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전쟁의 유령들

Ghosts of the Korean War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2, v.0 no.57, pp.10-38
https://doi.org/10.15686/fkl.2022..57.10
소영현 (한국문학번역원)

초록

한국전쟁의 유령들에 대한 관심은 흔적도 기록도 없는 죽음으로 대표되는 애도되지 않는 전쟁 경험과 전쟁 피해에 대한 관심이다. 애도될 수 없는 ‘삶/죽음’, 발화할 수 없는 ‘과거/기억’, 언어화되지 못한 ‘고통/목소리’의 포착으로 구체화될 수 있는 이 관심이 소수자와 타자에 대한 윤리적 태도로만 한정될 수는 없다. 유령이라는 말이 환기하듯, 애도될 수 없으며 망각되지도 않은 전쟁 경험과 전쟁 피해가 시간을 관통하여 사라지지 않고 종종 출몰하며 지금 이곳의 현실에 깊이 관여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는 민간인 학살로 대표되는 전쟁 피해가 그것을 입증할 죽은 몸의 흔적을 찾을 수 없다는 사실에 기반해 있음을 상기하면서 비가시적인 전쟁 피해를 역사적 사실로서 입증하는 작업과 함께 그들이 왜 유령이 될 수밖에 없었는가를 질문해보고자 했다. 유령을 만드는 사회문화적 맥락을 고찰하면서, 구체적으로 강용준, 윤흥길, 박완서 그리고 김금숙의 작품을 대상으로 ‘접힌시공간’에 대한 환기를 통해, 유령의 있음이 아니라 유령의 ‘자리 없음’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자리 없음’의 사회문화적 문맥 좀더 정확하게는 젠더적 맥락을 가시화하는 이 작업을 통해, 한국전쟁의 유령들에 대한 성찰이 식민과 냉전의 복잡한 뒤얽힘이 만들어낸 시공간을 돌아보는 일이자 탈식민과 탈냉전 쪽으로의 논의 진전을 이끌 수 있는 거점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keywords
한국전쟁, 유령, 여성, 전쟁 피해, 장애, 젠더, 윤흥길, 강용준, 박완서, 김금숙, Korean War, ghosts, woman, war damage, disability, gender, Yoon Heung-gil, Kang Yong-jun, Park Wanseo, Kim Keum-suk

Abstract

Interest in the ghosts of the Korean War is an interest in the costs of war, primarily death and other war experiences that have not been mourned or recorded. That is, it is an interest in capturing the “life/death” that cannot be mourned, the “oblivion/memories” that cannot be uttered, and the “pain/voices” that cannot be verbalized. This interest does not only refer to an ethical attitude toward minorities and others. Indeed, as the word “ghost” implies, war experiences and the harm war causes cannot be mourned and are not forgotten; they penetrate through time and do not disappear. Moreover, they often reappear and are deeply involved in daily life. This paper recognizes that most of the harms of war, including civilians being shot to death, disappearances, and killings, do not leave behind dead bodies that can be found to prove the damage. Therefore, I establish invisible war damage as a historical fact, and I seek to ask why the victims of massacres had no choice but to become ghosts. While focusing on the works of Kang Yong-jun, Yoon Heung-gil, Park Wan-seo, and Kim Keum-sook, I examine the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that create ghosts and look at the “placelessness” of ghosts rather than their existence by evoking “folded time and space.”

keywords
한국전쟁, 유령, 여성, 전쟁 피해, 장애, 젠더, 윤흥길, 강용준, 박완서, 김금숙, Korean War, ghosts, woman, war damage, disability, gender, Yoon Heung-gil, Kang Yong-jun, Park Wanseo, Kim Keum-suk

참고문헌

1.

강용준, 「광인일기」, 『광인일기』, 예문당, 1974.

2.

김금숙, 『기다림』, 딸기책방, 2020.

3.

박완서, 『부끄러움을 가르칩니다』, 문학동네, 1999.

4.

박완서, 『배반의 여름』, 문학동네, 1999.

5.

윤흥길, 『장마』, 민음사, 1980(1973).

6.

윤흥길, 『무지개는 언제 뜨는가』 창작과비평사, 1979.

7.

김귀옥 외, 『전쟁의 기억 냉전의 구술』, 선인, 2008.

8.

김귀옥, 『이산가족, ‘반공전사’도 ‘빨갱이’도 아닌』, 역사비평사, 2004.

9.

김원, 『박정희 시대의 유령들–기억, 사건 그리고 정치』, 현실문화, 2011.

10.

박찬경 외, 『귀신 간첩 할머니』, 현실문화, 2014.

11.

역사문제연구소 한독비교사포럼 기획, 『분단의 역사인식과 사유를 넘어』, 한울, 2019.

12.

은유, 『폭력과 존엄 사이』, 오월의봄, 2016.

13.

이임하, 『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 서해문집, 2004.

14.

조해진, 『단순한 진심』, 민음사, 2019.

15.

한국구술사학회 편, 『구술사로 읽는 한국전쟁』, 휴머니스트, 2011.

16.

홍순권 외, 『전쟁과 국가폭력』, 선인, 2021.

17.

권헌익, 박총환·이창호·홍석준 역, 『베트남 전쟁의 유령들』, 산지니, 2016.

18.

권헌익, 정소영 역, 『전쟁과 가족』, 창비, 2020.

19.

로이 리처드 그린커, 정혜영 역, 『정상은 없다』, 메멘토, 2022.

20.

일라이 클레어, 전혜은·제이 역, 『망명과 자긍심』, 현실문화, 2020.

21.

Cho, Grace M., Haunting the Korean diaspora: shame, secrecy, and the forgot ten war,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008.

22.

김동춘, 「‘간첩 만들기’의 전쟁정치: 지배질서로서 유신체제」,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제21호, 한신대학교 민주사회정책연구원, 2012, 146-174쪽.

23.

김병덕, 「불모의 현실과 여성적 화해의 세계–윤흥길론」, 『비평문학』 제39호, 한국비평문학회, 2011, 35-59쪽.

24.

김봉국, 「한국전쟁 이후 1950년대 간첩 담론의 양가성」, 『역사연구』 제22호, 역사학연구소, 2012, 105-138쪽.

25.

김태우, 「한국전쟁 연구 동향의 변화와 과제, 1950-2015」, 『한국사학사학보』 제32권, 한국사학사학회, 2015, 325-364쪽.

26.

박성은, 「윤흥길 소설에 나타난 분단 트라우마의 증상과 사회적 치유–「장마」,「무지개는 언제 뜨는가」, 「낫」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인문과학』 제80권, 2021, 75-111쪽.

27.

소영현, 「전쟁 경험의 역사화, 한국 사회의 속물화–‘헝그리 정신’과 시민사회의 불가능성」, 『한국학연구』 제32호,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4, 273-313쪽.

28.

소현숙, 「신체에 각인된 전쟁의 성차와 치유: 한국전쟁기 노근리 피해자 구술에서 나타난 장애와 젠더」, 『동방학지』 제197집,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21, 199-224쪽.

29.

제인 정 트렌카, 「백만 명의 살아 있는 유령들–구조적 폭력, 사회적 죽음 그리고 한국의 해외입양」, 『여/성이론』 제22호, 도서출판 여이연, 2010, 33-51쪽.

30.

조선희, 「윤흥길의 「장마」와 「무지개는 언제 뜨는가」에 나타난 분단 극복의 양상」, 『개신어문연구』 제20호, 개신어문학회, 2003, 781-809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