 체계가 잘 마련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난하고 의지할 곳 없는 돌봄자인 두 드라마의 주인공들은 ‘가족’의 이름으로 자신에게 부과된 돌봄 책임을 완수하기 위해 고투하며 고립으로 내몰리고, 이로 인한 소진으로 온전한 돌봄을 제공하기 어렵게 되어 돌봄대상자와의 관계마저 악화시킨다. 극 초반에 주인공들이 겪는 이러한 난관은 현재 한국사회에서 ‘정상가족’이아닌 형태로 삶을 꾸려온 사람들이 겪고 있는 혹독한 돌봄 격차의 경험들과 맞물리는데, 두 드라마의 주인공들은 자신의 돌봄을 인정하고 지지해 주는 특정한 개인들과, 그 개인들의 초대로 진입한 돌봄 공동체 안에서의 돌봄 관계를 경험하면서 점차 이 난관을 벗어나고 새로운 삶을 위한 희망을 찾게 된다. 이 글은 두 드라마를 오늘날의 돌봄 담론이 요청하는 탈가족화·탈젠더화·탈시장화된 돌봄의 형태를 상상하고 사유할 수 있게 하는 텍스트로 읽으면서, 다른 한편 여전히 남아있는 한계들을 검토함으로써 현실 속에서 가족과 젠더를 넘어선 돌봄의 상상력이 처한 자리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keywords
Camellia Blooms, It’s Okay not to be Okay, COVID-19 pandemic, ethics of care, isolated care, caring community, community, care., 「동백꽃 필 무렵」, 「사이코지만 괜찮아」, 코로나–19 팬데믹, 돌봄윤리, 고립된 돌봄, 돌봄공동체, 공동체, 돌봄.

Reference

1.

「동백꽃 필 무렵」(총20부작), 임상춘 극본, 차영훈 연출, KBS2TV, 2019.09.18.~2019.11.21.

2.

「사이코지만 괜찮아」(총16부작), 조용 극본, 박신우 연출, tvN, 2020.06.20.~2020.08.09.

3.

양승국, 『일상성의 미학에 이르는 길–텔레비전 드라마 연구방법론』, 박이정, 2019, 55쪽.

4.

더 케어 콜렉티브, 정소영 역, 『돌봄 선언』, 니케북스, 2021, 29-111쪽.

5.

버지니아 헬드, 김희강·나상원 역, 『돌봄: 돌봄윤리–개인적, 정치적, 지구적』, 박영사, 2017, 70-72쪽.

6.

사라 러딕, 이혜정 역, 『모성적 사유: 전쟁과 평화의 정치학』, 철학과 현실사, 2002, 39-388쪽.

7.

에바 페더 킷테이, 김희강·나상원 역, 『돌봄: 사랑의 노동–여성, 평등, 그리고 의존에 관한 에세이』, 박영사, 2016, 1-209쪽.

8.

조안 C. 트론토, 김희강·나상원 역, 『돌봄 민주주의』, 아포리아, 2014, 24쪽.

9.

캐럴 길리건, 이경미 역, 『침묵에서 말하기로』, 푸른숲, 2020, 63-404쪽.

10.

캐슬린 린치 외, 강순원 역, 『정동적 평등–누가 돌봄을 수행하는가』, 한울 아카데미, 2009, 142쪽.

11.

Joan Williams, Unbending Gender: Why Family and Work Conflict and What to Do about It,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pp.1-276.

12.

Nancy Folbre, Who Pays for the Kids?: Gender and the Structure of Constraint, London: Routledge, 1994, pp.1-262.

13.

권두현, 「‘관계론적 존재론’의 정동학⑵–텔레비전 드라마 「동백꽃 필 무렵」에 나타난 연결과 의존의 문제」, 『현대문학의 연구』 71권. 33-82쪽.

14.

김정은·조태홍, 「돌봄 역할의 전환과 교환–성인장애인의 기여가 가족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장애의 재해석』, 한국장애인재단, 2015, 181-229쪽.

15.

김현미, 「코로나 시대의 ‘젠더 위기’와 생태주의 사회적 재생산의 미래」, 『젠더와문화』 제13권 제2호,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20, 41-77쪽.

16.

문현아, 「글로벌 사회변화 속 젠더화된 돌봄노동의 이해」, 정진주 외 공저, 『돌봄노동자는 누가 돌봐주나?: 건강한 돌봄노동을 위하여』, 한울, 2012, 21쪽.

17.

박고은·김고은, 「필수노동자의 일터 위험은 재난 시기에 어떻게 확대 (재)생산되는가: 코로나19와 성동구 돌봄노동자 사례를 중심으로」, 『비판사회정책』 제71호,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21, 83-124쪽.

18.

안숙영, 「젠더와 돌봄: 남성의 돌봄 참여를 중심으로」, 『한국여성학』 제33권 제2호, 한국여성학회, 2017, 107-136쪽.

19.

전기택·배진경, 「코로나19의 여성 노동위기 현황과 정책과제」, 『KWDI 이슈브리프』 제58호,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0, 1-9쪽.

20.

낸시 프레이저, 임옥희 역, 「가족임금 그 다음: 후–산업시대에 대한 사고실험」,『전진하는 페미니즘: 여성주의 상상력, 반란과 반적의 역사』, 돌베개, 2020, 157-192쪽.

21.

로라 발보, 한국여성개발원 역, 「조각보 이불: 복지국가 논쟁에 관한 여성학의 시각」, 앤 쑈우스터 사순 편저, 『여성과 국가: 국가정책과 여성의 공사영역의변화』, 한국여성개발원, 1989, 37-62쪽.

22.

Carole Pateman, “The Patriarchal Welfare State,” The Disorder of Women: Democracy, Feminism and Political Theory, Cambridge: P olity Press, 1989, pp.179-209.

23.

Joan Acker, “Hierachies, Jobs, Bodies: A Theory of Gendered Organizations,”Gender & Society 4⑵, 1990, pp.139-158.

24.

Joan C. Tronto and Berenice Fisher, “Toward a Feminist Theory of Caring,”in E . Abel & M . Nelson eds., Circle of Care, Albany: SUNY Press, 1990, p.40.

25.

박병일, 「종일 자폐 딸 향해 ‘안돼’…코로나가 만든 돌봄 감옥」, 『SBS 8 뉴스』, 2020.7.24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5899678&plink=ORI&cooper〉, 검색일: 2021.11.14.

26.

채혜선, 「아이 휴교, 남편은 재택근무… 코로나 시대에 주부들 ‘삼시세끼 가장 큰걱정’」, 『중앙일보』, 2020.03.05., 〈https://news.joins.com/article/23722470〉, 검색일: 2021.11.14.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