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KOREAN
  • P-ISSN1229-4632
  • E-ISSN2733-5925
  • KCI

Female figures and Buddhism in Samkukyusa - compare to Nihonryoiki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8, v.19 no.19, pp.7-33

Abstract

『삼국유사』 불교설화에는 다양한 여성 군상이 등장한다. 불교가 주목한 이들 여성은 딸, 어머니, 아내로서 불법의 진리를 찾아 평등을 구현하는 역동성으로 표출된다. 불교의 삼종설은 딸, 아내, 어머니로서의 처신의 덕을 강조하는 남성지배적 시각을 반영하고 있다. 그러나 『삼국유사』의 여성들은 불교 안에서 순종과 억압이 아닌 자아의 구원과 독자성을 추구한다. 구체적으로 딸로서의 여성은 부모와의 관계에서 극단적 자기희생도 마다하지 않는 효녀로 형상화되었다. 가계유지를 위한 남성의 효만이 중시되던 사회 상황에서 여성의부모를 위한 자기 희생을 숭고하게 미화하며 효양의 극단적인 모습을 보여주었다는 데 의미가 있다. 아울러 『일본영이기』는 여성의 불효를 강조함으로써 악업징계의 주제의식을 강화했다. 이기적인 딸의 모습은 부모를 위한 효도와는 거리가 멀다. 아내로서의 여성은 복합적이다. 삶의 동반자인 동시에 스승이며 육욕의 대상으로서의 여성이다. 불교수행을 보좌하는 수호신으로서의 아내는 정각으로 이끄는 견인자이다. 아울러 육욕을 초극하여 여성으로 드러나는 모습도 무아이며 공(空)이라는 인식에 이르러 마침내 성불할 수 있도록 시험하는 역할을 한다. 부인을 자성자불(自性自佛)의 현신으로 보았다. 반면 『일본영이기』의 아내는 남편을 위해 목상을 조성하고 간절한 기도를 하는 평범한 속세간의 여성으로 드러난다. 마지막으로 어머니는 불법구제와 자비의 여성으로 응축된다. 모성의 자애로움과 희생은 유약함과 짝을 이루기보다 강인함과 과단성으로 실현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모성중심에 충격을 가져왔다. 『일본영이기』 어머니는 육욕을 이기지 못하는 음란한 여성과 자식을 위해 기도하는 모성적 여성으로 양분된다. 이 때 어머니인 여성의 육체적 욕망은 부정되지 않고, 모성의 위배가 문제시된다. 수유하여 양육하는 어머니의 근원적 책임에 집중하였다. 이는 정신적 각성을 유도하고 불법구제를 전면적으로 실천하는 『삼국유사』의 어머니와 대비된다. 불교는 기존 문화의 남.녀 통념을 수용하면서도 새로운 여성상을 부각했다. 강인하며 지혜롭고 현명하며 지도력 있는 여성의 모습은 불교가 제시하는 변화된 여성상이다. 기존의 강고한 여성의 틀을 해체하지 않으면서 잠재된 여성의 역량을 견인, 창조된 여성상을 긍정적으로 제시한 것은 분명 불교가 보여준 사회교화력이며 통섭의 힘이다.

keywords
Samkukyusa. Nihonryoiki, female virtues, Buddhism, selfsacrifice daughter, Wife, mother, maternity, mercy, mundane world, overcome desire, 『삼국유사』, 『일본영이기』, 여성, 불교, 자기헌신의 딸, 불법구제의 어머니, 자성자불의 아내, 모성, 자비심, 출세간, 육욕의 극복

Reference

1.

길태숙, (2003) 삼국유사와 여성, 이회

2.

일연, (1986) 삼국유사, 범우사

3.

西口順子, (2006) 中世の女性と佛敎, 法藏館

4.

中村元, (1959) 宗敎と社會倫理, 岩波書店

5.

고영섭, (2006) 불교의 性別觀, 韓國佛敎學

6.

구자상, (2006) 大乘佛典에 나타난 女性成佛論, 韓國佛敎學

7.

김상현, (1990) 新羅 中古期 業說의 受容과 意義, 韓國古代史硏究

8.

김은희, (2001) 불교에서 보는 여성관, 불교와 문화

9.

김헌선, (1999) 불교 관음설화의 여성성과 중세적 성격연구, 구비문학연구

10.

박상란, (2003) 관음설화에 나타난 여성상, 佛敎語文論集

11.

안옥선, (1998) 초기 경전에 나타난 여성 성불불가설의 반불교성 고찰, 철학연구

12.

李秀昌(摩聖), (2007) 佛敎의 女性成佛論에 대한 檢討, 한국불교학

13.

조승미, (2004) 불교 수행론과 젠더문제, 불교학연구

14.

趙顯卨, (2003) 동아시아 관음보살의 여신적 성격에 관한 시론, 동아시아고대학

15.

최정선, (2006) 관음설화의 여성화 전략과 형상화의 의미, 인간연구

16.

최정선, (1998) 삼국유사 관음설화와 그 시적 변용에 관한 연구』(-『일본영이기』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17.

하정남, (2001) 불교와 페미니즘, 공존가능한가?, 불교학연구

18.

허혜정, (2004) 불교 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盲兒得眼歌〉연구, 불교학연구

19.

高木豊, (1988) 佛敎史のなかの女人, 日本靈異記女人の風景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