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Space and Environment

A developmental direction of ‘Governance of the 5+2 Economic Regions’ focused on the Capital Economic Region

Space and Environment / Space and Environment, (P)1225-6706; (E)2733-4295
2010, v.0 no.33, pp.183-213


Abstract

이명박 정부는 참여정부의 국가균형발전전략을 대체하는 지역발전전략으로서5+2 광역경제권을 제시하였다. 5+2 광역경제권의 추진전략은 관련 기반 구축,선도 프로젝트 추진, 추진체계 확립이며 이중 추진체계 확립을 위해서 광역경제발전위원회를 설치하고 광역경제권발전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광역경제발전위원회를 사례로 광역경제권 거버넌스의 발전방향을 제시한 연구다. 거버넌스의 위상, 참여 주체와 의제 범위, 운영방식 측면에서 문제와 대안을 제시하고, 향후 논의사항을 제안하였다.

keywords
광역경제권, 거버넌스, 수도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the 5+2 Economic Regions, the Capital Economic Region, governance, the Economic Regional Development Committee

Reference

1.

경기개발연구원. 2008. 「광역경제권 형성 방안 및 추진 전략」.

2.

김두환. 2000. 「공공계획의 두 가지 이행경로: 시장 또는 협력적 통치」. ≪공간과 사회≫, 통권 제13호, 184~206쪽.

3.

김두환. 2006. 「정책과정의 녹색화」. 문순홍 편. 녹색국가의 탐색 , 서울: 아르케, 201~230쪽.

4.

김륜희. 2006. 「한국 지역혁신체계의 제도적 특성」.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

김현호. 2008. 「광역경제권 발전의 추진기구」. 한국지방자치학회 2008년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6.

박재욱. 2008. 「광역권역의 통합‧협력을 위한 광역거버넌스의 이론적 논의」. ≪지방행정연구≫, 22(3), 3~29쪽.

7.

박재욱. 2009. 「광역경제권의 효율적 추진을 위한 지방정부 간 거버넌스 구축방안: 국가균형발전특별법 개정안의 ‘광역경제권발전위원회’ 구성방안을 중심으로」.≪지방행정연구≫, 23(1), 83~118쪽.

8.

서울시정개발연구원. 2008. 「수도권 광역경제권 정책의 추진방향에 관한 연구」.

9.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인천발전연구원‧경기개발연구원. 2007. 「수도권 광역계획의 합리적 수립과 실현방안 연구」.

10.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인천발전연구원‧경기개발연구원. 2009. 「수도권 광역경제권발전계획(안)」.

11.

수도권 광역경제발전위원회. 2010. 「2010년도 수도권 광역경제발전 업무계획」.

12.

안영훈. 2008. 「광역경제권의 개념, 유형 및 거버넌스 체제」. 한국지방자치학회 2008년 춘계학술대회.

13.

안영훈. 2009. 「광역경제권 구상과 정부 간 관계 모델: 해외사례 소개」. 한국지방자치학회 강의자료.

14.

임혁백. 1997. 시장‧국가‧민주주의: 한국민주화와 정치경제이론 . 서울: 나남출판.

15.

지역발전위원회. 2009. 「광역경제권발전위원회 업무편람」.

16.

지역발전위원회. 2009. 「지역발전 5개년계획(안)」. 국무회의 의결용(2009.12).

17.

지역발전위원회. 2010. 「2010년 지역발전정책 추진방향」.

18.

참여연대 시민과학센터 편. 2002. 과학기술‧환경‧시민참여 .

19.

Duncan, S & Goodwin, M. 1991. The Local State and Uneven development: Behind the local Government Crisis. Cambridge: Polity Press.

20.

Fishkin, J. S. 1991. Democracy and Deliberation. Yale Univ. Press.

21.

Giddens, A. 1994. Beyond Left and Right: the Future of Radical Politics. Stanford, california:Stanford Univ. Press.

22.

Habermas, J. 1996. “Three Normative Models of Democracy.” pp.21~30, in Democracy and Difference: Contesting the Boundaries of the Political. ed. by Benhabib, S. New Jersey: Princeton Univ. Press.

23.

Healey, P. 1997. Collaborative Planning: Shaping Places in Fragmented Societies. Canada: UBC Press.

24.

Herrschel, T. and P. Newman. 2000. “New Regions in England and Germany : An examination of the interaction of constitutional structure, formal regions and informal institutions.” Urban Studies, Vol.37, No.7, pp.1185~1202.

25.

Innes, J. E. & D. E. Booher. 1999. “Consensus building as role playing and brocolage:toward a theory of collaborative planning.” Journal of the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Vol.65, i1, pp.9~26.

26.

Jaakson, R. 2000. “Super-national spatial planning of the Baltic Sea region and competing narratives.” European Planning Studies, Vol.8, pp.565~579.

27.

Leftwich, A. 1994. “Governance, the State and the Politics of Development.” Development and Change, Vol.25, pp.364~386.

Space and Environment