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근대 여성작가의 지식/지성 생산에 대한 계보학적 탐색

The Genealogical Inquiry of Modern Women Writers' Production of Knowledge/Intellect

여성문학연구 / Feminism and Korean Literature, (P)1229-4632; (E)2733-5925
2010, v.24 no.24, pp.7-30
김양선 (한림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Abstract

본고는 여성작가의 글쓰기와 여성지성의 생산이 접목될 가능성에 주목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여성지성이 학교제도, 매체, 문학 장 등을 통해 구축되는 방식, 여성지성이 담론 장이나 실천의 장에 배치되는 방식, 시대의 의제에 대응하는 여성작가들의 글쓰기 방식을 살펴볼 것이다. 대상 시기는 근대초기부터 1990년대로 한정한다. 먼저 나혜석, 김일엽, 김명순 등 제1기 여성작가들은 근대적 교육의 필요성,‘여성도 국민이다.’라는 평등주의 이념, 여성지식인으로서의 역할 등을 자신들이 창간한 잡지나 주도적으로 참여한 잡지를 통해 ‘계몽적 수사학’으로 표출하였다. 근대 초기 여성지식인들의 작가-되기는 스스로를 공적 담론 장 안에서 글쓰기 주체로 주조하는 적극적인 실천행위였다. 근대 초기 여성작가들에 의해 시도되었던 계몽의 수사학, 권고와 요구에기반한 동원의 수사학은 일제 말기에 귀환한다. 1930년대 여성문학 장의 형성을 주도한 최정희, 모윤숙 등은 식민지 시기와 일제 말기 지배담론에 적극동조했을 뿐만 아니라 한국전쟁 시기와 전후에도 종군작가 혹은 근대화 프로젝트의 수호자로 국가주의 담론에 기꺼이 동원되었고, 여성대중들을 유인하였다. 한편 198·90년대 여성작가들의 ‘증언과 기억으로서의 글쓰기’는 역사와 현실을 젠더적으로 전유하는 작업이라는 관점에서 다시 볼 필요가 있다. 페미니즘 서사에서 여성(작가)의 사적 기억은 국민국가 안에서 생산되어 온 공적 기억에 대한 대항기억이자 여성의 역사에 대한 공식적인 망각에 저항하는 대항기억의 예가 될 수 있다. 신경숙, 공지영, 공선옥, 박완서의 소설은 이같은 증언과 기억으로서의 글쓰기를 실천하였다. 결론적으로 여성작가들은 ‘소비되는 지식’이면서 ‘동원되는 지성’으로서의부정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었다. 하지만 한편에서는 하위계층 여성들의 입장에서 재현/대표성을 고수한 작가들도 있었다. 한국 근·현대문학에서 여성작가의 지적 계보를 탐색하는 작업은 이 다양한 정체성들이 충돌하고 때로는 습합하면서 남성중심사회에서 ‘여성지성’, ‘여성교양’을 창출해내는 과정을 적극적으로 해석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Women Writer, Women's Intellect, Culture, Consumed Knowledge, Mobilized Intellect, Testimony, Memory, 여성작가, 여성지성, 교양, 소비되는 지식, 동원되는 지성, 증언, 기억

참고문헌

1.

김건우, 사상계와 1950년대 문학 , 소명출판, 2003.

2.

천정환, 근대의 책읽기 , 푸른역사, 2003. 339쪽.

3.

리타 펠스키, 김영찬・심진경 역, 근대성과 페미니즘 , 거름, 1998. 235~241쪽,

4.

히라타 유미. 임경화 옮김. 여성 표현의 일본 근대사-여류작가의 탄생전야 , 소명출판, 2008. 11~12쪽.

5.

권보드래, 「실존, 자유주의, 프래그머티즘」, 한국문학연구 35집, 동국대 한국문학연구소, 2008. 101~147쪽.

6.

김복순, 「근대초기 여성교양의 성립과 파트너십 문화론의 계보」, 여성문학연구 17집,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177~223쪽.

7.

김복순, 「전후 여성교양의 재배치와 젠더정치」, 여성문학연구 1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7. 7~60쪽.

8.

김양선, 「여성작가를 둘러싼 공적 담론의 두 양식-공개장과 좌담회를 중심으로」,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문학 장의 재발견 , 소명출판, 2004. 337~364쪽.

9.

김양선, 「전후 여성문학 장의 형성-여성잡지와 여성문학의 공생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18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8. 61~91쪽.

10.

김연숙, 저널리즘과 여성작가의 탄생-192,30년대 여기자 집단을 중심으로」, 여성문학연구 14호, 한국여성문학학회, 2005. 89~119쪽.

11.

심진경, 「문단의 여류와 여류문단」, 한국 근대문학의 형성과 문학 장의 재발견 , 소명출판, 2004. 299~336쪽.

12.

이경하, 「제국신문 여성독자투고에 나타난 근대계몽담론」, 고전여성문학연구 8호, 한국고전여성문학학회, 2004. 67~98쪽.

13.

천정환, 「근대적 대중지성의 형성과 사회주의」, 상허학보 22집, 상허학회, 2008. 155~193쪽.

14.

홍인숙, 「근대계몽기 여성글쓰기의 양상과 여성주체의 형성과정」, 한국고전연구 14호, 한국고전연구학회, 2006. 103~130쪽.

여성문학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