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전쟁과 여성의 아카이브, 허수경의 시세계

The Archives of War and Women—Heo Soo-Kyung’s World of Poetry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22, v.0 no.57, pp.58-98
https://doi.org/10.15686/fkl.2022..57.58
황선희 (중앙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논문은 허수경의 전쟁 관련 시에 주목함으로써 이전 세대 여성시인들과 허수경의 전쟁시가 변별되는 지점을 파악하고자 했다. 허수경 시에 나타나는 전쟁은 한국전쟁만을 의미하지 않으며, 원폭으로 인한 끔찍한 고통, 제국주의적 폭력 등을 포괄하는 것으로 그려진다. 허수경은 첫 시집에서부터 전쟁에 대한 통찰을 나타내며 전쟁 이후의 참상을 간접적으로 보여주고 곱씹는다. 허수경의 전쟁시에서 여성은 전쟁이 지나간 자리에 남은 일상과 사람들을 기억하고 기록한다. 전쟁을 간접 경험한 세대이자 여성시인으로서 허수경은 고고학적 방법을 통해 문서바깥에 놓인 작은 조각들을 아카이빙한다. 허수경이 발굴한 ‘여성의 시간’은 대문자 역사가 포착하지 못했던 것이라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이는 허수경의 전쟁시가 간접 경험을 신체화하고 ‘몸’이라는 기억의 공간을 형상화하게 한다. 허수경 시에서 슬픔은 전쟁 이후 생략되거나 사라져버린 자들의 ‘작은 전쟁들’을 확장하고 기억하는 감정으로 다루어진다. 여성 이방인으로서 허수경의 시적 주체들은 전쟁으로 인해 끊어진 가장 약한 고리를 탐사하며, 언어화되지 못했던 것들을 아카이브로 만들어 시화해 낸다. 이 지점에서 허수경의 전쟁시가 여성주의적 속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keywords
허수경, 여성, 전쟁, 아카이브, 전쟁시, 추체험, 여성주의적 전쟁시, Heo Soo-Kyung, Women, war, archive, War Poetry, indirect experience, feministic war poetry

Abstract

By focusing on Heo Soo-Kyung’s war-related poems, this paper attempts to identify the point of divergence between the poems of the previous generation of female poets and Heo Soo-Kyung’s war poems. Depictions of war in Heo Soo-Kyung’s poetry include not only the Korean War but also the terrible pain caused by the atomic bomb as well as imperial violence. Beginning with her first collection of poems, Heo Soo-Kyung has demonstrated insight into war and has indirectly conveyed the horrors that follow war. In Heo Soo-Kyung’s war poems, women remember and record the daily lives of people left to survive in the aftermath of war. As a female poet belonging to the generation that experienced war indirectly, Heo Soo-Kyung uses archaeological methods to archive small bits and pieces that exist outside the written record. The “women’s time” that Heo Soo-Kyung discovers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not been captured by official history. This enables Heo Soo-Kyung’s war poetry to make the indirect experiences of war physical and shape the space of memory called the “body.” In Heo Soo-Kyung’s poems, sadness is treated as an emotion that expands and remembers the “small wars” of those who have been omitted from history or have disappeared since the war. As female strangers, Heo Soo- Kyung’s poetic subjects explore the weakest link broken by the war and make archives of things that have not been verbalized. In this context, Heo Soo-Kyung’s war poetry can be seen as possessing feminist attributes.

keywords
허수경, 여성, 전쟁, 아카이브, 전쟁시, 추체험, 여성주의적 전쟁시, Heo Soo-Kyung, Women, war, archive, War Poetry, indirect experience, feministic war poetry

참고문헌

1.

허수경, 『슬픔만 한 거름이 어디 있으랴』, 실천문학사, 2010(3판)(초판 1988).

2.

허수경, 『혼자 가는 먼 집』, 문학과지성사, 1992.

3.

허수경, 『내 영혼은 오래되었으나』, 창작과비평사, 2001.

4.

허수경,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 문학과지성사, 2005.

5.

허수경, 『빌어먹을, 차가운 심장』, 문학동네, 2011.

6.

허수경, 『누구도 기억하지 않는 역에서』, 문학과지성사, 2016.

7.

허수경, 『내 영혼은 오래되었으나』, 난다, 2022.

8.

허수경, 『너 없이 걸었다—뮌스터』, 난다, 2015.

9.

허수경, 『나는 발굴지에 있었다』, 난다, 2018.

10.

허수경, 『가기 전에 쓰는 글들』, 난다, 2019.

11.

김기진·전갑생, 『원자폭탄, 1945년 히로시마… 2013년 합천』, 선인, 2012.

12.

아를레트 파르주, 김정아 역, 『아카이브 취향』, 문학과지성사, 2020, 92쪽, 113-114쪽.

13.

오카 마리, 김병구 역, 『기억·서사』, 소명출판, 2004, 147쪽.

14.

일레인 스캐리, 메이 역, 『고통받는 몸—세계를 창조하기와 파괴하기』, 오월의봄, 2018, 134쪽, 181쪽.

15.

주디스 버틀러, 윤조원 역, 『위태로운 삶—애도의 힘과 폭력』, 필로소픽, 2018, 50-56쪽.

16.

주디스 버틀러, 김정아 역, 『비폭력의 힘—윤리학–정치학 잇기』, 문학동네, 2021, 188쪽, 252쪽.

17.

공현진, 「허수경 시의 서울 표상 연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제236회 전국 학술대회 발표자료집』,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22.7, 361-377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