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5-6706
  • E-ISSN2733-4295
  • KCI

지역격차의 새로운 차원으로서 '지역발전정책 개발역량'

Regional Development Think-tank Capacity as a New Dimension of Regional Disparity

공간과 사회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08, v.0 no.29, pp.94-115
김준우 (전남대학교)
안영진 (전남대학교)

초록

이 글은 우리나라의 지역격차에 대해 기존의 연구와 달리 접근하고자 했다. 한국의 지역격차는 단순히 수도권이 잘사는 문제로 국한되지 않으며, 수도권이 지역의 앞날을 내다보고 설계하는 역량에서 비수도권을 앞서 나간다는 사실도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해, 경제적 지표보다는 ‘지역발전정책 개발역량’을 다루었다. 이 연구는 사례조사 대상지역으로서 익명의 ‘A광역지자체’로 불리는 비수도권 광역지자체를 선정하고, A지자체가 운영하는 지역발전 관련 A연구원의 지역발전정책 개발역량에 관해 각 분야의 전문가와 여론 주도층의 다양한 의견을 조사하고 분석했다. 연구 결과 A연구원의 지역발전정책 개발역량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시도 연구원의 44.38%라는 응답을 얻었다. 이 연구를 통해 이점이 단순히 정태적인 지표상의 지역격차가 아니라, 현재는 물론이고 향후 지역격차의 확대 또는 축소에 중요한 변수로 자리 잡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keywords
지역발전, 정책개발역량, 시도 연구원, 지역격차, Regional Development, Think-tank Capacity, Reg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gional Disparity, Regional Development, Think-tank Capacity, Reg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gional Disparity

Abstract

This paper takes on a diferent aproach about South Korean regional disparity. Instead of focusing on economic matter, it deals with ‘regional development think-tank capacity‘. Almost al metropolitan cities or provinces in South Korea has its own regional development institute, of which role seems hardly be replaced by any other organizations. This paper reports the result of a delphi survey was on a regional development institute located in a non-capital region. The institute was negatively evaluated by respondents who are familar with policy making process in the region. Generaly speaking, the institute was perceived to have about 44.38% of the ’regional development think-tank capacity‘ compared to the best among al regional development institutes. The perceived bests were mostly located in the capi-tal region. This paper concludes that this softer dimension of regional disparity has been in place and its importance will grow over time.

keywords
지역발전, 정책개발역량, 시도 연구원, 지역격차, Regional Development, Think-tank Capacity, Reg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gional Disparity, Regional Development, Think-tank Capacity, Regional Development Institute, Regional Disparity

참고문헌

1.

고영구, (2004) 수도권 규제완화 대응전략: 수도권 집중의 문제와 국토 균형발전방안, 한국지방자치학회 하계학술발표회 및 제13회 한일 지방자치 국제세미나

2.

권영섭, (1997) 혁신의 공간적 분포 및 지역격차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

3.

김원배, (1997) 지방대도시 경쟁력 강화방안, 국토연구원

4.

김준우, (2002) 지방병: 비수도권의 지역개발 연구기능에 대한 인식부족을 중심으로, 지역사회학

5.

이경상 ; 김준우, (2006) 지역발전정책 개발역량의 개념정의와 지수구성, 한국사회학

6.

김태환, (2004) 자립적 지역발전을 위한 잠재력 분석 연구 국토연구원. 2002. 나는 주식회사 경상남도 명진출판,

7.

박경, (2001) 미야모토의 주민자치와 내발적 발전 in 공간이론의 사상가들, 한울

8.

박기관, (2004) 지역사회권력구조와 지방정치의 역동성: 원주시 시청사 건립을 둘러 싼 행위자들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9.

박용남, (2000) 꿈의 도시 꾸리찌바, 이후출판사

10.

시도연구원협의회, (2002) 시도연구원총람,

11.

우무정, (2000) 지방정부 기획·정책능력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12.

유평준 ; 한상일 ; 최호진, (2006) 지역혁신 클러스터의 학습과 혁신: 사회적 자본과 전략적 제휴와의 관계, 한국행정학보

13.

염미경, (2006) 섭지코지의 관광지화와 지역거버넌스, 지역사회학

14.

한국일보, (2006) 우리 경제 갈 길 보여준 LPL 파주공장. 2006년 4월 28일자,

15.

행정자치부 살기 좋은 지역기획팀, (2006) 살기 좋은 지역 만들기 대상지역 확정발표. 보도자료(2006년 2월 1일자),

16.

佐佐木信夫, (1997) 地自體政策學入門, ぎょせい

17.

Bird, D. L., (1997) Thinking the Unthinkable, Contemporary Review

18.

Cooke, P. , (1998) Introduction: Origins of the concept in Regional Innovation System, UCL Press

19.

Douglass, M., (2000) Globalization, Intercity Competition, and the Rise of Civil Society,

20.

in Pacific Asia: Toward Livable Cities in the 21st Century, A Paper Presented at Southeast Asian Urban Futures Workshop

21.

Dyer, J. H., (1998) The Rational View: The Cooperative Strategy and Sources of Interorganizational Competitive Advantag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2.

MacLeod, G., (2001) New Regionalism Reconsidered: Globalization and the Remaking of Political Economic Space, International Journal of Urban & Regional Research

23.

Landry, C. , (2000) The Creative City: A Toolkit for Urban Innovators, Earthscan Publications

24.

OECD, (2001) Innovative Clusters: Drivers of National Innovation Systems. Paris,

25.

Time, (1993) Curitiba, Brazil (Cover Story). Nov. 1st. Issue 2, 32,

공간과 사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