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다문화와 민족-국가: 상대화인가, 재동원인가?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ism and Nation-state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07, v.0 no.28, pp.98-121
오경석 (한양대학교)

초록

다문화는 논쟁적이며 양가적인 개념이요, 이데올로기이다. 그러나 다문화주의를 관류하는 공통의 문제의식도 존재한다. 다문화주의‘들’은 그 강도와 방법론에서는 차이를 보이지만 ‘근대 넘어서기’를 기획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공통점을 드러낸다. 근대 넘어서기 자체를 엄격하게 규정하는 일 역시 쉽지 않은 일이지만, 단순화시키자면 근대 넘어서기란 근대 제도들 및 근대적 인식의 재구조화라고 규정할 수 있다. 다문화(주의)에 대한 이러한 평가를 수용하는 경우 한국의 적극적인 다문화 드라이브는 좀 더 세심하게 재평가되어야 한다. 단적으로 한국의 다문화 드라이브는 국가와 시민사회 영역을 막론하고 근대 넘어서기라기보다는 근대의 재동원 프로젝트에 가까운 것으로 평가될 수 있다. 식민과 분단 경험에 의해 강제적인 민족의 이산과 국가와 민족의 분리가 불가피했다는 점, 그리고 그런 역사적 상흔으로부터 ‘이주 운동’ 진영조차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 등이 그 원인으로 추론될 수 있다. 그 결과 한국의 다문화는 적극적인 추동력에도 불구하고 이주민 대중의 철저한 외면 속에서 ‘우리들만의 잔치’가 되어가고 있다.

keywords
multiculturalism, nation, nation state, modernization, migrants, 다문화주의, 민족, 민족국가, 근대화, 이주민

Abstract

Muliculturalism is a very controversial term. Though there are many varieties among multicultualisms, a shared perspective can be seen as well. Multiculturalism is one of the latest political ‘ism’ which seeks for ‘reconstruction of modernizationmodern institutions and mentalities’. In regard of this, it is needed to review critically Korean style of multiculturalism. In Korea, multiculturalism tends to be used as means of remobilizing modern nation-state. One can say ethnic diaspora and national divide by forced modernization process make it inevitable for general Korean, including NGOs advocating multiculturalism, to take themselves nation-state building and reunification as a whole nation’s historical mission. But that doesn’t rationalize or justify multiculturalism in Korea is growing buzzing festival for Korean’s own sake, without migrants interest and participation.

keywords
multiculturalism, nation, nation state, modernization, migrants, 다문화주의, 민족, 민족국가, 근대화, 이주민

참고문헌

1.

스피박, 가야트리, (2006) 스피박의 대담 , 갈무리

2.

Antonio Negri, (2004) 혁명의 시간, 갈무리

3.

강주원, (2006) 남한사회의 구별짓기, 한양대학교 출판부

4.

고스기 야스시, (2007) 정체성: 해체와 재구성 , 한울

5.

김동춘. 200. 근대의 그늘 한국의 근대성과 민족주의 . 당대.,

6.

김희정, (2007) 한국의 관주도형 다문화주의: 다문화주의 이론과 한국적 적용 , 한울

7.

도메나크, 장 뤽, (2002) 위기의 아시아,

8.

Leela Gandhi, . 200. 포스트식민주의란 무엇인가 . 이영욱 옮김. 현실문화연구.,

9.

쑨거, (2007) 다문화 공생과 ‘문화정치’: ‘난징’, ‘히로시마’, ‘9.11’에 관해, 한울

10.

기든스, 앤서니, (1991a) 민족국가와 폭력 , 삼지원

11.

기든스, 앤서니, _____. 191b. 근대성의 결과들 . 이윤희·이현희 옮김. 민영사.,

12.

_____. 197. 좌파와 우파를 넘어서 . 김현옥 옮김. 한울.,

13.

오경석, (2007) 이주민공동체의 문화다양성에 대한 조사연구 , 문화관광부

14.

오경석, (2005) 들꽃피는마을 11주년에 관한 몇 가지 사회학적 단상 ,

15.

오경석, (2007) 어떤 다문화주의인가?: 다문화 사회 논의에 관한 비판적 조망 , 한울

16.

울리히 벡, (1997) 위험사회: 새로운 근대(성)을 향해 , 새물결

17.

울리히 벡, _____. 20. 지구화의 길 . 조만영 옮김. 거름.킴리카 . 2005. 현대정치철학의 이해 . 장동진·장휘·우정열·백성욱 옮김. 동명사.,

18.

윤해동, (2003) 식민지의 회색지대: 한국의 근대성과 식민주의 비판 ,

19.

이선옥, (2007) 한국에서의 이주노동운동과 다문화주의., 한울

20.

이혜경, (2007) 이민 정책과 다문화주의 : 정부의 다문화 정책 평가 .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 , 한국사회학회

21.

임지현, (1999) 민족주의는 반역이다: 신화와 허무의 민족주의 담론을 넘어서 , 소나무

22.

한경구, (2007) 한국적 다문화 사회의 이상과 현실 : 순혈주의와 문명론적 차별을 넘어. 한국적 ‘다문화주의’의 이론화 , 한국사회학회

23.

Appadurai, Arjun, (1996) Modernity at Large: Cultural Dimensions of Globalization, University of Minesota Pres, Mineapolis

24.

Bauman, Zygmunt, (2004) Living (Occasionally Dying) Together in an Urban World, Blackwell

25.

Graham, Stephen, (2004) Introduction, Blackwell

26.

Kim, Hui-Jung, (2007) Articulating "Korean-nes": National Inclusion Mechanisms in Pro-and Anti-Immigrant Discourses, Univ. of Wisconsin-Madison

27.

Kelly, P, (2002) Muticulturalism Reconsidered: Culture and Equality and its Critics, Polity

28.

Kivisto, P, (2002) Multiculturalism in a Global Society, Blackwell Publishing

29.

Kymlicka, W, (2005) Multiculturalism in Asia, Oxford Univ. Press

30.

Yasemin Nuhoglu. 1994. Limits of Citizenship Migrants and Postnational Membershipin Europe.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1.

Touraine, Alain, (2000) Can we live together?: Equality and Difference, Polity Press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