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박경리 문학에 나타난 지식인 여성상 고찰

A Study on the Women Intellectuals in Park, Kyung Ri's Novels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08, v.20 no.20, pp.221-255
김은경 (서울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고는 박경리 소설 전반을 대상으로 하여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여성 지식인상을 다각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여성 지식인 인물들이 법에 대응하는 양상에 주목하여 법에 소극적으로 저항하는 인물, 법에 무주견적으로 순응하는 인물, 법으로부터의 일탈을 자행하는 인물, 법에 대해 저항과 복종의 양가적 태도를 취하는 인물로 유형화하였다. 나아가서 이러한 법에 대한 대응양상에 따른 여성 주체의 형상을 고찰하였다. 첫 번째 유형의 여성인물은 현실적 장애를 극복하지 못하고 가족제도라는 법에 복종한다. 그러나 이들은 현실적 장애로 인해 상실한 사랑의 대상을 자신의 에고에 합체함으로써 ‘우울증적 주체’를 형성한다. 그 결과 가족관계 내에서의 정체성을 실제적으로 거부함으로써 법에 소극적으로 저항한다. 두 번째 유형의 여성인물은 가족제도의 법에 무주견적으로 순응하지만, 에로스적 사랑의 부재 혹은 이러한 사랑의 자질이 없음이 결정적 이유가 되어 가족관계 내에서 허명에 불과한 정체성을 유지하거나 상실한다. 이들이 주체적 사유 없이 행하는 사회적 활동을 두고 호명된 사회적 주체 역시 허명이라는 평가가 가능하다. 세 번째 유형의 여성인물들은 법으로부터의 일탈을 수단으로 하여 사회적 주체를 형성하려 하지만 좌절한다. 마지막으로, 네 번째 유형의 여성인물은 법에 대한 저항과 복종의 양가적 태도를 취하는 바, 이를 통해 이상적인 주체를 형성한다. 본고는 다양한 유형의 지식인 여성상 고찰을 통해 주로 긍정적 여성상 조명에 그친 기존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 박경리 문학을 전반적으로 살필 수 있었다. 부정적 지식인 여성상에 의해 보다 잘 양각된 긍정적 여성 지식인상을 통해 박경리가 법에 대한 저항을 통한 여성 주체의 재의미화에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음을 밝힐 수 있었다.

keywords
Women Intellectuals, Law(Power, Dominant Discourse), Melancholiac Subject, Complaisant Subject, Social Subject, Resistance, 여성지식인, 법(권력, 지배담론), 우울증적 주체, 순종적 주체, 사회적 주체, 저항

Abstract

This essay aims to investigate the Women Intellectuals characterized in Park, Kyung Ri's Novels through the women characters' reaction to Power(law, dominant discourse). According to the point of view, the Women Intellectuals are divided into four types : women characters passively resisting law, women characters unconditionally obeying law, women characters deviating from law, women characters taking a ambivalent attitude of resistance and obedience toward law. The first type of women intellectuals yield to law of the family system. But it is formal obedience. Because they can't forget an bygone love loosing by marriage obstacle. They form 'Melancholiac Subject' uniting their ego with the loosing lover. So, they practically deny the identity as wife and mother. This type of women characters passively resist law in the field of power. The second type of women characters form Complaisant Subject. They obey the marriage institution according to the criterions of the dominant discourse without love for spouse. We can notice that these woman characters' identities as wife/mother are empty names. Their social identities such as a patron of the arts, poet are also empty names. Because they marriage and socialize in compliance with the dominant discourse without independent thinking. The third type women characters attempt to form Social Identity by deviating from law, especially family system. They try to succeed in social life by sex peddling. Finally, they fail to form Social Subject. The forth type of women characters are positive images of women intellectuals. Their attitudes toward law are ambivalent. They sometimes resist law, and sometimes obey law. They don't absolutely yield to law and deviate from law. They resist law according to their independent decisions. After resisting law, they obey law and form new (Social) Subject. Through this discussion on the four types of women intellectuals, this essay overcome the limitation of the preceeding investigation which focus on the positive women characters. And, through the positive women intellectuals brought into relief by the negative women characters, we can notice that the resistance to law enabling Subject formation is emphasized in Park, Kyung Ri's Novels.

keywords
Women Intellectuals, Law(Power, Dominant Discourse), Melancholiac Subject, Complaisant Subject, Social Subject, Resistance, 여성지식인, 법(권력, 지배담론), 우울증적 주체, 순종적 주체, 사회적 주체, 저항

참고문헌

1.

박경리, (1961) 귀족, 현대문학

2.

박경리, (1987) 설화, 박경리문학전집19, 지식산업사

3.

박경리, (1980) 눈먼 실솔, 박경리문학전집11, 지식산업사

4.

박경리, (1959) 표류도, 현대문학

5.

박경리, (1982) 내 마음은 호수, 지식산업사

6.

박경리, (1980) 가을에 온 여인, 지식산업사

7.

박경리, (1980) 재혼의 조건, 박경리문학전집10, 지식산업사

8.

박경리, (1964) 시장과 전장, 현암사

9.

박경리, (1980) 타인들, 박경리문학전집9, 지식산업사

10.

박경리, (1987) 영원한 반려, 지식산업사

11.

박경리, (1980) 창, 지식산업사

12.

박경리, (1986) 단층, 지식산업사

13.

박경리, (1996) 토지, 솔출판사

14.

박정애, (2006) ‘女流’의 기원과 정체성, 한국학술정보(주)

15.

이덕화, (2000) 박경리와 최명희-두 여성적 글쓰기, 태학사

16.

조현준, (2007) 주디스 버틀러의 젠더 정체성 이론, 한국학술정보(주)

17.

Althusser, L., (1995) 레닌과 철학, 도서출판 백의

18.

Foucault, M., (2005) 감시와 처벌, 나남출판

19.

Freud, S., (2007) 정신분석학의 근본 개념, 열린책들

20.

Salih, S., (2007) 주디스 버틀러의 철학과 우울, 앨피

21.

Butler, J., (1997) The Psychic Life of Power-Theories in Subjection, Stanford Univ. Press

22.

김은경, (2008) 박경리 문학 연구-‘가치’의 문제를 중심으로,

23.

김해옥, (1996) ‘여성적 자존(自尊)과 소외’ 사이에서 글쓰기―여성주의적 관점에서 본 1950년대 박경리 소설, 토지와 박경리 문학, 솔

24.

김혜정, (1999) 박경리 소설의 여성성 연구,

25.

박정애, (2008) 여성작가의 전쟁 체험 장편소설에 나타난 ‘모녀관계’와 ‘딸의 성장’ 연구, 여성문학의 타협과 저항, 강원대학교출판부

26.

백지연, (1995) 박경리 초기 소설 연구,

27.

이금란, (2006) 박경리 소설에 나타난 가족 이데올로기 연구,

28.

이미정, (2002) 1950년대 여성 작가 소설의 여성 담론 연구,

29.

이상진, (1996) 여성의 존엄과 소외, 그리고 사랑, 토지와 박경리 문학, 솔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