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4632
본고는 일본군 ‘위안부’ 증언의 혼종적 성격을 드러내고, 혼종적인 언어가 다시신·구제국의 언어로 번역되는 양상을 분석했다. 일본군 ‘위안부’ 문제는 태평양전쟁 종전 후 공고화된 ‘국경(border)’을 경계로 인식되어 왔지만, 위안소라는전시성폭력 시스템은 ‘전선(front line)’을 따라 확대되었다. 전선은 기존의 공권력이 구획한 것과는 다른 영역을 만들어 냈고, 특히 언어적 차원에서는 다민족· 다국적 주체에 의한 혼합적·혼종적 어문역을 형성했다. 따라서 전쟁에 대한 피해자의 증언은 국민국가의 공식언어로 균질하게 나타나지 않는다. 진상 규명이 우선적 과제였던 증언 연구 초기에는 피해자 증언에 내재하고 있는 이질적이고 혼종적 언어가 상당 부분 소거되었으나, 2000년대 이후 피해자의 구술 언어를 반영하려는 시도에 따라 증언의 혼종성이 텍스트에 기입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영어, 일본어로 번역되면서 본격적으로 가시화되었다. 본고는 증언자가 발화하는이질적인 언어와 증언자가 스스로 해석하는 의미 사이의 간극을 가시화하고, 이간극이야말로 폭력적인 언어 조건과 그러한 상황 속에서도 살아남은 피해자들의행위성(agency)을 드러내고 있다고 보았다. 또, 혼종적인 언어가 영어와 일본어로 번역되면서 새로운 문법 체계 속에 귀속되거나 혹은 그것으로부터 이탈하는양상을 분석하였다. 증언의 번역 양상은 일본군 ‘위안부’ 문제가 세계사적 지평으로 이동하면서 보편성을 획득하는 대가로 고유성이나 특수성을 어떻게 왜곡· 상실하게 되는지 비판적으로 살피게 한다.
This paper reveals the hybrid aspect of the ‘Comfort Women’ testimony and zanalyzes how it is translated back into the language of the New and Old Empire. The ‘Comfort Women’ issue has been recognized as a boundary called the ‘border’ that was solidified after the end of the Pacific War, but the wartime sexual violence system called ‘comfort station’ has expanded along the ‘front line’. The front line created an area different from that of the existing public power, and especially at the linguistic level, it formed a hybrid language by multinational subjects. Therefore, the victim’s testimony about the war does not appear homogeneously in the official language of the nation-state. In the early days of the study, when ‘finding the truth’ was a priority, the heterogeneous and hybrid language inherent in victim testimony was largely eliminated. However, since the 2000s, the hybridity of testimony has begun to appear in the text by dictating the victim’s spoken language. And it became more visible in earnest in the process of being translated into English and Japanese. This paper visualizes the gap between the heterogeneous language spoken by the testator and the meaning of the testator’s self-interpretation, and sees that this gap reveals violent language conditions and the agency of victims who survived such situations. In addition, as hybrid languages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and Japanese, it was analyzed that they belonged to or deviated from the new national grammar system. The translation aspect of the testimony critically examines what uniqueness or specificity of the ‘Comfort Women’ issue erases in exchange for acquiring universality as it moves to the global historical horiz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